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자료 : 《증정문헌비고(增訂文獻備考)》<씨족고(氏族考)>(1787~1809) http://cafe.daum.net/ahncham/DFic/794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의 최종 간행은 1908년에 이루어졌으나, 맨 처음 사도세자의 장인 홍봉한(洪鳳漢,1713~1778)이 영조의 명을 받아 1770년에 100권의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을 만들었고, 그 후 3번의 보편(補編)을 거쳐, 1908년에 250권의『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를 홍문관에서 간행하였다. 일종의 관찬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재옥
①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1770년(영조 46) 13考 100권 40책.
- 기간: 1769년 12월~1770년 8월 [9개월]
② 증정문헌비고(增訂文獻備考): 1790년(정조 14) 20考 246권 66책.
- 기간: 1782년(정조 6)~1809년(순조 9) [28년]
1782년 이만운(李萬運) 수정·보완 1790년 완성. (저의 직계 선조입니다.)
1807년 아들 이유준(李儒準)이 보정. (일성록 보충)
1809년(순조 9) 완성. [미간행]
③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1906년(광무 10) 16考 250권 50책.
- 기간: 1903년(광무 7)~1908년(융희 2) [6년]
1907년 편집 완료.
1908년 활인 간행.
문헌비고는 중국의 문헌통고(文獻通考)를 본따서 만든 일종의 백과사전입니다.
성씨본관은 동국문헌비고에 없었고, 증정문헌비고에 비로소 “씨족고”가 편찬이 되었습니다.
증보문헌비고에서는 “왕계고”와 “씨족고”가 합쳐져 “제계고”가 되었습니다.
3단계에 걸쳐 증보문헌비고가 완성되기까지는 140년 정도가 소요되었습니다.
1908년 홍문관(弘文館)에서 편찬하여 간행된『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vol.12 / 권 49 / p.57~63에 소개된 안씨(安氏) 관련 기록이다.
安氏本姓李氏 始祖安瑗中國人 唐憲宗元和二年丁亥 東入于本國松岳山下 有三子 長枝春 次葉春 次花春 新羅景文王四年 甲申倭亂 三兄弟平亂 故賜姓安氏 枝春改名邦俊 封竹山君 葉春改名邦傑 封廣州君 花春改名邦俠 封廣州君 海東安氏之姓始此
안씨(安氏)의 본성은 이씨(李氏)로 시조 안원(安瑗)은 중국인이다. 당 헌종 원화 2년 정해(807년)에 동으로 들어와 본국의 송악산(松岳山) 아래에 정착했다. 세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은 지춘(枝春), 차남은 엽춘(葉春), 그 다음은 화춘(花春)이었다. 신라 경문왕 4년(864년) 갑신왜란(甲申倭亂) 때 3형제가 난을 평정하여 안씨(安氏)를 사성(賜姓)받았다. 지춘은 방준(邦俊)으로 개명하여 죽산군(竹山君)에, 엽춘은 방걸(邦傑)로 개명하여 광주군(廣州君)에, 화춘은 방협(邦俠)으로 개명하여 광주군(廣州君)에 봉해졌다. 우리나라 안씨(安氏) 성(姓)은 여기에서 시작된다.
1) 順興安氏 始祖 子美 (保勝別將 追封神虎衛上護軍 〇廣州君邦傑十世孫)
순흥안씨 시조 안자미(安子美)는 보승별장(保勝別將)으로 신호위상장군(神虎衛上護軍)에 추봉(追封)되었다. ○광주군(廣州君) 안방걸(安邦傑)의 10세손이다.
曾孫 裕 - 裕子 于器 - 于器子 牧 - 牧子 元崇 - 元崇子 瑗 - 瑗玄孫 琛 - 琛孫 璲 - 琛姪 處順 - 處順曾孫 瑛 - 瑗六世孫 玹 - 元崇十世孫 夢尹 - 裕八世孫 瑭
증손이 안유(安裕)이고, 안유의 아들이 안우기(安于器), 안우기의 아들이 안목(安牧), 안목의 아들이 안원숭(安元崇), 안원숭의 아들이 안원(安瑗), 안원의 현손이 안침(安琛), 안침의 손자가 안수(安璲), 안침의 조카가 안처순(安處順), 처순의 증손이 안영(安瑛)이다. 안원(安瑗)의 6세손이 안현(安玹)이고, 안원숭(安元崇)의 10세손이 안몽윤(安夢尹)이며, 안유(安裕)의 8세손이 안당(安瑭)이다.
子美五世孫 文凱(文 大提學 順興君 文懿公) - 文凱孫 天保 - 子美十一世孫 貴孫
안자미(安子美)의 5세손이 안문개(安文凱)로 문과에 급제하여 대제학에 올라 순흥군(順興君)을 지냈으며 시호가 문의공(文懿公) 이다. 안문개의 손자가 안천보(安天保)이다. 안자미(安子美)의 11세손이 안귀손(安貴孫)이다.
次孫 得財 (戶長 追封戶部郎中 爲一派) - 曾孫 軸 - 軸弟 輔 - 軸子 宗源 - 宗源子 景恭 - 景恭子 純 - 純子 崇善 - 崇善玄孫 名世 - 純五世孫 自裕
그 다음 손자가 안득재(安得財)로 호장(戶長)을 지냈고 호부낭중(戶部郎中)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일파를 이뤘다. 그의 증손이 안축(安軸)이고, 안축의 동생이 안보(安輔)이며, 안축의 아들이 안종원(安宗源)이고, 안종원의 아들이 안경공(安景恭), 안경공의 아들이 안순(安純), 안순의 아들이 안숭선(安崇善), 안숭선의 현손이 안명세(安名世)이고, 안순의 5세손이 안자유(安自裕)이다.
安奮 (商悅子 爲一派) 안분(安奮)은 안상열(安商悅)의 아들이며, 일파를 이뤘다.
2) 廣州安氏 始祖 綏 (門下侍中 〇廣州君邦傑 以縣吏起家 爲大將軍 封廣州君 十四世孫綏)
광주안씨 시조 안유(安綏)는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다. ○광주군(廣州君) 안방걸(安邦傑)은 현리(縣吏)로 가문을 일으켜 대장군(大將軍)이 되었고 광주군(廣州君)에 봉해졌다. 그의 14세손이 안유(安綏)이다.
五世孫 省 - 省孫 彭命 - 省曾孫 潤德 - 潤德曾孫 滉 - 滉曾孫 後說 - 滉六世孫 鼎福
그의 5세손이 안성(安省)이고, 안성의 손자가 안팽명(安彭命)이며, 안성의 증손이 안윤덕(安潤德)이고, 안윤덕의 증손이 안황(安滉)이며, 안황의 증손이 안후열(安後說)이고, 안황의 6세손이 안정복(安鼎福)이다.
安守之 (司正 爲一派) 안수지(安守之)는 사정(司正)을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3) 竹山安氏 始祖 令儀 (追封尙書左僕射 ○竹山君 邦俊 七世孫)
죽산안씨 시조 안영의(安令儀)는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봉되었다. ○죽산군(竹山君) 안방준(安邦俊)의 7세손이다.
曾孫 戩 政當文學 증손이 안전(安戩)으로 정당문학을 지냈다.
安濬 (少監爲一派) 안준(安濬)은 소감(少監)을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後孫 克仁 文 竹城君 文定公 - 克仁子 叔老 都巡問使 - 叔老孫 孟聃 世宗朝駙馬 延昌尉 良孝公 - 孟聃十世孫 允行 文 判敦寧 忠惠公 - 孟聃十四世孫 光直 文 判書 靖獻公
후손 안극인(安克仁)은 문과에 급제하여 죽성군이며 시호는 문정공이며, 안극인의 아들 안숙로(安叔老)는 도순문사를 지냈고, 안숙로의 손자 안맹담(安孟聃)은 세종 때 부마로 연창위에 봉해졌고 시호가 양효공이며, 안맹담의 10세손 안윤행(安允行)은 문과에 급제하여 판돈령부사를 지냈으며 시호가 충혜공이고, 맹담의 14세손 안광직(安光直)은 문과에 급제하여 판서를 지냈으며 시호가 정헌공(靖獻公)이다.
安元衡 (侍中 竹城君 爲一派) - 孫 魯生(文 判書) - 魯生孫 哲孫(文 都巡察使) - 元衡十世傍孫 邦俊(逸工曹參議 享書院)
안원형(安元衡)은 시중(侍中)을 지냈으며 죽성군(竹城君)으로, 일파를 이뤘다. 그의 손자 안노생(安魯生)은 문과에 급제하여 판서(判書)를 지냈고, 안노생(安魯生)의 손자 안철손(安哲孫)은 문과에 급제하여 도순찰사(都巡察使)를 지냈다. 안원형(安元衡)의 10세손 안방준(安邦俊)은 은일(隱逸)로 공조참의(工曹參議)를 지냈고 서원(書院)에 배향되었다.
安漢周 (判事 爲一派) 안한주(安漢周)는 판사(判事)를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安珪 (政堂文學 爲一派) 안규(安珪)는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安挺河 (司正 爲一派) 안정하(安挺河)는 사정(司正)을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安繼芳 (別將 爲一派) 안계방(安繼芳)은 별장(別將)을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4) 酒泉(原州屬縣)安氏 始祖 挺芳 (戶長)
주천(원주)안씨 시조 안정방(安挺芳)은 호장(戶長)을 지냈다.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酒泉面)
安敬仲 功臣原川君 爲一派 안경중(安敬仲)은 공신(功臣)으로 원천군(原川君)을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5) 公山(公州別號)安氏 始祖 翊 (本朝 贊成) 孫 慶孫(武 功臣 公山君)
공산(공주)안씨 시조 안익(安翊)은 우리 왕조에서 찬성(贊成)을 지냈다.
6) 忠州安氏 始祖 起 (戶長 ) 충주안씨 시조 안기(安起)는 호장(戶長)을 지냈다.
安束 (文 判江陵府使 爲一派) 안속(安束)은 문과에 급제하여 판강릉부사(判江陵府使)를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安善福 (縣監 爲一派) 안선복(安善福)은 현감(縣監)을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7) 耽津(康津別號)安氏 始祖 祐 (平章事 配享崇義殿) - 玄孫 止(文 領中樞 文靖公)
탐진안씨(강진안씨) 시조 안우(安祐)는 평장사(平章事)를 지냈고 숭의전(崇義殿)에 배향되었다.
安德璘 (典工摠郞 爲一派) 안덕린(安德璘)은 전공총랑(典工摠郞)을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8) 安山安氏 始祖 子由 高麗 忠穆王時 僉議評理 〇一作 評理孟 爲始祖 或者 字訛■
안산안씨 시조 안자유(安子由)는 고려 충목왕 때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냈다. 한편 평리(評理)를 지낸 안맹(安孟)을 시조로 하는 문헌도 있으나 글이 잘못 전해진 것이다.
9) 堤川安氏 始祖 迪材 (評理) 제천안씨 시조 안적재(安迪材)는 평리(評理)를 지냈다.
安公贊 (大將軍 爲一派) 안공찬(安公贊)은 대장군(大將軍)을 지냈으며, 일파를 이뤘다.
10) 安康(慶州屬縣)安氏 始祖 方粲 (大將軍) 안강(경주)안씨 시조 안방찬(安方粲)은 대장군(大將軍)을 지냈다.
安孚 (別將 爲一派) 안부(安孚)는 별장(別將)으로, 일파를 이뤘다.
11) 기타
1. 개성안씨開城安氏
2. 송도안씨松都(開城別號)安氏
3. 진강안씨鎭江(江華屬縣)安氏
4. 여흥안씨驪興(驪州別號)安氏
5. 파평안씨坡平(坡州別號)安氏
6. 수원안씨水原安氏
7. 이천안씨利川安氏
8. 수안안씨守安(通津屬縣)安氏 경기도 김포군 양촌면(陽村面)
9. 용인안씨龍人安氏
10. 과천안씨果川安氏
11. 양양안씨陽良(陽知別號)安氏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陽智面)
12. 추계안씨秋溪(陽知地方)安氏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陽智面)
13. 광반석안씨廣反石(忠州地方)安氏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乷味面)
14. 청주안씨淸州安氏
15. 괴산안씨槐山安氏
16. 지곡안씨地谷(瑞山屬縣)安氏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地谷面)
17. 임천안씨林川安氏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林川面)
18. 단양안씨丹陽安氏 충청북도 단양군(丹陽郡)
19. 태안안씨泰安安氏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泰安邑)
20. 이성안씨尼城安氏 충남 논산시 노성면(魯城面)
安世豪 (中宗朝 文科 副正)
안세호(安世豪)는 중종 11년(中宗朝, 1516)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정(副正)을 지냄.
21. 계은천안씨界銀川(靑山地方)安氏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靑山面)
22. 거이안씨居爾(靑山地方)安氏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靑山面)
23. 장풍안씨長豊(延豊別號)安氏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延豊面)
24. 덕천안씨德泉(牙山地方)安氏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德泉面)
25. 전주안씨全州安氏
26. 광주안씨光州安氏
27. 남원안씨南原安氏
28. 제주안씨濟州安氏
29. 장흥안씨長興安氏
30. 순천안씨順天安氏
31. 진원안씨珍原(長城屬縣)安氏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珍原面)
32. 육창안씨陸昌(靈光地方)安氏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郡南面)
33. 대곡안씨大谷(錦山)安氏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富南面)
34. 보성안씨寶城安氏
35. 창평안씨昌平安氏
36. 평덕안씨平德(康津地方)安氏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평덕(平德)
37. 보안안씨保安(扶安別號)安氏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保安面)
38. 함평안씨咸平安氏
39. 흥양안씨興陽安氏 전라남도 고흥군(高興郡)
40. 해남안씨海南安氏
41. 옥천안씨玉泉(海南屬縣)安氏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玉泉面)
42. 장계안씨長溪(長水屬縣)安氏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長溪面)
43. 경주안씨慶州安氏
44. 안동안씨安東安氏
45. 상주안씨尙州安氏
46. 진주안씨晉州安氏
47. 성주안씨星州安氏
48. 김해안씨金海安氏
49. 선산안씨善山安氏
50. 동평안씨東平(東萊續絃)安氏 부산시 동래구 부암동(釜岩洞)
51. 인동안씨仁同安氏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동(仁同洞)
52. 영천안씨永川安氏
53. 풍기안씨豊基安氏
54. 영덕안씨盈德安氏
55. 남해안씨南海安氏
56. 예안안씨禮安安氏
57. 이지안씨梨旨(新寧地方)安氏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新寧面)
58. 가을산안씨加乙山(安義地方)安氏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安義面)
59. 영산안씨靈山安氏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靈山面)
安堵 (高麗辛昌 戊辰 文科 獻納)
안도(安堵)는 고려 창왕 무진년(1388) 문과에 급제하여 헌납(獻納)을 지냄.
60. 연일안씨延日安氏 경상북도 포항시 연일읍(延日邑)
61. 장기안씨長鬐安氏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長鬐面)
62. 원주안씨原州安氏
63. 철원안씨鐵原安氏
64. 영성안씨寧城安氏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寧越邑)
65. 평해안씨平海安氏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平海邑)
66. 김화안씨金化安氏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金化邑)
67. 황주안씨黃州安氏 황해도 황주군 황주읍(黃州邑)
68. 해주안씨海州安氏
69. 평산안씨平山安氏
70. 연안안씨延安安氏
71. 풍천안씨豊川安氏
72. 서흥안씨瑞興安氏
73. 재령안씨載寧安氏
74. 수안안씨遂安安氏 황해도 수안군 수안면(遂安面)
75. 배천안씨白川安氏 황해도 배천군 배천읍(白川邑, 백천읍)
76. 토산안씨兎山安氏 황해도 토산군 토산읍(兎山邑)
77. 영흥안씨永興安氏 함경남도 영흥군 영흥읍(永興邑) = 현재 금야군 금야읍
78. 등주안씨登州(安邊別號)安氏 함경남도 안변군 안변읍(安邊邑) = 현재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
79. 익곡안씨翼谷(安邊屬縣)安氏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安邊邑)
80. 덕원안씨德源安氏 함경남도 문천군 덕원면(德源面) = 현재 강원도 원산시 덕원리
81. 안주안씨安州安氏 평안남도 안주시 안주읍(安州邑)
82. 정주안씨定州安氏 평안북도 정주군 정주읍(定州邑) = 현재 평안북도 관산군 정주리
83. 순천안씨順川安氏 평안남도 순천시 순천읍(順川邑)
84. 영원안씨寧遠安氏 평안남도 영원군 영원읍(寧遠邑)
85. 순안안씨順安安氏 평안남도 순안군 순안읍(順安邑) = 현재 평양시 순안구역
86. 태원안씨泰原安氏
以下邑屬未攷
87. 설성안씨雪城安氏 충청북도 음성군(陰城郡)
88. 축성안씨築城安氏
89. 기린안씨麒麟安氏
90. 순릉안씨順陵安氏
91. 흥봉안씨興峯安氏
92. 안흥안씨安興安氏
93. 광릉안씨廣陵安氏 경기도 광주시(廣州市)
94. 해산안씨海山安氏
95. 요동안씨遼東(中國)安氏 중국의 요동(遼東)
96. 운남안씨雲南(中國)安氏 중국의 운남(雲南)
97. 괴산안씨槐山安氏 (日本投化人) 일본 귀화인
|
|
첫댓글 안씨의 본관이 무려 10*97=107본이라니 엄청 많네요? 처음 들어본 본관이 너무 많아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지금의 본관과는 다른 의미로 이해해야 할 듯 싶습니다. 16세기 토성 속성을 조사했던 지리지를 보완한 정도인 듯합니다.제 경우를 예로 들자면, 저는 '죽산안씨'라고도 하지만 '보성의 안씨'라고 말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보성을 본관으로 하는 안씨로 분류되는 예.... 뭐 이런 정도로 이해해도 될 듯 합니다.
역사도바로세우는데 족보도바로세우는날이올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