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朝鮮)과 열수(洌水)의 사이에서는
-조선은 지금의 낙랑군(樂浪郡)이고, 열수는 요동(遼東)에 있다.- 어린아이가 울음을 그치지 않는 것을 훤(咺)이라고 한다. 눈동자[瞳之子]를 우(盱)라고 하고, 혹은 양(揚)이라고 한다.
○ 나무의 잔가지[木細枝]를 책(策)이라고 한다.
○ 솜털[毳]
-덮는 것이다.- 을
엽수(葉輸)라고도 한다. 빨리 가는 것[疾]을 요선(搖扇)이라고 한다.
○ 부화[化]하는 것을 열(涅)이라 하고, 혹은 화(譁)라고 한다. 닭이 알을 품고서 부화하지 않다가 처음으로 부화하는 때를 열(涅)이라고 하는 것이다.
○ 즙(汁)을 짐(斟)이라고 한다.
○ 신발 중에 거친 것[履麄]을 앙각(䩕角)이라 한다.
○ 부(鍑)를 혹 전(錪)이라고 하기도 하고, 병(鉼)이라고 하기도 한다.
○ 목이 긴 병[罃]을 장(瓺)이라고 한다.
○ 삽(臿)을 토(
)라고 한다.
○ 말뚝[橛]을 단(椴)이라고도 한다.
○ 가는 것[行]을 시(徥)라고도 한다.
○ 떨어진 것[離]을 국(掬)이라고 한다.
○ 고기를 말리거나, 다른 사람의 사사로운 일을 들추어내거나, 소나 양의 내장을 긁어내는 것을 모두 박(膊)이라고 한다.
○ 꾸짖는 모든 말을 위영(魏盈)이라고 한다.
○ 번민스러운 것[煩懣]을 한만(漢漫)이라고 한다.
○ 어지러운 것[顚眴]을 진현(䀼眩)이라고 한다.
○ 모든 세워 두는 것[置立]을 수식(樹植)이라고 한다.
○ 건너가는 것[過度]을 섭제(涉濟)라 한다.
○ 복록(福祿)을 불전(祓戩)이라 한다.
○ 닭이 품는 것[伏鷄]을 포(抱)라고 한다.
○ 참새 새끼[爵子]와 병아리를 모두 각(
)이라고 한다.
○ 시구(尸鳩)를 복비(鶝䲹)라고 하고, 또 역(
)이라고도 한다.
○ 거미[鼅鼄]를 독여(蝳蜍)라고 한다.
《이상 모두 양웅(揚雄)의 방언(方言)》○ 북연(北燕)과 조선의 사이에서는 초목(草木)이 사람을 찌르는 것을 책(茦)이라고 하고, 혹은 장(壯)이라고 한다.
○ 약을 마시거나 약을 붙였다가 중독되는 것을 로(癆)라고 한다.
○ 침상 앞에 가로지르는 나무[杠]를 수(樹)라고 한다.
○ 비(貔)를 비(
)라고 한다.
○ 돼지[豬]를 가(豭)라고 한다.
《이상 모두 상동》
살펴보건대, 《사군지(四郡志)》에 이르기를, “북연(北燕)과 조선(朝鮮)의 사이는
계문(薊門) 이동에서 패수(浿水)에 이르기까지의 지역을 말하고, 조선(朝鮮)과 열수(洌水)의 사이는 패수 이남에서 한수(漢水)에 이르기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하였다. 한(漢)나라 때
2군(郡)에 대해서는, 뛰어난 계책이 있으면서 기이한 것을 좋아하였던 자운(子雲 양웅(揚雄)의 자(字))과 같은 자가 있어서 기술(記述)하였다. 그러나 그가 기술한 여러 조항들은 지금에 와서 고찰해 볼 때에 어느 하나도 비슷한 것이 없다. 삼국(三國) 시대 이후로는 연대가 점차 멀어지면서 어음(語音)도 그에 따라 변한 탓에 대조해 볼 수가 없다.
○ 진한(辰韓)에서는 나라[國]를 이름하여 방(邦)이라고 하고, 활[弓]을 호(弧)라고 하고, 도적[賊]을 구(寇)라고 하고, 행주(行酒)를 행상(行觴)이라 하고, 서로 부를 때에는 도(徒)라고 하여, 진(秦)나라 말과 흡사하므로 혹 진한(秦漢)이라고도 부른다.
《후한서》○ 진한 사람들은 낙랑(樂浪) 사람들을 이름하여 아잔(阿殘)이라고 하는데, 동방 사람들은 나[我]를 아(阿)라고 하는바, 낙랑 사람들은 본디 거기에 남아 있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삼국지》○ 변한(弁韓)과 진한(辰韓)은 뒤섞여 사는데, 언어는 차이가 있다.
《후한서》○
주호국(州胡國)은 마한의 서쪽 바다 가운데에 있는데, 언어는 한(韓)과 같지 않다.
《삼국지》○
용서(舂鉏)를 낙랑 사람들은 백로(白鷺)라고 한다.
《시초목조수충어소(詩草木鳥獸蟲魚疏)》○ 예(濊)의 언어는 대개 고구려와 같다.
《후한서》○ 부여(夫餘)는 그 속언(俗言)에 활을 잘 쏘는 것을 주몽(朱蒙)이라고 한다.
《후위서》○ 동옥저(東沃沮)는 언어가 고구려와 대체로 같으나, 가끔은 차이가 난다.
《삼국지》○ 고구려는 언어가 대부분 부여와 같다.
○ 서로 비슷한 것을 위(位)라고 한다.
○
구루(溝漊)란 것은 고구려에서는 성(城)을 이름하는 것이다.
《이상 모두 상동》 ○ 삼가 살펴보건대, 고구려에서는 성을 이름하여 구루라고 하였으므로, 책구루(幘溝漊), 매구루(買溝漊) 등의 명칭이 있었다.○
신라의 언어는 백제의 통역이 있은 다음에야 통할 수가 있다. 세속에서는 성(城)을
건모라(健牟羅)라고 하고, 읍(邑)이 성안에 있는 것을
탁평(啄評)이라 하고, 밖에 있는 것을
읍륵(邑勒)이라 한다. 그들은
관(冠)을 유자례(遺子禮)라 하고, 저고리[襦]를 위해(尉解)라고 하고, 바지[袴]를 가반(柯半)이라 하고, 신발[靴]을 세(洗)라고 한다. 《양서(梁書)》○
서간(西干)은 신라의 방언(方言)으로, 임금[君]을 뜻한다.
《양조평양록(兩朝平攘錄)》○ 신라에서는 비단[絹]을 급(
)이라고 한다.
《해편통종(海篇統宗)》○ 백제는
치성(治城)을 고마(固麻)라고 부르고, -살펴보건대, 우리나라의 방언에 곰[熊]을 고마(固麻)라고 하는데, 백제는 웅진성(熊津城)에 도읍하였으므로, 고마(固麻)라고 하였다.- 읍(邑)을 담로(檐魯)라고 하는데, 이는 중국의 군현(郡縣)과 같은 말이다. 지금의 언어는 대략 고구려와 같다.
모자[帽]를 관(冠)이라 하고, 저고리[襦]를 복삼(複衫)이라 하고, 바지[袴]를 곤(褌)이라 한다. 그들의 말에는 중국의 말이 뒤섞여 있으니, 역시 진(秦)ㆍ한(韓)의 남은 풍속이라 하겠다.
《양서》○
백제에서는 왕(王)을 어라하(於羅瑕)라 부르고, 백성들은 건길지(鞬吉支)라 부르는데, 이는 중국말로 모두 왕이라는 뜻이다. 왕의 아내를
어륙(於陸)이라고 부르니, 이는 중국말로 왕비라는 뜻이다.
《후주서》○ 발해는 세속에서 그 왕을 가독대(可毒大)
-살펴보건대, 《당서》를 보면, 가독대가 가독부(可毒夫)로 되어 있다.- 라 부르고, 대면하여서는 성왕(聖王)이라 부르고, 전표(牋表)를 올리면서는 기하(基下)라고 부른다. 왕의 아버지는 노왕(老王)이라 부르고, 왕의 어머니는 태비(太妃)라고 부르고, 왕의 아내는 귀비(貴妃)라고 부르고, 왕의 장자(長子)는 부왕(副王)이라고 부르고, 왕의 여러 아들들은 왕자(王子)라고 부른다.
《책부원귀》○
《계림유사(鷄林類事)》에 나오는 고려의 방언은 다음과 같다.
대상어 |
한자표기 |
민국본 |
영문표기 |
한글표기 |
비고 |
天 |
漢捺 |
|
ha-nr |
하ㆍ |
|
日 |
姮 |
|
hi |
ㆍ |
姮은 契의 오(誤) |
月 |
契 |
|
tr |
: |
契는 姮의 오 契는 黑隘切 |
雲 |
屈林 |
|
ku-rum |
ㆍ구롬, 구룸 |
|
風 |
孛纜 |
|
p-rm |
|
|
雪 |
嫩 |
敕 |
nun |
;눈 |
|
雨 |
霏微 |
|
pi |
ㆍ비 |
|
雪下 |
嫩耻 |
|
nun-ti |
:눈디 |
|
下 |
耻 |
|
ti |
디 |
|
雷 |
天動 |
|
t’jn-tog |
텬동 |
|
雹 |
霍 |
|
pak |
|
|
電 |
閃 |
|
|
미상 |
한자어 |
霜露 |
率 |
|
s-ri |
서리 |
|
霧 |
蒙 |
|
|
미상 |
|
虹 |
陸橋 |
|
|
|
한자어 |
鬼 |
幾心 |
幾沁 |
kui-sin |
:귀ㆍ신 |
|
神 |
神通 |
神道 |
|
|
한자어 |
佛 |
孛 |
|
|
ㆍ불 |
|
仙人 |
遷 |
僊人 |
|
|
한자어 |
一 |
河屯 |
|
h-tn |
나ㅎ, |
|
二 |
途孛 |
|
tur(h) |
:둘ㅎ, 두불 |
|
三 |
洒 |
|
si(h) |
:세ㅎ |
洒는 廝乃切 |
四 |
迺 |
廼 |
ni(h) |
:네ㅎ |
|
五 |
打戍 |
打戌 |
ta-ss |
다ㆍ |
|
六 |
逸戍 |
逸戌 |
’j-sis |
여ㆍ슷 |
|
七 |
一急 |
|
nir-kup |
닐ㆍ굽 |
|
八 |
逸荅 |
逸答 |
’j-tirp |
여ㆍ듧 |
|
九 |
鴉好 |
|
’a-hop |
아ㆍ홉 |
|
十 |
噎 |
|
’jar(h) |
ㆍ열ㅎ |
|
二十 |
戍沒 |
|
si-mir(h) |
ㆍ스ㆍ믈(ㅎ) |
|
三十 |
實漢 |
戌漢 |
sjr-hin |
셜ㆍ흔 |
|
四十 |
麻兩 |
麻刃 |
ma-zn |
마ㆍ |
|
五十 |
舜 |
|
suin |
:쉰 |
|
六十 |
逸舜 |
|
’j-siuin |
여: |
|
七十 |
一短 |
逸短 |
nir-hin |
닐ㆍ흔 |
一訓의 誤 |
八十 |
逸頓 |
|
’j-tin |
여ㆍ든 |
|
九十 |
鴉順 |
鴉訓 |
’a-hn |
아ㆍ |
|
百 |
醞 |
|
’on |
ㆍ온 |
|
千 |
千 |
|
c‘jn |
ㆍ쳔 |
한자어 |
萬 |
萬 |
|
man |
:만 |
한자어 |
朝 |
阿慘 |
阿摻 |
’a-c‘m |
아ㆍ |
|
午 |
稔宰 |
捻宰 |
na-ci |
나 |
민국본을 취함 |
暮 |
占捺 |
|
cj-mir |
져ㆍ믈ㆍ(다) |
|
|
古沒 |
|
|
|
|
前 |
記載 |
訖載 |
ki-ci |
그제 |
|
昨日 |
訖載 |
|
|
그제 |
상항과 중복 |
今日 |
烏捺 |
|
’o-nr |
오ㆍ |
|
明日 |
轄載 |
|
hu-ci |
후제 |
|
後日 |
母魯 |
毋魯 |
mo-roi |
ㆍ모ㆍ뢰 |
|
約明日至 |
轄烏受勢 |
轄載烏受勢 |
hu-ci’o-sjo-sj |
-오쇼ㆍ셔 |
|
約日至 |
受勢 |
|
|
쇼ㆍ셔 |
|
年春夏秋冬 |
同 |
|
|
|
한자어 |
上 |
頂 |
|
tjg |
ㆍ뎡(ㆍ바기) |
|
下 |
底 |
|
|
미상 |
한자어 |
東西南北 |
同 |
|
|
|
한자어 |
土 |
轄希 |
轄希 |
hrk |
|
|
田 |
田 |
|
|
|
한자어 |
火 |
孛 |
|
pir |
ㆍ블 |
|
山 |
每 |
|
moi(h) |
:뫼ㅎ |
|
石 |
突 |
|
tor(h) |
:돌ㅎ |
|
水 |
沒 |
|
mir |
ㆍ믈 |
|
海 |
海 |
|
|
|
한자어 |
江 |
江 |
|
|
|
한자어 |
溪 |
溪 |
|
|
|
한자어 |
谷 |
丁蓋 |
|
|
미상 |
|
泉 |
泉 |
|
|
|
한자어 |
井 |
烏沒 |
|
’u-mir |
우ㆍ믈 |
|
草 |
戍 |
戌 |
sup(p‘) |
숲 |
|
花 |
骨 |
|
koc(s) |
곶 |
|
木 |
南記 |
|
nam-k(i) |
남ㄱ |
|
竹 |
帶 |
|
tai |
ㆍ대 |
|
栗 |
監 |
|
pam |
:밤 |
監은 銷檻切 |
桃 |
枝棘 |
|
|
미상 |
|
松 |
鮓子南 |
|
cas-nam |
:잣남ㄱ |
|
胡桃 |
渴來 |
渴未 |
k-rai |
ㆍㆍ래 |
|
柿 |
坎 |
|
kam |
:감 |
|
梨 |
敗 |
販 |
pi |
: |
|
林檎 |
悶子訃 |
悶子計 |
mun-z-pi |
|
|
漆 |
黃漆 |
|
hwag-c‘ir |
황ㆍ칠 |
|
菱 |
質姑 |
菱 |
|
미상 |
|
雄 |
鶻試 |
|
su(h) |
ㆍ수ㅎ |
미상 |
雌 |
暗 |
|
am(h) |
ㆍ암ㅎ |
|
雞 |
喙 |
啄 |
trk |
|
喙의 음은 達 |
鷺 |
漢賽 |
|
han-sai |
한:새 |
|
雉 |
雉賽 |
|
skwg-sai |
새 |
|
鴿 |
弼陀里 |
|
pi-tu-ri |
비두ㆍ리 |
|
鵲 |
渴則寄 |
則寄 |
ka-c‘i |
가치 |
|
鶴 |
鶴 |
|
hak |
ㆍ학 |
한자어 |
鴉 |
打馬鬼 |
|
ta-ma-kui |
가마괴 |
|
雁 |
哭利弓幾 |
|
ki-rj-ki |
그려ㆍ기 |
|
禽 |
雀譚 |
雀譯 |
|
미상 |
|
雀 |
賽 |
|
sai |
:새 |
賽는 斯乃反 |
虎 |
監 |
|
pm |
:범 |
監은 蒲南反 |
牛 |
燒 |
|
sjo |
ㆍ쇼 |
燒는 去聲 |
羊 |
羊 |
|
|
|
한자어 |
猪 |
突 |
突 |
tot‘ |
돝 |
|
犬 |
家稀 |
家狶 |
ka-hi |
가ㆍ히 |
|
猫 |
鬼尼 |
鬼尼 |
ko-ni |
고니 |
|
鼠 |
觜 |
鼠 |
cui |
쥐 |
|
鹿 |
鹿 |
|
|
|
한자어 |
馬 |
末 |
|
mr |
|
|
乘馬 |
轄打 |
|
hr-t‘a |
타, 걸터 |
打는 平聲 |
皮 |
渴翅 |
|
kac‘(i) |
갗, 갓 |
|
毛 |
毛 |
|
|
|
한자어 |
角 |
角 |
|
|
|
한자어 |
龍 |
稱 |
珍 |
|
미상 |
|
魚 |
水脫 |
|
|
미상 |
脫은 剔恙切 |
鼈 |
團 |
|
|
미상 |
|
蟹 |
慨 |
|
ki |
:게 |
|
鰒 |
必 |
|
|
미상 |
|
螺 |
蓋慨 |
|
ki-k‘i |
게케 |
|
蛇 |
蛇 |
|
|
|
한자어 |
蠅 |
蠅 |
|
|
|
한자어 |
螘 |
螻 |
|
|
|
한자어 |
蝨 |
|
|
ni |
ㆍ니 |
|
蛋 |
批勒 |
批動 |
pj-rok |
벼ㆍ록 |
|
幾 |
側根㫉 |
蟣施 |
|
미상 |
|
蟇 |
虼鋪 |
墓鋪 |
|
미상 |
|
人 |
人 |
|
|
|
한자어 |
主 |
主 |
|
|
|
한자어 |
客 |
孫命 |
|
son-nim |
손님 |
孫吟의 오 |
官 |
員理 |
|
’wn |
원 |
|
士 |
進 |
|
sjn-pi |
션ㆍ |
進은 士儘反 |
吏 |
主事 |
|
|
|
한자어 |
商 |
行身 |
|
|
미상 |
|
工匠 |
把指 |
|
pa-ci |
바지 |
|
農 |
宰把指 |
|
|
미상 |
|
兵 |
軍 |
|
|
|
한자어 |
僧 |
福田 |
|
|
|
한자어 |
尼 |
阿尼 |
|
’a-ni |
아니 |
한자어 |
遊子 |
浮浪人 |
|
|
|
한자어 |
丐 |
丐剝 |
|
ks-βas |
것 |
|
倡 |
水作 |
|
su-ca(h) |
수자ㅎ, 수잫 |
|
盜 |
婆兒 |
案兒 |
pa-z |
버, 바 |
|
倡人之子 |
故作 |
|
ko-cia |
고ㆍ쟈 |
|
樂工 |
故作 |
|
|
|
|
稱我 |
能 |
|
nai |
ㆍ나, 내 |
能은 奴台切 |
問你汝誰何 |
箇 |
爾餧 |
nu-ko |
ㆍ누고, 누구 |
|
祖 |
漢了秘 |
|
han-’a-pi |
ㆍ한아ㆍ비 |
了는 丫의 오 |
父 |
子了秘 |
了秘 |
’a-pi |
아ㆍ비 |
了는 丫의 오 |
母 |
了秘 |
了彌 |
’-mi |
’어ㆍ미 |
了는 丫의 오 |
伯叔 |
了査秘 |
|
’a-ca-pi |
아자ㆍ비 |
了는 丫의 오 |
伯叔母 |
了子彌 |
|
’a-c-mi |
아ㆍㆍ미 |
了는 丫의 오 |
兄 |
長官 |
|
|
미상 |
|
嫂 |
長漢吟 |
長官吟 |
|
미상 |
|
娣 |
妹 |
姊妹 |
|
미상 |
|
男子 |
吵喃 |
沙喃 |
s-na-hi |
나히 |
음은 南 |
弟 |
了兒 |
|
’a-z |
아 |
了는 丫의 오 |
妹 |
了慈 |
|
’a-z |
아 |
了는 丫의 오 |
女子 |
漢吟 |
|
ha-nim |
하님 |
|
自稱其夫 |
沙會 |
|
sa-hoi |
사ㆍ회 |
|
妻 |
漢吟 |
|
ha-nim |
하님 |
|
自稱其妻 |
細婢 |
|
|
미상 |
|
|
陟臂 |
|
|
미상 |
妾의 寫音 |
男兒 |
了姐 |
了妲 |
’a-tr |
아ㆍ |
了는 丫의 오 |
|
同婆記 |
|
sas-ki |
삿기 |
婆는 娑의 오 |
女兒 |
寶姐 |
寶妲 |
ptr |
, |
|
|
召育曹兒 |
召盲曹兒 |
|
미상 |
|
父呼其子 |
了加 |
|
’a-ka |
ㆍ아ㆍ가 |
了는 丫의 오 |
孫 |
了村了姐 |
|
’a-c‘n-’a-tr |
아ㆍ아ㆍ |
了는 丫의 오 |
舅 |
漢了祕 |
|
han-’a-pi |
ㆍ한아ㆍ비 |
了는 丫의 오 |
姑 |
漢了彌 |
|
han-’-mi |
ㆍ한ㆍ아ㆍ미 |
了는 丫의 오 |
婦 |
了村 |
|
’a-c‘n |
아ㆍ |
了는 丫의 오 |
母子兄 |
訓欝 |
|
|
미상 |
|
母子弟 |
次欝 |
|
|
미상 |
|
姨妗 |
了子彌 |
|
’a-c-mi |
아ㆍㆍ미 |
了는 丫의 오 |
頭 |
麻帝 |
|
ma-ti |
마디 |
|
髮 |
麻帝核試 |
|
ma-ti |
마디- |
|
面 |
捺翅 |
|
ns(c‘) |
, , ㅊ |
|
眉 |
疎步 |
踈步 |
nun-sp |
눈섭 |
嫩涉의 오 |
眼 |
嫩 |
|
nun |
ㆍ눈 |
|
耳 |
愧 |
瑰 |
kui |
ㆍ귀 |
|
口 |
邑 |
|
’ip |
ㆍ입 |
|
齒 |
你 |
|
ni |
ㆍ니 |
|
舌 |
蝎 |
竭 |
hj |
ㆍ혀 |
|
面美 |
捺翅朝勳 |
|
n-c‘i-tjo-hn |
치됴 |
|
面醜 |
捺翅沒朝勳 |
|
n-c‘i-mot-tjo-hn |
치:몯됴 |
|
心 |
心 |
沁 |
|
|
한자어 음은 심(尋) |
身 |
門 |
|
mom |
ㆍ몸 |
|
胸 |
軻 |
|
ka-sm |
가ㆍ |
軻 뒤에 1자 결 |
背 |
腿馬末 |
|
|
미상 |
|
腹 |
擺 |
|
pi |
ㆍ |
|
手 |
遜 |
|
son |
ㆍ손 |
|
足 |
潑 |
|
par |
ㆍ발 |
|
肥 |
骨鹽眞 |
鹽骨眞 |
’jm-kir-(cin) |
염ㆍ글(진) |
鹽骨眞의 오 |
|
鹽骨易成 |
|
’jm-kir-’i-sj |
염ㆍ글이셔 |
成은 戌의 오 |
瘦 |
安里鹽骨眞 |
|
’a-ni-’jm-kir-(cin) |
아ㆍ니염ㆍ글(진) |
|
洗手 |
遜時蛇 |
|
son-si-s |
ㆍ손시서 |
|
洗濯 |
時蛇 |
|
si-s |
시서 |
|
白米 |
漢菩薩 |
|
nin-psr |
ㆍ |
|
粟 |
田菩薩 |
|
co(p)-psr |
좁ㆍ, 조ㆍ |
|
麥 |
密頭目 |
祕頭目 |
mirh |
ㆍ밀ㅎ |
頭目은 미상 |
大穀 |
麻帝骨 |
田麻帝骨 |
ma-ti-kok |
마디곡 |
|
酒 |
酥孛 |
|
su-pur |
수불 |
|
醋 |
生根 |
|
sin-ks |
싄것 |
|
醬 |
密祖 |
祕祖 |
mj-cu |
며ㆍ주 |
원본에는 蜜祖 |
鹽 |
蘇甘 |
|
so-kom |
소곰 |
|
油 |
畿林 |
|
ki-rim |
기ㆍ름 |
畿는 入聲 |
魚肉 |
姑記 |
|
ko-ki |
고ㆍ기 |
|
飯 |
朴擧 |
|
pap |
ㆍ밥 |
|
粥 |
謨做 |
|
|
미상 |
|
茶 |
茶 |
|
c‘a |
차, 다 |
한자어 |
飮酒 |
酥李麻蛇 |
酥孛麻蛇 |
su-pur-ma-sj |
수불마셔 |
李는 孛의 오 |
飮 |
麻蛇 |
|
ma-si |
마셔 |
|
煖酒 |
蘇孛打里 |
|
su-pur-ta-ri |
수불ㆍ다ㆍ리(다) |
|
安排 |
打里 |
|
ta-ri |
ㆍ다ㆍ리(다) |
|
勸客飮盡食 |
打麻此 |
|
ta-m-c‘ |
:다 |
|
醉 |
蘇孛速 |
|
su-pur |
수불- |
速은 미상 |
不善飮 |
本道安理麻蛇 |
|
pon-ti-’a-ni-ma-sj |
본아ㆍ니마셔 |
|
熟水 |
泥根沒 |
|
ni-kin-mir |
니근ㆍ물 |
|
冷水 |
時根沒 |
|
si-kin-mir |
시근ㆍ물 |
|
飽 |
擺咱 |
|
pi-c‘ |
ㆍㆍ |
咱는 七加反 |
飢 |
擺咱安理 |
|
pi-c‘-a-ni |
ㆍㆍ아니 |
|
金 |
那論義 |
郍論義 |
nu-rn-soi |
누런쇠 |
義는 歲의 오 |
珠 |
區戌 |
|
ku-sir |
구ㆍ슬 |
|
銀 |
漢歲 |
|
hin-soi |
ㆍㆍ쇠 |
|
銅 |
銅 |
|
tog |
동 |
한자어 |
鐵 |
歲 |
|
soi |
ㆍ쇠 |
|
絲 |
絲 |
|
s |
|
한자어 |
麻 |
三 |
麻 |
sam |
ㆍ삼 |
|
羅 |
速 |
|
|
미상 |
|
錦 |
錦 |
|
kim |
:금 |
한자어 |
綾 |
菩薩 |
|
|
미상 |
|
絹 |
及 |
|
kip |
:깁 |
|
布 |
背 |
|
poi |
ㆍ뵈 |
|
苧 |
毛 |
毛施 |
mo-si |
모시 |
|
苧布 |
毛施背 |
|
mo-si-poi |
모시ㆍ뵈 |
|
幞頭 |
幞頭 |
|
pok-to |
복도 |
|
帽子 |
帽 |
|
mo |
:모 |
한자어 |
頭巾 |
土捲 |
上捲 |
tu-kn |
두건 |
|
袍 |
袍 |
|
p‘o |
포 |
한자어 |
帶 |
腰帶 |
|
’jo-ti |
요 |
|
|
謁子帶 |
|
|
미상 |
|
皀衫 |
軻門 |
珂門 |
k-min |
거믄 |
|
被 |
泥不 |
尼不 |
ni-pir |
니ㆍ블 |
|
袴 |
珂背 |
|
k-poi |
뵈 |
|
裩 |
安海珂背 |
|
an-hai-k-poi |
ㆍ안해뵈 |
|
裙 |
裙 |
|
kun |
군 |
한자어 |
鞋 |
盛 |
|
sin |
신, (훠)쳥 |
|
襪 |
背戍 |
背成 |
po-sjn |
보션, ㆍ뵈쳥 |
|
女子蓋頭 |
子母蓋 |
|
|
미상 |
|
針 |
板捺 |
斜捺 |
pa-nr |
바ㆍ |
|
夾袋 |
南子木蓋 |
男子木蓋 |
|
미상 |
|
女子勒帛 |
實帶 |
|
sir-stii |
실 |
|
綿 |
實 |
|
sir |
:실 |
|
繡 |
繡 |
|
sjr |
슈 |
한자어 |
白 |
漢 |
|
hin |
|
|
黃 |
那論 |
|
nu-rn |
누런 |
|
靑 |
靑 |
|
c‘jg |
쳥 |
한자어 |
紫 |
質背 |
|
tit-poi |
딛뵈 |
|
黑 |
黑 |
|
hik |
흑 |
한자어 |
赤 |
赤 |
|
cjk |
ㆍ젹 |
한자어 |
紅 |
眞紅 |
|
cin-hog |
진홍 |
한자어 |
緋 |
緋 |
|
pi |
|
한자어 |
染 |
沒涕里 |
|
mir-ti-ri |
ㆍ믈ㆍ드ㆍ리(ㆍ다) |
|
秤 |
雌字 |
雌孛 |
c-pur |
저불 |
字는 孛의 오 |
尺 |
作 |
|
ca(h) |
ㆍ자(ㅎ) |
|
升 |
刀 |
|
toi |
ㆍ되 |
刀의 음은 佳 |
斗 |
抹 |
|
mar |
ㆍ말 |
|
印 |
印 |
|
’in |
ㆍ인 |
한자어 |
車 |
車 |
|
c‘ja |
챠 |
한자어 |
船 |
擺 |
|
pi |
ㆍ |
|
席 |
䔲 |
|
tig-(mi) |
등 |
䔲의 음은 登 |
席薦 |
質薦 |
|
ci-cir(k) |
지ㆍ즑 |
席薦은 薦의 오 |
椅子 |
馳馬 |
|
to-ma |
도ㆍ마 |
馳는 駞의 오 |
卓子 |
食床 |
|
sig-sag |
ㆍ식상 |
한자어 |
林 |
林 |
|
|
|
한자어 |
燭 |
火炬 |
|
hwa-k |
:화ㆍ거 |
한자어 |
簾 |
箔 |
|
par |
:발 |
|
燈 |
活黃 |
|
|
미상 |
|
下 |
簾箔 |
|
|
미상 |
|
耻 |
囉 |
|
|
미상 |
|
匱 |
枯孛 |
|
ko-por |
고볼 |
|
傘 |
聚笠 |
|
sju-rup |
슈ㆍ룹 |
|
扇 |
孛采 |
|
pu-c‘ai |
부ㆍ채 |
|
笠 |
蓋 |
|
kat |
ㆍ갇 |
蓋의 음은 渴 |
梳 |
苾 |
|
pis |
빗 |
苾의 음은 必 |
篦 |
頻希 |
頻希 |
pin-hj |
빈혀 |
참빗 |
齒刷 |
養支 |
|
’jag-ci |
ㆍ양지 |
|
合 |
合子 |
|
hap |
ㆍ합 |
한자어 |
盤子 |
盤 |
|
pan |
반 |
한자어 |
甁 |
甁 |
|
pjg |
병 |
한자어 |
銀甁 |
蘇乳 |
|
|
미상 |
|
酒注 |
甁砣 |
甁碗 |
|
미상 |
|
盞盤 |
臺盤 |
臺盞 |
|
미상 |
|
釜 |
吃 |
|
|
미상 |
吃은 楛咜反 |
盆 |
雅數耶 |
鴉救耶 |
|
미상 |
|
鬲 |
宰 |
窣 |
sot |
솓 |
|
碗 |
巳顯 |
巳題 |
|
미상 |
|
楪 |
楪至 |
|
tjp-si |
뎝ㆍ시 |
|
盂 |
大耶 |
|
tai-’ja |
대야 |
|
匙 |
戍 |
|
sur |
ㆍ술 |
戍는 戌의 오 |
茶匙 |
茶戍 |
|
c‘a-sur |
차ㆍ술 |
戍는 戌의 오 |
箸 |
折 |
|
c, cj |
ㆍ저, 져 |
折은 七吉反 |
沙羅 |
戌羅 |
|
so-ra |
ㆍ소ㆍ라 |
|
|
敖耶 |
|
|
미상 |
|
硯 |
皮盧 |
|
pj-ro |
벼ㆍ로 |
|
筆 |
皮盧 |
|
|
미상 |
誤記인 듯함 |
紙 |
垂 |
捶 |
|
죠ㆍ |
|
墨 |
墨 |
墅 |
mk |
ㆍ먹 |
|
刀子 |
割 |
|
kar |
ㆍ갈 |
|
剪刀 |
割子蓋 |
|
kz-kai |
개 |
|
骰子 |
節 |
|
|
미상 |
|
鞭 |
鞭 |
|
p‘jn |
편 |
한자어 |
鞍 |
未鞍 |
|
mr-’an |
안(쟝) |
|
轡 |
轡 |
轡頭 |
pi |
비 |
한자어 |
鼓 |
濮 |
|
pup‘ |
붚 |
|
旗 |
旗 |
|
kii |
긔 |
|
弓 |
活 |
|
kwar |
활 |
|
箭 |
虄 |
薩 |
sar |
ㆍ살 |
|
|
矢 |
|
|
|
한자어 |
劍 |
長刀 |
|
|
|
한자어 |
火刀 |
割刀 |
|
|
미상 |
|
釜 |
烏子蓋 |
|
’o-ci-kai |
오지개 |
|
炭 |
蘇成 |
蘇戍 |
sus(k) |
숫ㄱ |
|
柴 |
孛南木 |
|
pir-na-mo |
ㆍ불나모 |
|
香 |
寸 |
|
|
미상 |
|
索 |
郍 |
鄒 |
no |
노 |
|
|
朴 |
|
pa |
바 |
|
索縛 |
那沒香 |
郍木香 |
no-mus-k |
노뭇거 |
|
射 |
活索 |
活李 |
hwar-so |
활ㆍ |
|
讀書 |
乞鋪 |
赴鋪 |
kir-po |
글ㆍ보- |
|
寫字 |
乞核薩 |
|
kir-ki-zir |
글그 |
|
畵 |
乞林 |
|
ki-rim |
ㆍ그림 |
|
榜 |
柏子 |
|
|
미상 |
|
寢 |
作之 |
|
ca-ci |
ㆍ자지 |
|
興 |
你之 |
|
ni-ci |
니지 |
|
坐 |
阿則家囉 |
|
’an-c-k-ra |
안거ㆍ라 |
|
立 |
立 |
囉 |
|
미상 |
|
臥 |
乞寢 |
吃寢 |
|
미상 |
|
行 |
欺臨 |
|
k-rim |
거ㆍ름 |
|
走 |
連音打 |
速行打 |
njn-ta |
년다 |
|
來 |
烏囉 |
|
’o-ra |
ㆍ오라 |
|
去 |
匿家入囉 |
|
ni-k-(ci-ra) |
ㆍ니거(지라) |
|
笑 |
胡臨 |
|
|
미상 |
|
哭 |
胡住 |
|
|
미상 |
|
客至 |
孫烏囉 |
|
son-’o-ra |
손오라 |
|
有客 |
孫集移室延 |
|
son-cip-’i-sir |
손집이실 |
孫集移室의 오 |
客入 |
屋裏坐少時 |
|
’o-ra-cu-sjo-sj |
오주쇼셔 |
延客入의 오 |
語話 |
替理受勢 |
替黑受勢 |
ti-ra-sjo-sj |
드러쇼셔 |
|
擊考 |
屋打理 |
繫室打里 |
|
미상 |
|
決罪 |
滅底 |
滅知衣底 |
|
미상 |
|
借物 |
皮離受勢 |
|
pi-ri-sjo-sj |
비리쇼ㆍ셔 |
|
問此何物 |
設審 |
|
mi-sim |
므ㆍ슴 |
說은 沒의 오 |
乞物 |
念受勢 |
|
-sjo-sj |
-쇼ㆍ셔 |
念은 미상 |
問物多少 |
密翅易成 |
|
mj-c‘i-’i-sj |
며치이셔 |
|
呼取物 |
都囉 |
|
to-ra |
ㆍ도라 |
|
相別 |
羅戱少時 |
|
’j-hii-sjo-sj |
여ㆍ희쇼셔 |
|
事之畢 |
得 |
|
ta |
:다 |
|
勞問 |
雅蓋 |
|
|
미상 |
‘아개’인 듯함 |
生 |
生 |
|
sig |
|
한자어 |
死 |
死 |
|
s |
|
한자어 |
老 |
刀斤 |
|
nir-kin |
늙은 |
刀는 力의 오 |
少 |
亞退 |
|
’a-c‘n |
아ㆍ |
|
存 |
薩囉 |
|
sa-ra |
사라 |
|
亡 |
朱幾 |
|
cu-k |
주거 |
|
有 |
移實 |
|
’i-sir |
이실 |
|
無 |
不鳥實 |
|
’p-sir |
업슬 |
烏不實의 오 |
大 |
黑根 |
|
|
미상 |
|
小 |
胡根 |
|
hjo-kin |
효근, 호 |
|
多 |
覺合及 |
釁何支 |
hin-h-ti |
흔디 |
民本을 따름 |
少 |
阿捺 |
|
|
미상 |
원본에는 阿捺 |
高 |
那奔 |
|
no-p‘n |
노 |
|
低 |
捺則 |
|
n-ck |
|
원본에는 捺則 |
深 |
及欣 |
|
ki-p‘in |
기픈 |
|
淺 |
眼底 |
泥底 |
nj-t‘i |
녀티 |
|
○ 《고려박학기(高麗博學記)》에 이르기를, “
수(酥)를 대도규(大刀圭)라 이름하고,
제호(醍醐)를 소도규(小刀圭)라 하고,
낙(酪)을 수도규(水刀圭)라 하고,
유부(乳腐)를 초창도규(草創刀圭)라 한다.
○ 또 이르기를, “미공보장(迷空步障)
-안개[霧]를 가리킨다.-, 위설(威屑)
-서리[霜]를 가리킨다.-, 교수(敎水)
-이슬[露]을 가리킨다.-, 빙자(冰子)
-우박[雹]을 가리킨다.-, 기모(氣母)
-무지개[虹]를 가리킨다.-, 설금(屑金)
-별[星]을 가리킨다.-, 추명대로(秋明大老)
-은하수[天河]를 가리킨다.-”라 하였다.
《이상 모두 청이록(淸異錄)》○ 고려의 국속(國俗)에, 국왕을 신하나 백성들이 부를 때에는 성상(聖上)이라고 부르고, 사사로이 칭할 때에는 엄공(嚴公)이라고 한다. 후비(后妃)는 궁주(宮主)라고 한다.
《송사》○ 고려에서는 중국의 사신들을 일러 모두 천거(天車)라고 한다.
《중주집(中州集)》○ 고려 사람들은 삿갓[笠]을 알(軋)이라고 하고, 고슴도치 털[刺蝟毛]을 고섬섬(苦苫苫)이라고 한다.
《고려도경》○ 고려는 북쪽을 별십팔(別十八)이라 하는데, 중국말로 다섯 성(城)을 연결하였다는 말이다.
《철경록(輟耕錄)》○ 매[鷹]를 고려 사람들은 결운아(決雲兒)라고 부른다.
《화경(花鏡)》○ 조선에서는 선대 때 일찍이 문무(文武)의 관원을 겸한 자들을 일러 양반(兩班)이라고 한다.
○ 그 나라의 소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글을 읽을 때에는 평성(平聲)이 거성(去聲)과 같다. 이를테면, 성(星)을 성(聖)이라고 하고, 연(煙)을 연(燕)이라고 하는 따위가 그것이다. 평상시에 쓰는 말은 대부분 여진(女眞)의 말과 비슷하다. 심지어는 한 글자를 3, 4자로 지어서 부르는 것도 있는데, 이를테면, 팔(八)을
야득리불(也得理不)이라 하는 것이 그것이다. 한 글자를 두 자로 지어서 부르는 것이 더욱 많은데, 이를테면, 부(父)를 아필(阿必)이라 하고, 모(母)를 액미(額㜷)라고 하는 따위가 그것이다.
《이상 모두 조선부 주》
살펴보건대, 지금 국속(國俗)에는 부(父)를 일러 아비[阿父]라 하고, 모(母)를 일러 어미[阿㜷]라고 하며, 아프면 아야(阿爺)라고 하고, 겁나면 어마[阿母]라고 하는데, 이는 모두 방언으로, 굴원(屈原)이 이른바 “아프고 참담하면 부모를 부르지 않는 적이 없다.”고 한 의리이다. 중국의 소리는 입성(入聲)이 적으므로, 아필(阿必)은 아비[阿父]의 음이 전음(轉音)된 것이고, 액미(額㜷)는 어미[阿㜷]의 음이 전음된 것이다. 아미(阿㜷)란 글자는 《이장길전(李長吉傳)》 및 최치원(崔致遠)의 진감선사비서(眞鑑禪師碑序)에 나오니, 대개 본래는 중국말이다.
○ 인중(人中)을 고려에서는 살랍밀(薩拉蜜)이라고 한다.
《강희기가격물론(康煕幾暇格物論)》 ○ 삼가 살펴보건대,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람을 부를 때 ‘사람[薩拉蜜]’이라고 하는데, 잘못 인중(人中)을 칭하는 말로 되었다. 이는 대개 잘못 전해진 것이다.○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에 나오는 조선의 국어(國語)는 다음과 같다.
대상어 |
한자표기 |
대상어 |
한자표기 |
천(天) |
波乃留 |
지(地) |
須大具 |
일(日) |
伊留 |
월(月) |
於留 |
성(星) |
倍留 |
운(雲) |
久留無 |
풍(風) |
波良牟 |
우(雨) |
比 |
설(雪) |
奴牟 |
상(霜) |
曾留 |
노(露) |
乎留 |
뇌(雷) |
波乃留宇牟太 |
빙(氷) |
於呂牟 |
산(山) |
毛惠 |
판(坂) |
古加伊 |
해(海) |
波太具 |
천(川) |
加具 |
파(波) |
古留 |
수(水) |
不曾 |
화(火) |
布留 |
토(土) |
不留 |
목(木) |
奈牟 |
초(草) |
曾 |
송(松) |
曾奈牟 |
죽(竹) |
太伊 |
매(梅) |
波伊波以 |
국(菊) |
久个 |
총(葱) |
波 |
인삼(人蔘) |
伊牟曾牟 |
연초(煙草) |
太牟婆古 |
맥(麥) |
保利 |
미(米) |
此伊留 |
대두(大豆) |
古久 |
소두(小豆) |
波豆 |
반(飯) |
波備 |
주(酒) |
須留 |
염(鹽) |
曾久無未 |
장(醬) |
知也木 |
약(藥) |
也久 |
사(寺) |
泥留 |
선(船) |
波伊 |
가(家) |
知不 |
연(筵) |
座黑 |
필(筆) |
不豆 |
흑(黑) |
保久 |
장(杖) |
南牟太伊 |
다완(茶盌) |
知由具婆利 |
은(銀) |
宇牟 |
주배(酒盃) |
座牟 |
선자(扇子) |
武豆曾伊 |
입(笠) |
伊佐牟 |
궁(弓) |
波利 |
시(矢) |
波留太伊 |
지(紙) |
知與保伊 |
불(佛) |
不豆低 |
승(僧) |
知由具 |
사(士) |
保皮牟 |
농부(農夫) |
波久世岐 |
남(男) |
奈牟佐宇 |
여(女) |
加牟奈閉 |
군(君) |
久牟 |
신(臣) |
知與具乃牟 |
부(父) |
阿婆美 |
모(母) |
呼由美 |
친(親) |
於婆伊 |
자(子) |
阿止留 |
형(兄) |
閉歧 |
불(笰) |
阿之 |
상인(商人) |
知也久曾 |
우(牛) |
之與 |
마(馬) |
毛留 |
견(犬) |
加伊 |
호(虎) |
保 |
묘(猫) |
古伊 |
학(鶴) |
久波久知 |
응(鷹) |
末伊 |
부(鳧) |
加未久以 |
계(鷄) |
知留木 |
조(鳥) |
止里 |
구(鳩) |
以不知 |
어(魚) |
古木 |
이(鯉) |
里賀伊 |
오적(烏賊) |
乎曾賀里 |
부(鮒) |
布賀伊 |
해온(海鰮) |
女知古木 |
조(鯛) |
止牟 |
대구어(大口魚) |
大伊古 |
사(蛇) |
佐牟無須伊 |
문(蚊) |
保留 |
의복(衣服) |
乎須 |
사릉(紗綾) |
阿之知里 |
윤자(綸子) |
豆具 |
주(紬) |
女具知由 |
사(絲) |
之留 |
목면(木綿) |
牟女具 |
면(綿) |
女具曾 |
등(燈) |
止具 |
일(一) |
波牟奈 |
이(二) |
止乎留 |
삼(三) |
曾伊 |
사(四) |
止伊 |
오(五) |
大曾 |
육(六) |
與曾 |
칠(七) |
知留古布 |
팔(八) |
與止呂其 |
구(九) |
阿經布 |
십(十) |
惠留 |
백(百) |
以留婆久 |
천(千) |
以留天牟 |
만(萬) |
以留□牟 |
첫댓글 오늘은 '궐한'님과 제가 똑같은 책의 똑같은 페이지를 보고 있었군요. 며칠 전 부터 그동안 보아왔던 해동역사의 17권부터 60권까지를 하나 하나 검토해 보고 있었거든요. 님의 발상 전환은 아주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란 예감이 듭니다.
조선사는 너무나 광대하고, 광활한 영토내에서 벌어졌던 복잡한 사건들 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정리하기가 아주 어렵다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하여튼 조선사를 바라보려면 넓게, 크게 봐야 할것입니다. 좋은 글 기분 좋게 보았습니다. 건강하시길 빕니다.
한날산이나 한라산이나 다 '손으로 만진다'는 의미이니 같은 산인데, 제주도 한라산도 딴데서 옮겨 온 것이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