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수카페]귀농사모/한국귀농인협회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소수력/무한동력 발전 전기가 안들어오는 오지지역(오프 그리드)에서 증기 엔진(증기기관)을 활용한 전력생산
세옹지마 추천 1 조회 2,331 14.11.30 08:34 댓글 1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11.30 09:39

    첫댓글 이해는가는데 만드는건 어려워보이내요 도면있음 만들어보고싶어지내요

  • 작성자 14.11.30 10:49

    동작상황을 알려주는 그림을 참고하세요?

  • 14.12.02 02:14

    이런 것을 구상은 했는데 가격을 알고 싶습니다.

  • 작성자 14.12.02 21:05

    미국 이베이에서 스팀엔진은 판매를 하는듯 합니다.

  • 작성자 14.12.26 08:14

    사진이 더이상 올라가지를 않는군요? 곳곳에 링크(이베이 링크등)를 걸어 놓았으니 자세히 내용을 숙지하시다 보시면 가격등 궁금한 자료들을 확인하실수 있씁니다.

  • 작성자 14.12.26 08:23

    Steam Engine with Alternator DC Electricity Off Grid Brass Oiler Boiler (가격)
    US $2,825.00

  • 작성자 14.12.27 18:20

    현재 문명은 지구상에 나타났던 그 어느때보다도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 바탕에는 그 누가 뭐라해도 석유문명이 인류의 삶에서 그 밑바탕을 충족시켜 주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1700연대 중엽에 촉발된 스티븐 제임스와트의 증기기관 발병으로 부터 촉발된 산업혁명은 눈부식 인류 문명의 발자취를 남기는 계기가 되었다. 이 때부터 지하자원의 본격적인 개발 및 사용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계기가 된다.

  • 작성자 14.12.27 18:20

    그렇지만 그 폐해 또한 만만치 아니한 것이 현실이다. 그 동안 풍속하게 사용되어 왔던 석유자원의 무분별한 사용은 지구의 환경을 피폐시키고 지구 온난화를 촉발시키는 결정적인 역활을 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인류의 재재앙을 전재하는 석유의 고갈이란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앞으로 지구상에서 인간이 사용가능한 석유자원은 현재의 사용량으로 볼때 40년을 넘지 않을 거라고 하는 것이 지배적인 생각이다. 물론 대표적 천연자원인 천원가스는 이보다 좀더 길고, 석탄자원은 앞으로도 200년 이상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 중론이긴 하다.

  • 작성자 14.12.27 18:21

    지금 준비하지 않은 다면, 석유자원의 고갈과 더불어 인류의 문명은 처참한 종말을 고하고 말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대체에너지원의 개발등은 석유자원 고갈을 지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것은 자명하지만, 그렇다고 이런 신재쟁의 개발이 에너지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수 있는 것은 전혀 아니다. 다면 자원 고갈을 조금더 뒤로 연장시킬 뿐이다.

  • 작성자 14.12.27 18:21

    인류의 에너지를 완전히 해겷할수 있는 것은 현재로선 핵융합 에너지원 밖에는 없다고 단언해도 틀린말은 아닐것이다. 다만 이런 핵융합 기술은 현재 인류기술로는 그 개발 가능성이 무척 희박하므로, 시간 연장 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원자력에너지 등이 석유고갈 시기를 지연시킬수 있는 좋은 방책일수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 작성자 14.12.27 18:24

    이런 일련의 방법중에 기존 기술을 활용한 석유자원의 회피 방법은 석유에너지고갈로 나타나는 인류의 위기를 좀더 지연시키는 역할을 충분히 할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런 방법중에 제가 생각하고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중 하나가 초초소수력의 사용 및 1700년대 개발된 증기기관의 활용이다.

    이런 관점에서 개발 및 사용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위의 내용을 정리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좋은 의견들 부탁드리며, 많은 분들이 이러한 시도에 동참할수 있기를 희망해 봅니다.

  • 작성자 14.12.27 18:21

    소형에서 증기기관(증기엔진)이 증기터빈보다 좋은 경우는, 증기의 질이 좋지 않아도 동작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다만 엔진이 갖는 마찰손실이라든지 급유장치의 난제, 재질의 강화등 갖추어야할 난제들은 있지만 어쨋거나 적은 용량으로 만들어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충분히 갖추고 있습니다.

  • 14.12.28 03:58

    아주 유용한 정보입미다 고견에 동의하는 1일입미다 .자동차엔진을 (내부) 모티브로 재작이 된겆같은 느낌이 드내요?
    내부연소 엔진같으면 유증기나 강재순환급유 로 해서 윤활이 대면은 수명에 실용적일겆 같은대 ,피스톤내부(링)압축,오일링은 없는겆 갖고.크랙팅로드(사이드)
    부분(윤활장치)측면.문재(2군대).직선운동에서 회전운동으로바뀌는부분 (플라이휠)양쪽.끝단(베어링2개)계속적인 윤활이 안대는겆이 자동으로 좀
    이분이 해결돼고 재질에 강화만 대면은 보편화(사업성)잊을걸료 보여집미다.개인적인 생각요^^

  • 작성자 14.12.28 07:45

    증기기관에서의 실린더 급유방식은 여러가자 방식이 있습니다. 상기 사징에너는 아주 특이하고 재미 있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강제 급유방식을 채택하고 있기도 합니다. 미국에서는 증기엔진용 오일도 생산되고 있는듯 합니다.

  • 14.12.28 04:00

    실린더 내부에 마찰(윤활문재).재 생각으로는 대락3군대만 해결대면은 실용적이라 생각됩미다?

  • 작성자 14.12.30 08:34

    감사합니다.

  • 작성자 19.10.03 06:39

    <<<rossco1948>>>

    George steam engine and boiler (오프 그리드 스팀엔진발전기)
    https://youtu.be/QkiAZ0dnXrc
    https://cafe.naver.com/renewableenergy/82417
    https://www.facebook.com/jungyong.jin/videos/2639662306094325/

    교류 발전기가 있는 스팀 엔진 및 보일러 - 전기가 안들어오는 오지지역(오프 그리드)에서 증기 엔진(증기기관)을 활용한 전력생산을 통한 에너지자립
    https://youtu.be/wV_5ib0PWAU
    https://cafe.naver.com/renewableenergy/81811
    https://www.facebook.com/jungyong.jin/videos/2290505171010042/

    Steam Engine Dynamo - 전기가 안들어오는 오지지역(오프 그리드)에서 증기 엔진(증기기관)을 활용한 전력생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