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李白)-대주억하감(對酒憶賀監)(하지장을 그리워하며)
四明有狂客(사명유광객) 사명산에 한 광객 있었으니
風流賀季眞(풍류하계진) 저 풍류시인 하계진이라
長安一相見(장안일상견) 장안서 대뜸 만나자마자
呼我謫仙人(호아적선인) 나를 적선이라 불러주었지
昔好杯中物(석호배중물) 그 옛날 그리도 술을 좋아하더니
今爲松下塵(금위송하진) 이젠 소나무 아래 흙이 되었네요
金龜換酒處(금귀환주처) 금거북이를 술과 바꾸던 곳
却憶淚沾巾(각억루첨건) 생각사록 눈물이 수건을 적시네
*이백[李白, 701 ~ 762,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은 중국 당나라 시인으로 시성(詩聖)으로 불린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 최대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으로 불렸고, 소년시대부터 검술을 좋아하여 협객 속에 끼어 방랑생활을 보내는 일이 많았으며, 42세 때 현종에게 그 시재를 인정받아 궁정시인이 되었으나 자유분방한 성격 등이 화근이 되어 장안에서 쫓겨나 다시 방랑하였는데, 두보가 인생과 사회에 관심을 기울인 데 대해서 이백은 자연과 술을 사랑하면서 절구에 뛰어났고, 작품으로는 “청평조사(淸平調詞)”, “장진주(將進酒)”, “월하독작(月下獨酌)”, “상삼협(上三峽)”, “협객행(俠客行)” 등이 있습니다.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俠氣)와 신선(神仙)과 술이고,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으며, 두보의 시가 퇴고를 극하는 데 대하여, 이백의 시는 흘러나오는 말이 바로 시가 되는 시풍(詩風)이었다고 합니다.
*위 시는 한문학계의 원로이신 손종섭 선생님의 “노래로 읽는 당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본 것으로, 이백은 하지장보다 42세나 연하이고, 한쪽은 고관이고 한쪽은 백수, 두 사람의 만남은 서로의 시를 통하여 지기를 얻은 듯, 연치를 초월한 망년지교로 친해졌던 것, 그 외에 시주詩酒를 좋아하는 호방불기한 성격도 같아 처음 만나자마자 적선이란 칭호까지 붙여주었던 것, 만나면 항상 호음豪飮하던 두 사이였으나 이제 그는 가고 그가 금거북으로 술을 바꾸어 마시던 그 술집에 다시 들은 이백은 술상을 앞에 둔 채 하염없이 울고만 있다. 고인을 추모하는 지정의 눈물이 끝없이 넘쳐나고 있는 것이다. 한 잔 한 잔마다 고이는 눈물의 술을 마시며 흐느끼며, 쏟아져 내리는 눈물을 숫제 방류해놓고 있는 정황이라 합니다.
*賀監(하감) : 하지장(賀知章)(659~744)을 이름, 자는 계진(季眞), 그가 현종 때 비서감이었으므로 이르는 말, 술을 좋아하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고, 성품이 활달하여 만년에 사명광객四明狂客이라 자호自號하고 고향인 산음山陰에 돌아가 도사가 되었다.
謫仙(적선) : 하늘에서 귀양온 신선이란 뜻으로 하지장이 붙여준 이백의 별호
杯中物(배중물) : 잔 안에 든 물건이란 뜻으로 술의 우회적 애칭
金龜(금귀) : 금으로 만든 거북 모양의 장신구
却憶(각억) : 돌이켜 생각함, 추억함
첫댓글 사람이 사람을 알아본다는 것 그것 만으로도 지기가 될 수 있죠....
주고 받는 시향에 마음은 깊어가고...
그 사람은 가고 술잔 기울일 사람 없으니 가슴은 애닯으고.........
회장님의 멘트가 너무 멋지고 아련하네요,
오늘도 행복한 날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