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이제까지 색맹만 있는 줄 알았는데, 색약이라는 것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색맹은 어느 특정한 색을 보지 못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색약은 무엇인가요?
색맹과 색약의 차이점에 대해 알려주세요~ |
현재 0/600 bytes (최대 한글 300자, 영문 600자)
알리미 해지는 My지식에서 가능합니다.
2008-12-23 13:23
유전적으로 보면 색약과 색맹은 같습니다. 색맹과 색약을 총칭해서 색각이상이라고 합니다.
색각이상은 반성유전에 속합니다. 남자의 염색체는 X Y, 여자는 X X 입니다. 색각이상과 관련 된 염색체는 X 염색체인데, 남자는 X 염색체가 하나 밖에 없어서 색각이상자일 경우 색구별에 문제가 생깁니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에는 X염색체가 2개 이기 때문에 X 염색체 하나에만 유전인자가 포함돼 있다면 색 구별에 문제가 없습니다.
색각이상은? 정상인과 같이 적색, 녹색, 청색 3가지의 원추세포를 모두 지니고 있지만 한 가지 또는 두 가지이상의 원추세포가 부실해서 해당되는 색이 다른 색과 섞여 있을 때 그 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능이 약해진 원추세포의 형에 따라 적색맹 색약, 녹색맹 색약, 청색맹 색약으로 구분됩니다..
실제로 색각이상 환자의 대부분은 적색맹색약과 녹색맹 색약이며 청색맹 색약은 매우 드물답니다.
|
현재 0/600 bytes (최대 한글 300자, 영문 600자)
2008-12-22 10:51
.색맹. 대부분이 선천적이며, 후천적으로는 망막질환이나 시신경질환의 경우에 볼 수 있으나 그 예는 드물다. 사람의 망막의 시세포에는 추상체(錐狀體)와 간상체(桿狀體)가 있는 데, 추상체는 밝은 곳에서 작용하여 색을 감각하지만 간상체는 어두운 곳에서 작용하 여 색을 감각하지 못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 이상의 밝기가 없으면 사람의 눈은 색 을 감각하지 못한다. 색맹은 전색맹과 부분색맹으로 대별되며, 부분색맹은 적록색맹 과 청황색맹으로 나뉘고 또한 적록색맹은 적색맹과 녹색맹으로 세분된다. 【전색맹】 매우 드물며, 전혀 색을 감각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계의 사물을 흑백사진 과 같이 다만 명암이나 농담(濃淡)을 느낄 정도이다. 녹색(정상자는 황색)을 가장 밝 게 느끼고, 적색을 어둡게 느낀다. 대개는 약시(弱視)를 동반하고 시력은 보통 0.1 이 하이다. 이것은 추상체의 기능이 없고 간상체의 기능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분색맹】 적록색맹이 색맹 중에서 가장 많다. 적록색맹은 적색과 녹색 ·회색, 청 황색맹은 청색과 황색 ·회색의 구별이 곤란하다. 적록색맹은 적색맹과 녹색맹으로 나 뉘고, 적색맹은 적색과 그 보색(補色)인 청록색이 무색으로 보이며, 녹색맹은 녹색과 그 보색인 적자색이 무색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신호등의 교통신호를 잘못 보는 수가 있다. 적록 색각 이상자는 한국에서는 여자가 남자의 1/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이 것은 반성열성유전(伴性劣性遺傳)이 행하여지기 때문이다. 그 유전자는 성염색체(性染 色體)에 있는데, 여성에서는 성염색체가 1쌍 있으므로 두 성염색체가 함께 그 유전질 을 갖지 않는 한 증상으로서는 발현하지 못하며, 남성에서는 1개뿐이므로 유전질이 있 으면 증상이 발현한다. 따라서, 여자에게는 이 증상의 출현율이 낮고, 흔히 건강하고 정상으로 보이는 여자 를 통하여 그 자녀에게 유전된다. 양친이 혈족결혼을 할 경우는 발현율이 높아진다. 색맹환자의 대부분은 선천적이므로 그 결함을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고, 자기 나름대 로 녹색 또는 적색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는 별 지장이 없지만, 직업의 선택에 있어서 특히 교통 ·운수 관계나, 여러 가지 미묘한 색을 분별해야 하는 직종 (디자이너 ·화가 ·과학자 ·의사 등)에는 부적당하다. 현재 선천성의 색각 이상에 대한 치료법에는 약물요법 ·필터 사용(최근에는 콘택트렌 즈에도 사용) ·보정연습(補正練習) 등이 있지만 어느 것이나 아직 확립되어 있지는 않아 치료법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색약. 정상인에 비하여 강한 자극이 아니면 느끼지 못하는 색맹의 정도가 약한 것을 말한 다. 전색약(全色弱)·적록색약·청황색약으로 대별되는데, 보통 빈도가 많은 것은 적 색과 녹색에 대하여 감수성이 감퇴된 적록색약이며, 적록색맹과 함께 적록이상(赤綠異 常)이라고 한다. 적록색약은 적색약(제1색약)과 녹색약(제2색약)으로 나누며, 회갈색 이나 황색이 적색 곁에 있으면 녹색으로 보이고, 녹색 곁에서는 적색으로 보이는 것 이 특징이다. 색맹과 마찬가지로 반성열성유전이며, 의학적으로 치료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