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돗개는 풍산개와 더불어 스피츠 그룹에 속해 있다.
스피츠 그룹의 개들은 대부분 북극지방이나 시베리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그레그 라슨 교수의 보고서에는 뉴기니 싱잉독이나 티베탄 마스티프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바이칼호개 유전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취급하고 있는데 바이칼호유전자의 대표적인 개가
시베리안 허스키이다.
그런데 일본개에는 바이칼호개 유전자가 일부 포함되어 있지만, 진돗개에는 바이칼호개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바이칼호는 시베리아에 있는 호수이다 그러므로 바이칼호개 유전자는 스피츠그룹의 유전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시베리안 허스키 또한 스피츠그룹에 포함되어 있다.
일본개의 자세가 전형적인 스피츠 품종의 자세와 유사한 것은 바이칼호개 유전자의 영향으로
보인다.
귀가 서고 꼬리가 들리거나 말린 동아시아개들은 스피츠 그룹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스피츠 그룹은 귀가 뾰족하고 꼬리가 말린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또다른 특징은
털이 길다는 것이다. 동아시아개들은 귀가 서있지만 스피츠그룹보다는 조금 숙여져 있고
털이 짧다. 그러므로 스피츠그룹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
진돗개는 동아시아개 즉 뉴기니 싱잉독의 유전자와 티베탄 마스티프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양 견종 모두 스피츠그룹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진돗개의 귀의 각도가 스피츠 그룹보다
조금 숙여져 있으며 털은 단모도 있지만 중장모도 있다. 진돗개의 자세도 스피츠그룹과는
다르다. 이런 이유들로 인하여 진돗개를 스피츠그룹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하여 의구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스피츠(Spitz) 세계 반려견 / 반려견(CD,伴侶犬) 2021. 1. 30. 13:19 |
스피츠 도그(Spitz dogs)
역사와 유래 및 기원(History & Origin)
스피츠(Spitz)는 사모예드(Samoyed)의 축소판(Reduction, 縮小版)이자, 포메라니안(Pomeranian)의 확대판(Enlargement, 擴大版)이라고 할 만큼 외모(Appearance, 外貌)가 너무나도 닮았다. 스피츠(Spitz)는 혈통(Lineages, 血統)에 따라 그 크기가 크거나 작거나 생김새(Appearance, 外貌)가 매우 가변적(Variable, 可變的)이다. 스피츠(Spitz)는 피니시 스피츠(Finnish Spitz), 재패니즈 스피츠(Japanese Spitz), 그리고 저먼 스피츠(German Spitz) 등 세 가지 품종이 가장 대표적(Typical, 代表的)이며, 이외에도 스피츠(Spitz) 유형의 품종은 매우 다양(Variety, 多樣)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품종은 재패니즈 스피츠(Japanese Spitz)이다. 재패니즈 스피츠(Japanese Spitz)는 시베리아(Siberia)의 썰매견(Sled Dog)으로 사용되었던 몸집(Build, 體軀)이 큰 사모예드(Samoyed)를 반려견(Companion Dog, 伴侶犬)으로 키우기 위해 작게 개량(Improvement, 改良)한 품종으로 일본(Japan,日本)이 원산지(Origin, 原産地)이다. 스피츠(Spitz)란 견명(Dog Name, 犬名)은 독일어(German, 獨逸語)의 "뾰족하다" 또는 "날까롭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스피츠(Spitz)는 논스포팅 그룹(Non-Sporting Group)에 속하며, 즉 일반적인 의미의 비수렵견(Non-hunting Dogs, 非狩獵犬)이나 실용견(Utility Dog, 實用犬)으로 분류가 된다.
스피츠(Spitz)는 일하는 작업견(Working Dog, 作業犬)이 아닌 반려견(Companion Dog, 伴侶犬) 또는 무릎에 앉히는 랩 도그(Lap Dog)의 용도(Use, 用途)로 설계(Designed, 設計)하여 개발(Developed, 開發)된 품종이다. 포메라니안(Pomeranian)은 원래 케이스혼트(Keeshond)의 크기보다 훨씬 더 큰 개였지만, 용인(Acceptable, 容認)될 수 있는 코트 애니멀(Court animal)을 만들기 위해 사육(Bred, 飼育)되었다. 저먼 스피츠(German Spitz)의 울프스피츠(Wolfspitz) 변형(Variation, 變形)인 케이스혼트(Keeshond)는 다정(Affectionate, 多情)하고 충성(Loyal, 忠誠)스러우며 매우 활기(Energetic, 活氣)가 넘치는 애완견(Pet Dogs, 愛玩犬)으로, 한때는 "더치 바지 도그(Dutch Barge Dog)"라고 불렸으며, 바지선(Barges)의 감시견(Watch dog, 監視犬)으로 길러졌다.
스피츠(Spitz)는 복수형(Pluralized, 複數形)인 "스피치즈(Spitzes)" 또는 독일어(German, 獨逸語)인 "스핏젠(Spitzen)"에서 유래(Originate, 由來)하였다. 오늘날 보이는 스피츠 도그(Spitz dogs)들의 정확(Exact, 正確)한 기원(Origin, 起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스피츠(Spitz)는 북극 지역(Arctic region, 北極地域)이나 시베리아(Siberia)에서 유래(Originate, 由來)되었다. 이 유형은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Johann Friedrich Gmelin)이 1788년(1792년 영어로 인쇄)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 自然體系)"를 개정(Revision, 改正)하면서 카니스 포메라누스(Canis Pomeranus)로 묘사(Describeed, 描寫)했다.
오스트리아(Austria)의 엘리자베스 황후(Empress Elisabeth, 皇后)의 어머니인 바바리아의 루도비카(Ludovika of Bavaria, 1808~1892)가 스피츠(Spitz)를 무릎 위에 앉고 있는 모습
별칭(Other Names, 別稱)
스피츠 도그(Spitz Dog), 스피치즈(Spitzes), 스핏젠(Spitzen), 카니스 포메라누스(Canis Pomeranus)
품종 지위(Breed status, 品種 地位)
스피츠(Spitz)는 그 유형이 매우 다양(Variety, 多樣)하며, 대다수의 스피츠 품종(Spitz Breeds)들이 세계 애견 연맹(Federation Cynologique Internationale, FCI)에서 공식적(Official, 公式的)으로 인정(Recognition, 認定)받고 있으며, 현재 세계의 다른 주요 켄넬클럽(Major Kennel Club)으로부터 표준화 품종(Standardized breed, 標準化 品種)으로 인정(Recognition, 認定)받고 있는 스피츠 유형(Spitz types, 類型)들이 많다.
작업견(Working Dogs, 作業犬)
스피츠(Spitz)는 선택적인 번식(Selective breeding, 選擇的 繁殖)을 통해 사냥(Hunting, 獸獵), 목축(Herding, 牧畜), 썰매끌기(Pulling Sleds) 등 세 가지의 방법으로 인간(Human, 人間)을 돕기 위해 개발(Developed, 開發)되었다. 아키타 이누(Akita Inu, 秋田犬), 카렐리안 베어 도그(Karelian Bear Dog), 노르웨지안 엘크하운드(Norwegian Elkhound), 스웨디시 엘크하운드(Swedish Elkhound)와 같은 더 크고 더 강력(Powerful, 強力)한 품종은 인간이 사슴(Moose, 鹿)과 불곰(Brown bears)을 사냥(Hunting, 獸獵)하는 것을 돕는 대형동물 사냥(Big Game Hunting, 大型動物狩獵)에 사용된다.
노르웨지안 부훈트(Norwegian Buhund), 피니시 스피츠(Finnish Spitz), 노르웨지안 룬데훈트(Norwegian Lundehund) 같은 작은 품종들은 스칸디나비아(Scandinavia)에서 새(Birds, 鳥)와 작은 포유동물(Mammals, 哺乳動物)들을 사냥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베리아(Siberia)의 사모예드(Samoyed)는 엘크(Elk, 鹿)와 사슴(Deer, 鹿) 무리의 사냥(Hunting, 獸獵)에 사용되었다. 피니시 라프훈트(Finnish Lapphund), 스웨디시 라프훈트(Swedish Lapphund), 라포니안 허더(Lapponian Herder)는 사미족(Sami people)에 의해 순록(Reindeer, 馴鹿) 무리의 목축일을 돕는 목축견(Herding Dog, 牧畜犬)으로 사용되었으며, 사냥(Hunting, 獸獵)과 썰매견(Sled Dog)으로도 사용되었다.
스피츠(Spitz) 중에서 가장 큰 세 가지의 품종인 알래스칸 말라뮤트(Alaskan Malamute), 캐나디안 에스키모 도그(Canadian Eskimo Dog), 그린랜드 도그(Greenland Dog) 등은 19세기까지 썰매견(Sled Dog)으로 사용되었다. 그 세기 동안 모피 수집(Fur trapping, 毛皮收集)과 썰매견 경주(Sled dog Racing)가 고수익성 사업(Lucrative businesses, 高收益性事業)으로 호황(Boom, 好況)을 누릴 때, 작고 빠른 시베리안 허스키(Siberian Husky)가 캐나다(Canada)와 알래스카(Alaska)에서 더 자주 사용되었다.
기질(Temperament, 氣質)
스피츠(Spitz)는 혹독(Harsh, 酷毒)한 북방 기후(Northern Climates, 北方氣候)에서 살기에 아주 적합(Suited, 適合)하다. 그들은 보통 체온(Temperature, 體溫)을 보호(Insulating, 保護)하기 위해 겉털(Topcoat, 外部皮毛)보다 더 조밀(Dense, 稠密)하고 방수(Waterproof, 防水)가 되는 속털(Undercoat, 內部皮毛)을 가지고 있다. 작은 귀는 동상(Frostbite, 凍傷)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발에서 자라는 두꺼운 털은 날카로운 얼음조각으로부터 개들을 보호한다. 아키타(Akita, 秋田犬), 차우 차우(Chow Chow)와 같은 많은 품종은 낯선 사람(Unfamiliar humans, 外部人)들과 다른 개들에 대한 독립성(Independence, 獨立性), 의심성(Suspiciousness, 疑心性), 공격성(Aggression, 攻擊性)과 같은 늑대(Wolf)와 같은 특성(Characteristics, 特性)을 지니고 있다.
또한, 스피츠(Spitz)는 도시 환경(Urban Environment, 都市環境)에서 다루기 쉽도록 어릴 때 훈련(Training, 訓練)과 조기 사회화(Early Socialization, 早期社會化)를 필요로 한다. 카렐리안 베어 도그(Karelian Bear Dog)와 같은 개들은 반려견(Companion Dog, 伴侶犬)으로 훈련(Training, 訓練)하기가 더 어렵다. 어떤 사람들은 스피츠(Spitz)가 다른 개들보다 광견병(Rabies, 狂犬病)에 더 걸리기 쉽다고 주장한다. 포메라니안(Pomeranian)과 같은 몇몇 품종들은 말(Horse, 馬)이나 사자(Lion, 獅子)처럼 털이 무성한 갈기(Manes)를 가지고 있다.
스피츠(Spitz)는 온순(Docile, 溫純)하면서도 사람을 잘 따르고 가족(Family, 家族)을 보호(Protection, 保護)려는 습성이 있어서 반려견(Companion Dog, 伴侶犬)으로 매우 적합(Suited, 適合)한 견종이라 할 수있다. 어린 강아지의 스피츠(Spitz)가 해맑은 미소를 지으며 웃고 있는 표정(Expression, 表情)은 참 예쁘고 순박(Naive, 淳朴)하다. 스피츠(Spitz)는 입만 벌려도 웃는 표정(Expression, 表情)이라 매력적(Cutest, 魅力的)이고,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인기(Popularity, 人氣)가 좋은 동반자(Companion, 同伴者)이다. 스피츠(Spitz)는 생후 1~2개월 때에는 생김새(Appearance, 外貌)가 포메라니안(Pomeranian)과 매우 흡사(Similar, 恰似)하다.
재패니즈 스피츠(Japanese Spitz)의 대표적(Typical, 代表的)인 특징(Characteristics, 特徵)은 번견(Watch Dog, 番犬)으로서 경비견(Guard Dog, 警備犬) 역할을 잘 해낸다는 것이다. 또한, 스피츠(Spitz)는 주의력(Attention, 注意力)과 관찰력(Observation, 觀察力)이 대단히 좋고 경계심(Alert, 警戒心)이 강하다. 청각(Auditory Sense, 聽覺)이 매우 예민(Sensitive, 銳敏)하고, 그 자태(A figure, 姿態)는 아주 우아(Graceful, 優雅)할뿐만 아니라, 기품(Elegance, 氣品)이 있으며, 움직임에 있어서 동작(Actions, 動作)은 재빠르다.
외형(Appearance, 外形)
스피츠(Spitz)의 외모(Appearance, 外貌)는 키(Height, 體高)와 몸무게(Weight, 體重)가 소형견(Small-sized Breed, 小型犬)에서 중형견(Medium-sized Breed, 中型犬) 사이의 크기의 개가 거의 대다수의 품종을 이룬다. 스피츠(Spitz)는 목 주위에 솜털 같은 털들이 부풀어오른 플러피 러프(Fluffy ruffs), 두르르 감긴 꼬리의 컬드 테일(Curled tails), 작은 주둥이(Small muzzles)와 작은 귀(Small ears)를 가졌다. 이러한 경향은 아주 작은 티니 포메라니안(Tiny Pomeranian)에게서 가장 잘 나타난다.
코트(Coat, 皮毛)는 털이 긴 롱 코트(Long coat, 長毛), 두껍고 빽빽한 틱 코트(Thick-coat), 매우 조밀한 덴스 코트(Dense coat), 그리고 부드럽고 솜사탕 같은 소프트 코트(Soft coat)를 가지고 있다. 때로는 흰색의 털(White fur, 白色毛), 그리고 뾰족한 귀(Pointed ears)와 머즐(Muzzle - 코와 주둥이 부분)의 특징(Characteristics, 特徵)을 한 집개(Domestic Dogs, 家庭犬)의 유형이다. 꼬리(Tail, 尾)는 가끔씩 등 뒤로 젖혀진 품종도 있다.
재패니즈 스피츠(Japanese Spitz)의 코트(Coat, 皮毛)는 순백색(Pure White, 純白色)의 풍성한 털과 장식털이 많은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는 깔끔하고 뾰족한 얼굴과 우뚝 선 귀를 가지고 있으며, 털의 색깔(Coat Colors, 毛色)은 오로지 흰색(White, 白色)만 있고, 다른 색은 존재하지 않는다. 저먼 스피츠(German Spitz)는 크기별로 다시 울프(Wolf), 자이언트(Giant), 미텔(Mittel), 클라인(Klein), 츠베르크(Zwerg) 등 다섯 가지로 나눈다. 저먼 스피츠(German Spitz)는 털의 색깔(Coat Colors, 毛色)이 흰색(White, 白色)과 검정색(Black, 黑色), 오렌지색(Orange, 朱黃色) 등 다양하다.
스피츠(Spitz) 품종(Breeds, 品種)의 목록(List, 目錄)
1. 아키타(Akita, 秋田犬) 2. 알래스칸 허스키(Alaskan Husky) 3. 알래스칸 클리 카이 (Alaskan Klee Kai) 4. 알래스칸 말라뮤트(Alaskan Malamute) 5. 아메리칸 아키다(American Akita) 6. 아메리칸 에스키모 도그(American Eskimo Dog) 7. 블랙 노르웨지안 엘크하운드(Black Norwegian Elkhound) 8. 가나안 도그(Canaan Dog) 9. 캐나디안 에스키모 도그(Canadian Eskimo Dog) 10. 차우 차우(Chow Chow)
11. 차이니즈 샤페이(Chinese Shar-Pei) 12. 대니시 스피츠(Danish Spitz) 13. 이스트 시베리안 라이카(East Siberian Laika) 14. 유라시아(Eurasier) 15. 피니시 라프훈트(Finnish Lapphund) 16. 피니시 스피츠(Finnish Spitz) 17. 저먼 스피츠(German Spitz) 18. 그린랜드 도그(Greenland Dog) 19. 홋카이도 도그(Hokkaido Dog, 北海道犬) 20. 아이슬란드 시프도그(Iceland Sheepdog)
21. 인디안 스피츠(Indian Spitz) 22. 잠트훈트(Jamthund) 23. 재패니즈 스피츠(Japanese Spitz) 24. 카이 켄(Kai Ken) 25. 카렐리안 베어 도그(Karelian Bear Dog) 26. 케이스혼트(Keeshond) 27. 킨타마니(Kintamani) 28. 기슈 켄(Kishu Ken) 29. 진돗개(Jindo Dog, 珍島犬) 30. 코리안 옐로우 스피츠(Korean Yellow Spitz, 누렁이)
31. 래브라도 허스키(Labrador Husky) 32. 라포니안 허더(Lapponian Herder) 33. 맥켄지 리버 허스키(Mackenzie River Husky) 34. 노르보텐 스피츠(Norrbottenspets) 35. 노던 이누이트 도그(Northern Inuit Dog) 36. 노르웨이안 부훈트(Norwegian Buhund) 37. 노르웨이언 엘크하운드(Norwegian Elkhound) 38. 노르웨지안 룬데훈트(Norwegian Lundehund) 39. 포메라니안(Pomeranian) 40. 풍산개(Poongsan Dog, 豊山犬)
41. 러소 유러피안 라이카(Russo European Laika) 42. 사할린 허스키(Sakhalin Husky) 43. 살리시 울 도그(Salish Wool Dog) 44. 사모예드(Samoyed) 45. 세팔라 시베리안 슬레드독(Seppala Siberian Sleddog) 46. 시바 이누(Shiba Inu) 47. 시코쿠(Shikoku) 48. 시베리안 허스키(Siberian Husky) 49. 스웨디시 라프훈트(Swedish Lapphund) 50. 스웨디시 발훈트(Swedish Vallhund)
51. 스웨디시 화이트 엘크하운드(Swedish White Elkhound) 52. 타마스칸 도그(Tamaskan Dog) 53. 타이 방케이 도그(Thai Bangkaew Dog) 54. 볼피노 이탈리아노(Volpino Italiano) 55. 웨스트 시베리안 라이카(West Siberian Laika) 56. 야쿠티안 라이카(Yakutian Laika)
참조(Reference, 參照)
1. 위키피디아 "Spitz" https://en.wikipedia.org/wiki/Spitz
이미지(Image)
첫댓글 멋진견들 잘보았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올려주신 글과 위키피디아에 탑재된 'Spitz'를 읽으면서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감사합니다.
스피츠그룹에 진돗개를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고 있어서 두서없는 글을
올려 보았습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