이백(李白)-王昭君(왕소군)
昭君拂玉鞍(소군불옥안) 왕소군은 아름다운 안장을 스치듯
上馬啼紅頰(상마제홍협) 말에 올라 붉은 뺨에 눈물 흘린다
今日漢宮人(금일한궁인) 오늘까지는 한나라 궁녀지만
明日胡地妾(명일호지첩) 내일부터는 오랑캐의 첩이 되는구나
*이백[李白, 701 ~ 762,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은 중국 당나라 시인으로 시성(詩聖)으로 불린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 최대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으로 불렸고, 소년시대부터 검술을 좋아하여 협객 속에 끼어 방랑생활을 보내는 일이 많았으며, 42세 때 현종에게 그 시재를 인정받아 궁정시인이 되었으나 자유분방한 성격 등이 화근이 되어 장안에서 쫓겨나 다시 방랑하였는데, 두보가 인생과 사회에 관심을 기울인 데 대해서 이백은 자연과 술을 사랑하면서 절구에 뛰어났고, 작품으로는 “청평조사(淸平調詞)”, “장진주(將進酒)”, “월하독작(月下獨酌)”, “상삼협(上三峽)”, “협객행(俠客行)” 등이 있습니다.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俠氣)와 신선(神仙)과 술이고,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으며, 두보의 시가 퇴고를 극하는 데 대하여, 이백의 시는 흘러나오는 말이 바로 시가 되는 시풍(詩風)이었다고 합니다.
*위 시는 문학비평가이신 김희보님의 “중국의 명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본 것으로, 절세의 미녀로서 화려한 궁중생활을 보내던 왕소군이 희생물이 되어 먼 흉노 땅에 보내지는 장면이 인상적으로 그려져 있고, 결구에서는 풍속이 다른 흉노 땅에서 왕소군이 얼마나 고난과 슬픔의 나날을 보내야 하겠는가 하는 작가의 동정심이 엿보이는 듯하다 합니다.
*형식 : 오언절구
*王昭君(왕소군)[약 BC.52년 ~ BC.20년 추정, 이름은 장(嬙), 자는 소군(昭君)] : 중국 전한시대 원제 때의 궁녀로, 한나라 원제(元帝)는 궁녀들의 초상화를 그리게 하여 그 가운데서 마음에 든 궁녀를 사랑하여 궁녀들은 다투어 뇌물을 바치며 화가(毛延壽 모연수)에게 예쁘게 그려달라 청탁하였으나 왕소군은 그러지 않아 절세의 미녀이면서도 추녀로 그려지게 되었다. 전한시대에는 흉노의 침략이 너무 심해 원제는 화친을 위해 흉노족의 왕에게 후궁 한 명을 시집보낼 때 후궁들의 초상화 중에서 가장 못 그려진 왕소군(王昭君)을 흉노에게 시집보내기로 결정하고 실제 왕소군을 보니 너무 미인이라 그 후 후회막급이었고, 그 뒤 사실을 알고 화가를 사형에 처했다 합니다. 왕소군은 중국 4대 미인{중국 4대 미녀[서시(침어沈魚), 왕소군(낙안落雁), 초선(폐월閉月), 양귀비(수화羞花)]} 중 한 명으로 낙안(落雁)이라는 별칭이 있는데, 낙안은 나는 기러기가 왕소군의 미모에 빠져 떨어졌다는 뜻이라 합니다.
拂(불) : 떨치다, 건드리다
玉鞍(옥안) : 아름답게 꾸민 안장
啼(제) : 소리내어 울다
紅頰(홍협) : 붉은 뺨, 젊고 아름다운 용모
胡地(호지) : 오랑캐 땅, 胡는 흉노
첫댓글 글귀를 보면 쉬운거 같은데 좀 만 깊게 이해하려 하면 어려워, 머리 탓 나쁜걸 누글 탓하랴
ㅎ, 제가 볼땐 관리이사님께서 누구보다 이해가 빠른 거 같아요,
배려에 깊이 감사드리고,
이번 주도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중국 4대 미인 중에 한 사람인 왕소군....
역시 미인박명인가 봅니다....
이백의 시에도 안타까움이 가득하네요~~~~~~
낙안, 그래도 왕소군은 흉노 땅에서 나름대로
잘 살았다고 합니다.
회장님의 댓글에 감사드리고,
이번 주도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