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어떻게 보내느냐고요? 정말 아무것도 안 해요. 차례도 지내지 않고…. 아버지 모시고 가족들이랑 근교로 나들이나 갈까 해요.”
19일 서울 경복궁 옆 카페에서 만난 이치억 성균관대 유교철학문화컨텐츠연구소 연구원(42·사진)은 추석 계획을 묻자 싱긋 웃으며 이렇게 말했다. 이 연구원은 퇴계 이황의 17대 종손이다. 1000원짜리 지폐에 그려진 이황이 누군가? 조선 성리학의 기초를 세운 인물 아닌가. 그런 뼈대 있는 가문의 자손이 차례를 안 지낸다고?
“추석엔 원래 차례를 지내는 게 아니에요. 추석은 성묘가 중심인데, 저희는 묘가 워낙 많아 일부는 (벌초) 대행을 맡겼어요. 그리고 성묘는 양력으로 10월 셋째 주 일요일을 ‘묘사(墓祀)일’로 정해 그때 친지들이 모여요. 그러니 추석은 그냥 평범한 연휴나 다를 게 없죠.”
종갓집답지 않은 이 오붓한 추석은 십수 년 전 이 연구원의 부친이자 이황의 16대 종손인 이근필 옹(86)의 결단에서 시작됐다. “아버지는 무척 열린 분이세요. 예법을 그냥 답습하지 않고 그 의미가 뭔지 계속 고민하셨죠. 집안 어르신들도 변화를 거부해선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계셨고요.”
퇴계 종가의 제사상은 단출하기로도 유명하다. ‘간소하게 차리라’는 집안 어른들의 가르침 때문이다. 한 때는 1년에 20번 가까이 제사를 지냈지만 현재는 그 횟수가 절반 이하로 줄었다. “만약 집안 어른이 자손들에게 조선시대의 제사 형식을 고수하라고 한다면 그 제사가 유지될 수 있을까요? 오히려 자손들이 등을 돌려 아예 없어지고 말 거에요. 예(禮)란 언어와 같아서 사람들과 소통하면 살아남지만, 그렇지 못하면 사라지고 말죠. 시대와 정서에 맞는 변화가 필요해요.”
제사가 있을 때는 이 연구원도 부엌에 들어간다. “음식 만들기엔 소질이 없지만 설거지는 제가 해요(웃음).” 할아버지, 할머니는 설거지를 하는 증손을 받아들이지 못했지만 그의 아버지는 단 한번도 뭐라 한 적이 없었다.
“원래 예에는 원형(原型)이 없어요. 처음부터 정해진 형식이 있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마음을 따라 하다보니 어떤 시점에 정형화된 것이죠. 우리가 전통이라고 믿는 제사도 조선시대 어느 시점에 정형화된 것인데 그게 원형이라며 따를 필요는 없다고 봐요. 형식보다 중요한 건 예의 본질에 대한 성찰이에요.”
그는 “우린 평소 조상을 너무 잊고 산다”며 “명절만이라도 ‘나’라는 한 사람의 뿌리인 조상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것, 가족과 화목하게 지내는 것, 그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 아내도 남편도 힘든 명절은 그만…“과일-송편으로 충분” ▼
‘하아! 이 망할 놈의 유교 같으니라고….’
이 땅 위의 한국인들은 추석 때마다 마음 한 켠으로 조그맣게 이런 말을 읊조렸을지 모른다. 몇 시간 동안 막히는 고속도로를 뚫고 도착한 선산에서 윙윙대는 벌들과 싸워가며 예초기를 밀 때, 언제나 친정은 뒷전으로 하고 시댁부터 찾아가 추석의 하이라이트를 보내야 할 때, 얼굴도 모르는 남편의 조상님을 위해 환갑이 넘어서까지 차례상을 차려야 할 때, 이들은 생각한다. ‘유교 때문에 내가 죽겠다….’
초등학생인 시동생을 ‘도련님~’하고 불러야 하는 며느리는 마치 몸종이 된 기분이 든다. 추석이 끝난 뒤 분노를 쏟아내는 아내를 보는 남편들도 생각한다. ‘어머니, 왜 저를 유교 문화권에 낳으셨나요….’
하지만 유교전문가들은 억울하다. 한국인에게 유교가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현실이. 사실 조상님들의 ‘본심’은 그게 아닌데 본 뜻을 살리지 못한 잘못된 예법이 중구난방으로 전해져 마치 무조건 따라야 할 형식처럼 돼 버렸단 것이다. 조상을 공경하며 가족 모두 화목한 추석이 되기 위한 우리의 예(禮)는 무엇일까. 동아일보가 창간 98주년을 맞아 진행한 ‘새로 쓰는 우리 예절 신예기(新禮記)’ 시리즈 속에서 답을 찾아봤다.
▽추석 차례, 안 지내도 그만=본래 유교에서는 기제사(고인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제사)만 지낼 뿐 명절엔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차례상 문화는 명절 날 자손들만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게 죄송해 조상께도 음식을 올리면서 생겼다. 여기에 조선 후기 너도 나도 양반 경쟁을 벌이면서 차례상이 제사상 이상으로 복잡해졌다는 것. 집안 전통상 차례 지내기가 관례라면 과일과 송편으로도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전 부치다 싸우면 바보=명절 기간 최고로 힘든 노동 중 하나는 ‘전 부치기’다. 보통 차례상에 올리기 위해 만드는 경우가 많다. 유교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는 잘못 전해진 예법의 대표적 예다. “제발 제사상에 전 좀 올리지 마세요. 유교에서는 제사상에 기름 쓰는 음식 안 올려요. 그건 절(사찰)법이라고요. 전 부치다 이혼한다는 데, 조상님은 전 안 드신다니까요.” (방동민 성균관 석전대제보존회 사무국장)
▽제사상 과일 위치, 집집마다 달라요=제사상을 차릴 때 흔히 ‘홍동백서(붉은색 음식은 동쪽, 흰색 음식은 서쪽에 놓음)’라는 말을 쓰지만 이는 정해진 게 아니다. 예서에는 ‘과일’이라고만 나와 있을 뿐 과일의 종류나 놓는 위치를 규정하지 않고 있다. 제사상 차림은 가가례(家家禮·각 집안마다의 예법)에 따르면 된다.
▽장남 혼자 제사 책임? 오해에요=장남만 제사를 지내야 한다거나, 음식은 한 집이 책임져야 한다거나, 여자는 음식만 만들 뿐 제사상에 절을 올려서는 안 된다는 것 모두 잘못 전해진 관념이다. 과거 조상들은 형제마다 각자 음식을 준비해오거나 제사 일부를 나눠 맡는 ‘분할봉사’를 했다. 종갓집에서는 지금도 제사 때 반드시 두 번째 술잔을 맏며느리에게 올리게 해 여성의 존재를 존중한다.
▽명절 때 방문 순서 번갈아 가면 어때요=직장인 신재민 씨(39)는 “결혼 초 명절 때마다 늘 우리집(시댁)부터 먼저 가는 관행 때문에 아내 불만이 많았다”며 “몇 년 전부터 한 해씩 친정과 번갈아 먼저 가기로 했는데 서로 만족한다”고 말했다. 양가 중 자녀가 한 명 뿐이거나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 등 좀 더 외로운 부모 쪽을 먼저 찾아 배려하는 것도 좋다.
내가 알기로 전은 궁중 잔치음식임. 옛날 전은 귀한 참기름이나 돼지 비계기름으로 부치는 거라서 아무날이나 먹을 수 없는 음식이었음. 귀한 음식이니까 애들도 먹고싶다고 옆에서 방방 뛰고 만드는 어른들도 신났겠지? 저런거 부칠 정도면 어지간히 부잣집 이상이니까 하인들이 품삯 제대로 받고 노동하는 거고.
그리고 세레머니를 주관하는 며느리는 제사에서 두번째로 술을 올림. 제사에서 술 올리는 건 나름 되게 권력이라. 초헌 아헌 종헌이라 해서 세 번 올리는데 지방행사에서는 귀빈이나 국회의원 시킬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행위임.
그니까 제사를 지낼거면 지금도 누구나 기대되고 신나는 음식을 마련해서 제사지내고 먹어야 맞는 것 같음.
첫댓글 음식한테 절하기
돈많이쓰고 개고생해서 음쓰나 왕창 만드는 밥숟가락에 절하는의식 우리대에 없애버려야지
걍 양반행세좀 해보다 술먹고싶은 남백정남들때문아님? 제사음식 다 술안주임 국까지 해장국
우리집 상놈의 집안인거같다 ㅋㅋ
음식에 왜 절해?
진짜 지랄임..하면서 기름 두통쓰고 키친타올 두개쓰는데 자원아까워ㅅㅂ..
우린 친가는 묘도 걍 다 파묘(? 해서 뼛가루 다 선산에 뿌려서 성묘도 없고ㅋㅋㅋ 짜피 제사나 차례 하러 우리집 오는 친척도 없어서.. 추석은 걍 놀러다님.. 설날엔 우리가 먹고싶은 무근본 음식 해먹음.. 핢핣이 먹어? 내가 먹어!!!!!
우리집도 안해요 ㅇㅅㅇ
...솔직히 국이랑 과일만 올려도 의미상으로 충분한데 문어에 상어고기에 배추전 파전...꼬치.. 떡에다가 두부부침 에혀
진짜 그만좀 했음 좋겠다 하
울개비한테 밤마다 자기전에 정독하라고 시키고싶다 그래도 고집 못 꺾겠지만
우리집도 성묘만 해 차례안함…
이게 상황이랑 맞는 말인지 모르겠는데, 내 주변에 조상덕 보고 잘 사는 사람들 있잖아. 지금도 골프 여행 가고 해외여행 가고 호 캉스 가고 캠핑 가더라.
솔직히 전부치면서 다같이 막걸리 마시는맛에 부치지... 술없이 전부치라했음 벌써 빡쳤음... 그나마 우리집제사라 다행이지...놈의 성씨 제사였음 생각만해도 열받음....
부자인 사람들 명절에 해외가고 하는거 시제를 제대로 지내기 때문... 명절 이런거 살아계신 어른들 뵙는날 인사하는날임 조상 덕 보려면 시제를.제대로 지내야 한다고 들었음 .. 성묘하고 ㅠㅠ 우리집 맨날 제사 열심히 지내는거 그래서 개빡침
아 이런 내용 좀 틀딱들 보는 뉴스에 한시간 편성하라고 ㅡㅡ
그러게 울 개비 좀 봐야는데
아침에도 존나 현타오더라 이개 먼짓이야
우리는 우리 먹을거만 아빠가 다 하고 만든김에 차례 후딱 지내는데 앞으로 차례도 안 하기로 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