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의 횟수
자료1)
절 한번할 때:살아있는 분들께는 한번한다. 살아있다는것은
영(신)과 육이 한몸으로이루워져있다는것이며
육신(육과신)이 하나이기때문이다
절을 두번할 때: 죽은 분들께는 두번한다. 죽었다는것은
영(신)과 육이 분리 되었다는것이다
그래서 영(신)에게 한번절하고 육에게 한번한다
조상신에게는 두번절한다.
세번 절할 때:
깨달음을 얻어 해탈한 부처님께는 삼배한다
영(신)에한번 절하고 육에 한번 절하고
그 깨달음에 한번 절한다. 즉 (불 법 신)에 각 한번씩
절하는것이다
네번 절할 때 :하느님(하늘님) 께는 네번 절한다
향랑읍을하는이유...우리가 절을하고나서 양쪽을 향해 두손을
모으고 허리를 약간 구부리면서 고개를숙이고
절을 하는것은 신을 호위하거나 그 기에 같이오신
신들께 묵례하는것이다.
자료2)
시산제에서
산신에게 들이는 제사에서
절은 3번입니다
神이기 때문입니다
살아있는 인간에게는 1번[양이므로]
죽은 인간에게는 2번[음이므로]
산신 바다신등 자연神에게는 3번[하늘과 땅과 그중간을 다스리는 존재이므로]
흔히 이것을 삼신사상이라 합니다
부처에게도 3번절을 해야하며
단 황제는 4번절해야했습니다
위 모두를 다스리는 존재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자료3)
산신제의 절의횟수는 두배이다. 우리고유의 제례에서 삼배는 없는것으로
알고있으며 삼배는 불가의 의식이다/전통예절연구원
첫댓글 아는 것도 많으세요. ㅎㅎㅎ
제대로 올리셨네요..ㅎㅎ
그렇게 깊은 뜻이~~
땡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