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立春)
“ 눈보라 치고 제아무리 추워도 봄은 꼭 오고야 말 것이다. ”
금년의 立春은 陽曆2月 4日이고 陰曆은 壬辰年 正月 十三日이다.
立春은 24節氣 중에 첫 번째 節侯로 正月의 節氣이다.
立春은 大寒과 雨水 사이에 들어 있으며 봄이 왔음을 알리는 첫節氣이다.
立春은 太陽의 黃經이 315°를 통과 할 때이며 冬至로 부터 44일째 되는 날이다.
太歲는 壬辰이고 月建은 壬寅이며 日辰은 十三日 乙未이다.
卦는 坎 64이다.
≪기후≫ 『高麗史』卷50,志4,曆 宣明曆 上,
初候 = 에 동풍이 불며 얼었던 어름 이 풀린다.(東風解凍)
次候 = 에 동면하던 벌래 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蟄蟲始振)
末候 = 에 물고기 들이 얼음이 있는데 까지 위로 올라온다.(魚上氷)
≪절입시각≫ 陰曆 正月 十三日 午後 7時 22分 (戌時初)
일출(日出) = 오전 7시 34분 (주(晝) = 10시간 24분)
일입(日入) = 오후 5시 58분 (야(夜) = 13시간 36분)
[동지로부터 낮시간이 “41분” 더 길어 젔습니다.]
(동지 해넘이 = 5시 17분 - - - 입춘 해넘이 = 5시 58분)
≪입춘의 뜻≫
이날부터 “봄이 시작 된다”는 뜻이다.
입춘(立春)은 새해에 드는 첫 節侯 이므로 궁중과 일반백성들이 여러 儀禮를 베풀었다.
그중에서도 “입춘하례”,“입춘축”,“입춘점복”“선조제”,등 여러 속신이 있었다 옛날에는
“이날부터 봄이 시작 된다”하여 이날을 기리고 다가오는 일년동안 大吉多慶하기를 기원
하는 갖가지 의례를 베푸는 풍속이 있었으나 근래에는 “立春祝”만 써서 붙이는 가정이
있을뿐 그 節日로서의 기능을 상실한지 오래 되었다.
또 일년에 입춘이 정월과 섣달 두 번 드는 해가 있는데 이럴경우“再逢春”이라한다.
≪쌍춘년≫
일년에 입춘이 두 번 드는 해를 “雙春年”또는 “再逢春”이라 하는데 윤달이 드는 해에
해당 된다.
이런 해를 운수가 대길(大吉)하다 하여 결혼도 많이 하고 출산도 많이 하여 이해에 태어난
아이는 運數가 大通 하여 출세를 한다고 믿는 속설이 있다.
반대로 입춘이 들지 않은“無春年”도 있다 이런 해는“망춘년”이니
“과부해”니 하여 나뿌게 평하는 무속적 속설이 있으나 사실과 다르다.
2009년은 윤달이 있어서“쌍춘년”이었고 지나간 2010년은“무춘년”이었다.
그러면 지나간 庚寅年에는 나뿐일만 있었단 말인가? 말도 안 되는 속설이다.
또 금년 인 2012년은 윤3월이니 또다시“쌍춘년”이 돌아왔다.
정월 13일이 입춘이고 12월 24일이 또 입춘이라“쌍춘년”입니다.
[문화관광 해설사]또 [국민] 여러분들의 운수 대통하시기를 바랍니다.
≪입춘축≫
입춘에는 각 가정에서 기복적인 행사로서 “입춘축”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인다.
입춘축을 달리 “春祝,立春書,立春榜,春榜,”이라고도 한다.
글씨를 쓸줄아는 사람은 자기가 써서 붙이고 남에게 부탁하여 써서 부치기도 한다.
상중에 있는 사람은 써서 붙이지 않는다.
입춘축을 써서 붙이는 유래는『東國歲時記』에 의하면『荊楚歲時記』에 입춘날에는
“宜春”두 자를 써서 문에다 붙인다 하였으니 春聯은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하였다.
종이는 글자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가로15cm 세로70CM 정도의 두장으로 한다.
입춘축문 을 쓰는 방법은 “對句,對聯,單帖,單句”로 이루어져 있다.
붙이는 시각은 입춘 시에 맞추어 붙이면 좋다고 한다.
(금년의 입춘시각은“初戌時(오후 7시 22분)”이다.)
≪立春 祝文 例≫
1), 對句
國泰民安, 家給人足,
雨順風調, 時和年豊,
箕疇五福, 華封三祝,
門神戶靈, 呵噤不祥,
2), 對聯
壽如山, 富如海,
去千災, 來百福,
立春大吉, 建陽多慶,
堯之日月, 舜之乾坤,
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
天下泰平春, 四方無一事,
天增歲月人增壽, 春滿乾坤福滿家,
門迎春夏秋冬福, 戶納東西南北財,
六鰲拜獻南山壽, 九龍載輸四海珍,
3), 單帖
春到文前 增富貴,
春光先到 吉人家,
上有好調 相和鳴,
一春和氣 滿門楣,
一振高名 滿宰都,
◎사대부가에서는 글귀를 새로 지어 붙이기도 하고 또 고인의 좋은 글귀를 쓰기도 한다.
또 붙이는 장소에 따라 글 내용이 다르기도 한다.
(경기도 문화관광해설사님 해설 업무에 많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연천향교 의전장의 박동일(원우) 올림)
입춘(입춘)
“ 눈보라 치고 제아무리 추워도 봄은 꼭 오고야 말 것이다. ”
금년의 입춘은 양력2월 4일이고 음력은 임진년 정월 십삼일이다.
입춘은 24절기 중에 첫 번째 절후로 정월의 절기이다.
입춘은 대한과 우수 사이에 들어 있으며 봄이 왔음을 알리는 첫절기이다.
입춘은 태양의 황경이 315°를 통과 할 때이며 동지로 부터 44일째 되는 날이다.
태세는 임진이고 월건은 임인이며 일진은 십삼일 을미이다.
괘는 감 64이다.
≪기후≫ 『고려사』권50,지4,역 선명역 상,
초후 = 에 동풍이 불며 얼었던 어름 이 풀린다.(동풍해동)
차후 = 에 동면하던 벌래 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칩충시진)
말후 = 에 물고기 들이 얼음이 있는데 까지 위로 올라온다.(어상빙)
≪절입시각≫ 음력 정월 십삼일 오후 7시 22분 (술시초)
일출(일출) = 오전 7시 34분 (주(주) = 10시간 24분)
일입(일입) = 오후 5시 58분 (야(야) = 13시간 36분)
[동지로부터 낮시간이 “41분” 더 길어 젔습니다.]
(동지 해넘이 = 5시 17분 - - - 입춘 해넘이 = 5시 58분)
≪입춘의 뜻≫
이날부터 “봄이 시작 된다”는 뜻이다.
입춘(입춘)은 새해에 드는 첫 절후 이므로 궁중과 일반백성들이 여러 의례를 베풀었다.
그중에서도 “입춘하례”,“입춘축”,“입춘점복”“선조제”,등 여러 속신이 있었다 옛날에는
“이날부터 봄이 시작 된다”하여 이날을 기리고 다가오는 일년동안 대길다경하기를 기원
하는 갖가지 의례를 베푸는 풍속이 있었으나 근래에는 “입춘축”만 써서 붙이는 가정이
있을뿐 그 절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지 오래 되었다.
또 일년에 입춘이 정월과 섣달 두 번 드는 해가 있는데 이럴경우“재봉춘”이라한다.
≪쌍춘년≫
일년에 입춘이 두 번 드는 해를 “쌍춘년”또는 “재봉춘”이라 하는데 윤달이 드는 해에
해당 된다. 이런 해를 운수가 대길(대길)하다 하여 결혼도 많이 하고 출산도 많이 하여
이해에 태어난 아이는 운수가 대통 하여 출세를 한다고 믿는 속설이 있다.
반대로 입춘이 들지 않은“무춘년”도 있다 이런 해는“망춘년”이니
“과부해”니 하여 나뿌게 평하는 무속적 속설이 있으나 사실과 다르다.
2009년은 윤달이 있어서“쌍춘년”이었고 지나간 2010년은“무춘년”이었다.
그르면 지나간 경인년에는 나뿐일만 있었단 말인가? 말도 안 되는 속설이다.
또 금년 인 2012년은 윤3월이니 또다시“쌍춘년”이 돌아왔다.
정월 13일이 입춘이고 12월 24일이 또 입춘이라“쌍춘년”입니다.
[문화관광 해설사]또 [국민] 여러분들의 운수 대통하시기를 바랍니다.
≪입춘축≫
입춘에는 각 가정에서 기복적인 행사로서 “입춘축”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인다.
입춘축을 달리 “춘축,입춘서,입춘방,춘방,”이라고도 한다.
글씨를 쓸줄아는 사람은 자기가 써서 붙이고 남에게 부탁하여 써서 부치기도 한다.
상중에 있는 사람은 써서 붙이지 않는다.
입춘축을 써서 붙이는 유래는『동국세시기』에 의하면『형초세시기』에 입춘날에는
“의춘”두 자를 써서 문에다 붙인다 하였으니 춘련은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하였다.
종이는 글자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가로15cm 세로70CM 정도의 두장으로 한다.
입춘축문 을 쓰는 방법은 “대구,대련,단첩,단구”로 이루어져 있다.
붙이는 시각은 입춘 시에 맞추어 붙이면 좋다고 한다.
(금년의 입춘시각은“초술시(오후 7시 22분)”이다.)
≪입춘 축문 례≫
1), 대구
국태민안, 가급인족,
우순풍조, 시화년풍,
기주오복, 화봉삼축,
문신호령, 가금불상,
2), 대련
수여산, 부여해,
거천재, 래백복,
입춘대길, 건양다경,
요지일월, 순지건곤,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
천하태평춘, 사방무일사,
천증세월인증수, 춘만건곤복만가,
문영춘하추동복, 호납동서남북재,
육오배헌남산수, 구룡재수사해진,
3), 단첩
춘도문전 증부귀,
춘광선도 길인가,
상유호조 상화명,
일춘화기 만문미,
일진고명 만재도,
◎사대부가에서는 글귀를 새로 지어 붙이기도 하고 또 고인의 좋은 글귀를 쓰기도 한다.
또 붙이는 장소에 따라 글 내용이 다르기도 한다.
(경기도 문화관광해설사님 해설 업무에 많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연천향교 의전장의 박동일(원우)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