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장자호(卞莊刺虎)
변장자가 호랑이를 찔러 죽였다는 뜻으로, 실력이 대등한 쌍방의 다툼을 이용해 이득을 얻는 제3자의 지혜를 이르는 말이다.
卞 : 성씨 변(卜/2)
莊 : 씩씩할 장(艹/7)
刺 : 찌를 자(刂/6)
虎 : 범 호(虍/2)
(유의어)
방휼상쟁(蚌鷸相爭)
어부지리(漁父之利)
일거양득(一擧兩得)
일거양획(一擧兩獲)
일전쌍조(一箭雙鵰)
출전 : 사기(史記) 장의열전(張儀列傳)
아무런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횡재한 경우의 대표가 어부지리(漁父之利)다. 조개와 황새가 싸우는 바람에 어부가 잡으려 생각도 않은 조개와 황새를 얻었다. 개와 토끼가 쫓고 쫓기다 둘 다 지쳤을 때 얻은 농부의 전부지공(田父之功)도 같다.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득을 보는 일거양득(一擧兩得)이나 화살 하나를 쏘아 두 마리 새를 잡는 일전쌍조(一箭雙雕)는 노력 이상의 소득을 얻었을 때다.
이보다 더 적극적으로 계책을 써서 두 적으로 하여금 싸우도록 하고 모두 망하도록 하면 최상의 결과다. 두 마리 호랑이를 서로 싸우게 하여 지쳤을 때 다 잡는 이호경식계(二虎競食計)의 지혜는 변장자가(卞莊) 호랑이를 찌른다(刺虎)는 이야기에서 나왔다. 변장자(卞莊子)는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때 노(魯)나라의 대부이자 혼자 힘으로 호랑이를 잡을 수 있는 용사였다.
어떤 지역에서 호랑이가 자주 나타나 소를 잡아먹고 사람들을 해쳐 변장자가 나서 잡으려 했다. 여관의 중노미가 말리면서 호랑이 두 마리가 소를 먼저 먹으려 싸울 때까지 기다리라고 했다. 그럴듯하게 여긴 변장자가 서서 기다렸다. "두 호랑이가 싸움을 벌여 큰 놈은 상처를 입고 작은 놈은 죽었다(兩虎果鬬 大者傷小者死/ 양호과투 대자상소자사). 변장자는 상처 입은 호랑이를 찔러 죽여 한 번에 두 마리를 잡았다는 명성을 얻었다(莊子從傷者而刺之 一擧果有雙虎之功/ 장자종상자이자지 일거과유쌍호지공)."
'전국책(戰國策)' 진책(秦策)이나 '사기(史記)' 장의(張儀)에 나오는 예화다. 종횡가로 유명한 장의와 경쟁하던 진진(陳軫)이 진나라 혜왕(惠王)에게 건의한 데서다. 당시 소국 한(韓)과 위(魏)가 1년이 넘도록 싸우면서 해결이 나지 않고 있는데 간여하는 것이 좋을지 묻자 변장자의 예를 들었다. "과연 큰 나라는 상처를 입고 작은 나라는 멸망하고 말았다(大國果傷 小國亡/ 대국과상 소국망)." 진나라는 군사를 일으켜 크게 이겼다.
공자(孔子)가 성인에 대해 제자가 여쭙자 대답하는 말에도 변장자와 같은 용기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들어 있다. '논어(論語)' 헌문(憲問)편에서다. 변장자의 이름이 남았어도 실제 주막집 심부름꾼의 지혜를 잘 받아들인 것이었고 또 그것을 본보기 삼은 진나라 왕이 큰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이다.
이럴 때 이해관계가 같은 쪽에 계책을 쓴다면 남에게만 좋은 일을 시키니 적이나 꼭 이겨야 하는 경쟁자에게만 해야 한다. 신중히 계략을 짜서 적을 물리치는 병법의 차도살인(借刀殺人)이나 두 개의 복숭아를 가지고 세 장수를 없앤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는 모두 죽고 죽이는 살벌한 이야기지만 상대에 따라 명분과 실리를 모두 얻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적하는 상대의 갈등을 이용하여 득을 보기 때문이다.
변장자호(卞莊刺虎)
변장자라는 사람이 호랑이 싸움을 지켜보고 있다가 마지막에 살아남은 한 놈을 칼로 찔러 손쉽게 두 마리 모두를 잡았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양측이 싸우다가 약해진 틈을 타 제삼자가 손쉽게 이익을 얻는 것을 나타낸다.
사기(史記) 장의열전(張儀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전국시대 한(韓)나라와 위(魏)나라가 1년이 넘도록 접전을 벌이고 있었다. 진나라의 혜문왕(惠文王)은 싸움을 끝내도록 군대를 보내는 것이 진나라에 이익이 될지 보내지 않는 것이 좋을지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었다.
마침 유세객(遊說客) 진진(陳畛)이 진나라에 와 있어 그에게 물으니 진진이 대답했다. "왕께 이 얘길 해드린 사람이 없었습니까? 변장자(卞莊子)라는 자가 늙은 호랑이를 찔러 죽이려고 하자 여관에 심부름하는 아이가 말리며 말했습니다. ‘호랑이 두 마리가 막 소 한 마리를 잡아먹으려고 하고 있으니 먹어보고 맛이 좋으면 분명 서로 차지하려 싸울 것입니다. 싸우면 반드시 큰 놈은 상처를 입고 작은 놈은 죽을 것이니, 상처 입은 놈을 찔러 죽이면 한 번에 두 마리를 잡았다는 명성을 얻을 것입니다.’
변장자가 그 말이 옳다 여기고 기다리니 과연 두 마리 호랑이가 나타나 소를 두고 싸웠고, 상처 입은 호랑이에게 다가가 찔러 죽여 결국 두 마리를 잡는 공을 세웠다고 합니다. 한나라와 위나라가 1년이 지나도록 싸워서 해결이 나지 않았다면 반드시 한 나라는 상처를 입었을 것이고 한 나라는 망할 것입니다."
혜문왕은 진진의 조언대로 계책을 세웠고 과연 두 나라 사이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이처럼 두 적수가 싸우는 틈을 타 모두 세력이 약해졌을 때 공격하여 적수를 모두 소탕하는 경우를 일컬어 변장자호라고 한다.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는 '전국책(戰國策)'의 초책(楚策)에는 일거양획(一擧兩獲)이라 되어 있다. 같은 의미의 성어로 방휼상쟁(蚌鷸相爭), 어부지리(漁父之利), 일거양득(一擧兩得), 일전쌍조(一箭雙鵰) 등이 있다.
변장자호(卞莊刺虎)
변장자자호(卞莊子刺虎)의 준말로, 실력이 비슷한 둘을 서로 싸우게 해 둘 다 얻는 지혜를 뜻한다. 방휼상쟁(蚌鷸相爭), 어부지리(漁父之利), 일거양득(一擧兩得)과 같은 말이다.
변장자(卞莊子)는 춘추시대 노나라 대부로 용맹했다고 전해진다. 고사의 유래는 이렇다. 전국시대에 한(韓)나라와 위(魏)나라는 서로 싸운 지 일 년이 지나도록 풀지 못하고 있었다. 진(秦)나라 혜왕이 이 둘을 화해시키려고 하자 신하들의 의견이 분분했다. 마침 진진(陳軫)이란 자가 진나라에 와 있기에, 혜왕이 진진에게 자신의 답답한 심정을 말하면서 계책을 내 달라고 말하자 진진은 이런 비유를 들었다.
“일찍이 왕께 변장자라는 이가 호랑이를 찔러 죽인 일을 들려 드린 사람이 있었습니까? 변장자가 호랑이를 찌르려고 하자, 묵고 있던 여관의 심부름하는 아이가 말리면서 ‘호랑이 두 마리가 소를 잡아먹으려고 합니다. 먹어 봐서 맛이 좋으면 분명히 다툴 것입니다. 다투게 되면 반드시 싸울 테고, 서로 싸우게 되면 큰 놈은 상처를 입고 작은 놈은 죽을 것입니다. 상처 입은 놈을 찔러 죽이면 한꺼번에 호랑이 두 마리를 잡았다는 명성을 얻을 것입니다(兩虎方且食牛, 食甘必爭, 爭則必鬪, 鬪則大者傷, 小者死, 從傷而刺之, 一擧必有雙虎之名)’라고 하였습니다.
변장자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고 서서 기다렸습니다. 조금 있으니 정말로 호랑이 두 마리가 싸워서 큰 놈은 상처를 입고 작은 놈은 죽었습니다. 변장자가 상처 입은 놈을 찔러 죽이니, 한 번에 호랑이 두 마리를 잡는 공을 세웠다고 합니다.” (사기 장의열전)
혜왕은 결국 이 두 나라가 자신들의 눈앞의 이익에 함몰돼 대세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리라고 확신하고는 이들을 화해시키지 않았다. 결과는 만족스러웠다. 큰 나라는 타격을 입었고, 작은 나라는 멸망하고 말았다. 혜왕은 이틈에 군사를 일으켜 큰 나라를 크게 쳐부쉈으니, 사태의 추이를 관망하다가 크나큰 성과를 얻게 된 것이다.
▶️ 卞(성씨 변/법 변)은 지사문자로 弁(변: 감투)의 별체(別體)의 글자가 卞(변)으로 변한 것이다. 참고로 지사문자(指事文字)는 한자(漢字) 육서(六書)의 하나로, 사물의 추상적인 개념을 본떠서 낱말의 뜻을 나타내는 문자(文字)이다. 일(一)은 하나, 이(二)는 둘, 상(上)은 위, 하(下)는 아래를 가리키는 것 따위이다. 그래서 卞(성씨 변/법 변)은 ①성(姓)의 하나 ②법(法), 법도(法度) ③법제(法制) ④고깔(머리에 쓰는, 위 끝이 뾰족하게 생긴 모자) ⑤무술(武術)의 하나 ⑥땅의 이름 ⑦성급하다(性急--) ⑧조급하다(躁急--) ⑨분별하다(分別--) ⑩(맨손으로)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조급으로 참을성이 없이 매우 급함을 변급(卞急), 변정으로 옳고 그른 것을 따지고 변명하여 바로잡음을 변정(卞正), 사리를 따져서 억울함을 변론함을 변무(卞誣), 대질하여 변론함 또는 변론하고 대질함을 변질(卞質), 시비를 가리어 내침을 변척(卞斥), 분별하여 밝힘을 변석(卞晰), 듣는 사람이 납득할 수 있도록 사리를 따지어 말함을 변파(卞破), 시비를 분별하여 논란함을 변론(卞論), 변별하여 통용함을 변통(卞通), 시비를 가리어 드러냄을 변폭(卞暴), 분변하여 실상을 조사함을 변핵(卞覈), 항의로 반대하는 뜻을 폄을 항변(抗卞), 사실을 진술하여 옳고 그름을 가림을 진변(陳卞), 명백하게 분변함을 명변(明卞), 잘못된 것을 조사하여 가려냄을 사변(査卞), 분변하기 어려움을 난변(難卞), 송사를 판결하여 확정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송변귀일(訟卞歸一), 힘들이지 않고 일거양득의 공을 얻음으로 노나라의 변장자가 두 마리의 범이 싸우기를 기다렸다가 상처 입은 범을 찔러 두 마리를 모두 잡았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을 변장지공(卞莊之功), 밀가루나 메밀가루로 만든 일종의 만두로 개성지방에서 많이 빚어 먹으며 변씨 집에서 처음으로 만들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을 변씨만두(卞氏饅頭), 화씨지벽의 디른 말로 화씨가 발견한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 명옥의 이름을 일컫는 말을 변화지벽(卞和之璧) 등에 쓰인다.
▶️ 莊(씩씩할 장/전장 장)은 형성문자로 荘(장)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 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성하다의 뜻을 가진 壯(장)으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莊(장)은 풀이 무성(茂盛)하다는 뜻이 전(轉)하여 성(盛)하다, 엄(嚴)하다의 등의 뜻으로 ①씩씩하다 ②풀이 성(盛)하다(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③단정(端整)하다 ④바르다 ⑤엄(嚴)하다(매우 철저하고 바르다) ⑥장중(莊重)하다 ⑦정중(鄭重)하다 ⑧꾸미다 ⑨전장(田莊: 귀척, 고관 등의 사유지) ⑩영지(領地) ⑪봉토(封土) ⑫장원(莊園) ⑬별장(別莊) ⑭마을, 부락(部落), 촌락(村落) ⑮가게, 상점(商店) ⑯성(姓)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장엄하고 정중함을 장중(莊重), 규모가 크고 엄숙함을 장엄(莊嚴), 씩씩하고 깨끗함을 장결(莊潔), 씩씩하고 공경스러움을 장경(莊敬), 의기양양한 말을 장언(莊言), 공경히 생각함을 장유(莊惟), 단단히 간직하여 둔 돈을 장강(莊鏹), 머리를 아름답게 꾸밈을 장수(莊首), 배나 수레 등에 짐을 꾸려서 실음을 장재(莊載), 혈기가 왕성한 남자를 정장(丁莊), 별장을 맡아서 관리함 또는 그 사람을 지장(知莊), 엄숙하고 장중함을 엄장(嚴莊), 조심성 있고 엄숙함을 긍장(矜莊), 시골에 있는 별장을 향장(鄕莊), 산 속에 있는 별장을 산장(山莊), 살림집 밖에 경치 좋은 곳에 따로 지어 놓고 때때로 묵으면서 쉬는 집을 별장(別莊), 개인이 소유하는 논밭을 전장(田莊), 서울 사람이 시골에 가지고 있는 농장을 경장(京莊), 황폐한 농가를 황장(荒莊), 시냇가에 지은 별장을 계장(溪莊), 개인이 소유한 땅이나 농장을 맡아서 관리함을 관장(管莊), 자아와 외계와의 구별을 잊어버린 경지를 이르는 말을 장주지몽(莊周之夢), 의복에 주의하여 단정히 함으로써 긍지를 갖는다를 이르는 말을 속대긍장(束帶矜莊), 너그럽고 도량이 넓으며 위엄이 있고 장중하다를 이르는 말을 관홍장중(寬弘莊重) 등에 쓰인다.
▶️ 刺(찌를 자, 찌를 척, 수라 라/나, 비방할 체)는 ❶형성문자로 刾(자)는 통자(通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선칼도방(刂=刀; 칼, 베다, 자르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朿(자; 나무에 가시가 있는 모양)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刺자는 ‘찌르다’나 ‘찔러 죽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刺자는 朿(가시 자)자와 刀(칼 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朿자는 가시가 있는 나무를 그린 것으로 ‘찌르다’나 ‘가시’라는 뜻을 갖고 있다. 그래서 본래는 ‘찌르다’라는 뜻은 朿자가 먼저 쓰였었다. 그러나 소전에서는 刀자가 더해진 刺자가 만들어지면서 ‘칼로 찔러 죽인다.’라는 의미를 더하게 되었다. 누군가를 해치게 되는 경우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刺자에 ‘헐뜯다’나 ‘비난하다’, ‘꾸짖다’라는 뜻이 있는 것을 보면 이러한 여러 이유가 살인까지 저지르는 상황이라는 의미도 함께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刺(자)는 ①찌르다, 찔러 죽이다 ②끊다, 절단하다 ③나무라다, 헐뜯다, 꾸짖다, 비난하다 ④책망하다 ⑤간(諫)하다, 충고(忠告)하다 ⑥묻다, 알아보다, 문의하다 ⑦배를 젓다, 삿대질하다 ⑧취하다, 마땅한 것으로 골라 가지다 ⑨바느질하다 ⑩가시, 침, 창끝 ⑪바늘 ⑫명함(名銜) 그리고 ⓐ(칼로)찌르다(척) ⓑ베어 버리다, 덜어 없애다(척) ⓒ살피다, 알아보다(척) ⓓ정탐(偵探)하다(척) ⓔ잔소리하다, 말이 많다(척) 그리고 ㉠수라(水剌), 진지(라) 그리고 ㊀비방하다, 비난하다, 꾸짖다(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찌를 차(箚), 찌를 충(衝)이다. 용례로는 일정한 현상이 촉진되도록 충동함을 자극(刺戟), 몰래 사람을 찔러 죽이는 사람을 자객(刺客), 옷감이나 헝겊 등에 여러 가지의 색실로 그림이나 글자 또는 무늬 등을 수놓아 나타내는 일을 자수(刺繡), 칼 같은 물건에 찔린 상처를 자상(刺傷), 자극을 받아 크게 흔들림을 자격(刺激), 찔러 죽이는 칼을 자도(刺刀), 바늘이나 꼬챙이 또는 칼 따위의 날카로운 것에 찔린 상처를 자창(刺創), 세상일에 얽매어서 몹시 바쁨을 자촉(刺促), 찌름을 자충(刺衝), 찔린 듯이 따끔하게 아픔을 자통(刺痛), 죄를 들춰내어 자세히 심문함을 자심(刺審), 칼 따위로 찔러 죽임을 척살(刺殺), 원수를 칼로 찌름을 척수(刺讎), 무엇에 빗대어 재치 있게 경계하거나 비판함을 풍자(諷刺), 수를 놓음을 수자(繡刺), 마주 보고 책망함을 면자(面刺), 함부로 찌름을 난자(亂刺), 스스로 목을 찔러 죽음을 자자(自刺), 몽둥이로 때리고 칼로 찌름을 격자(擊刺), 바느질과 수 놓는 일을 침자(針刺), 허벅다리를 찌르고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는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을 자고현량(刺股懸梁), 풀을 베는 천한 사람이란 뜻으로 곧 평민이 임금에 대해서 저를 낮추어 일컫던 말을 자초지신(刺草之臣), 자객과 간사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몹시 독하거나 모진 사람을 이르는 말을 자객간인(刺客奸人) 가시를 등에 지고 있다는 뜻으로 마음이 조마조마하고 편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망자재배(芒刺在背), 상투를 천장에 달아매고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찔러서 잠을 깨운다는 뜻으로 학업에 매우 힘씀을 이르는 말을 현두자고(懸頭刺股) 등에 쓰인다.
▶️ 虎(범 호)는 ❶상형문자이나 회의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갑골문의 호(虎)자는 머리는 위로 향하고 꼬리는 아래로 향하며 몸에는 무늬가 있다. 중국인들은 호랑이의 머리에 왕(王)자가 크게 쓰여 있어서 호랑이가 바로 동물의 왕이라고 생각하였다. ❷상형문자로 虎자는 '호랑이'나 '용맹스럽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호랑이는 예나 지금이나 용맹함을 상징한다. 그러나 고대인들에게 호랑이는 두려움의 대상이자 신비의 영물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문자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虎자가 쓰인 글자 대부분은 '용맹함'이나 '두려움'이 반영되어 있다. 갑골문에 나온 虎자를 보면 호랑이의 몸집과 얼룩무늬가 그대로 표현되어있었다. 그러나 소전에서는 획이 변형되면서 지금의 虎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참고로 虎자는 폰트에 따라 다리 부분이 儿자나 几자가 혼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虎(호)는 虍(범호 엄)부수로 ①범, 호랑이 ②용맹스럽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범의 꼬리를 호미(虎尾), 용맹스러운 장수를 호장(虎將), 호랑이와 이리를 호랑(虎狼), 털이 붙은 범의 가죽이라는 호피(虎皮), 범에게 당하는 재앙을 호환(虎患), 범의 위세란 뜻으로 권세 있는 사람의 위력을 호위(虎威), 매우 용맹스러운 병사를 호병(虎兵), 범과 같이 날카로운 눈초리로 사방을 둘러 봄을 호시(虎視), 사나운 범을 맹호(猛虎), 큰 호랑이를 대호(大虎), 엎드려 앉은 범을 복호(伏虎), 다른 산에서 온 호랑이를 객호(客虎), 용맹스럽고 날래다는 비유를 비호(飛虎), 소금처럼 흰 눈으로 만든 호랑이를 염호(鹽虎), 범이 죽으면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도 죽은 뒤에 이름을 남겨야 한다는 말을 호사유피(虎死留皮), 범이 먹이를 노린다는 뜻으로 기회를 노리며 형세를 살핌을 비유하는 말을 호시탐탐(虎視眈眈), 용이 도사리고 범이 웅크리고 앉았다는 뜻으로 웅장한 산세를 이르는 말을 호거용반(虎踞龍盤), 범과 용이 맞잡고 친다는 뜻으로 영웅끼리 다툼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호척용나(虎擲龍拏), 범에게 고기 달라기라는 속담의 한역으로 어림도 없는 일을 하려고 함을 이르는 말을 호전걸육(虎前乞肉), 구사 일생으로 살아 남은 목숨을 일컫는 말을 호구여생(虎口餘生), 잡았던 범의 꼬리를 놓기가 어렵다는 뜻에서 위험성이 있는 일을 비롯한 바에 그대로 나가기도 어렵고 그만두기도 어려움을 가리키는 말을 호미난방(虎尾難放), 범의 꼬리와 봄에 어는 얼음이라는 뜻으로 매우 위험한 지경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호미춘빙(虎尾春氷), 범의 굴에 들어가야 범의 새끼를 잡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큰 위험을 각오하지 않으면 큰 수확을 얻지 못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호혈호자(虎穴虎子), 호랑이같이 예리하고 무섭게 사물을 보고 소같이 신중하게 행동한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신중을 기함을 이르는 말을 호시우보(虎視牛步), 매우 위험한 참언이라는 뜻으로 남을 궁지에 몰아넣는 고자질이나 헐뜯는 말을 이르는 말을 호구참언(虎口讒言),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비슷한 상대끼리 맹렬히 다투는 것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용양호박(龍攘虎搏)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