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보석같이 아름답게
 
 
 
카페 게시글
음양오행 명리학 스크랩 격국총론
오아시스 추천 0 조회 204 10.03.10 21:0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一. 간명대요(看命大要)

 

1. 통근(通根)


통근(通根)이라 함은 천간(天干)이 지지(地支)에 뿌리를 박았음을 말하다.

사주(四柱)의 일주(日柱)가 강(强)한가 약(弱)한가를 살피는데 중요(重要)하며 만일(萬一) 길신(吉神)이 통근(通根)하면 길(吉)하게 되고 기신(忌神)이 강왕(强旺)하게 통근(通根)하면 흉(凶)하게 되는 것이다.
통근(通根)의 문제(問題)는 격국(格局), 용신(用神), 희신(喜神), 기신(忌神)의 판단(判斷)에 대단히 중요(重要)한 것이다.

가. 갑을목(甲乙木)
목(木)은 정월(正月) 인(寅), 이월(二月) 묘(卯), 십월(十月) 해(亥), 십일월(十一月) 자(子)에 통근(通根)되고 삼월(三月) 진(辰), 유월(六月) 미(未)에 통근(通根)된다.
인묘(寅卯)를 목왕지(木旺地)라 하고 해자(亥子)를 목(木)을 생(生)하여 준다고 하여 상지(相地)라 한다.
인묘월(寅卯月)은 목왕절(木旺節)인 봄이고 목(木)의 건록(建祿) 제왕지(帝旺地)이므로 목기(木氣)가 년중(年中) 제일(第一) 왕성(旺盛)하다.
진월(辰月)은 삼월(三月)로서 춘방(春方), 춘계(春季)에 해당(該當)하여 토중(土中)에 목기(木氣)가 왕성(旺盛)하며
미월(未月)은 유월(六月)로서 목(木)의 고지(庫地)가 되며 묘(卯)나 해(亥)가 있으면 목국(木局)을 이루어 목(木)의 기운(氣運)이 왕성(旺盛)해지는 것이다.
해월(亥月)은 십월(十月)로서 목(木)의 장생지(長生地)이며 소춘(小春)으로서 생조(生助)가 크고
자월(子月)은 십일월(十一月)로서 수왕(水旺) 생목(生木)하지만 동절(冬節)의 냉한기(冷寒期)며 패욕(敗浴)이 되므로 목(木)을 생조(生助)해 주는 힘이 미약(微弱)하다.

나. 병정화(丙丁火)
화(火)는 사월(四月) 사(巳), 오월(五月) 오(午), 정월(正月) 인(寅), 이월(二月) 묘(卯)에 통근(通根)되고 유월(六月) 미(未), 구월(九月) 술(戌)에 통근(通根)된다.
사(巳), 오(午)를 화왕지(火旺地)라 하고 인묘(寅卯)를 화(火)를 생(生)하여 준다고 하여 상지(相地)라 한다.
사오월(巳午月)은 화왕절(火旺節)인 여름이고 화(火)의 건록(建祿), 제왕지(帝旺地)이므로 화기(火氣)가 년중(年中) 제일(第一) 왕성(旺盛)하다.
미월(未月)은 유월(六月)로서 화방(火方), 하계(夏季)에 해당(該當)하여 토중(土中)의 화기(火氣)가 왕성(旺盛)하며 조토(燥土)라 한다.
술월(戌月)은 구월(九月)로서 화(火)의 고지(庫地)가 되며 오(午)나 인(寅)이 있으면 화국(火局)을 이루어 화(火)의 기운(氣運)이 왕성(旺盛)해지는 것이다.
인월(寅月)은 화(火)의 장생지(長生地)로서 병화(丙火)를 안고 있는데 절후(節侯)의 심천(深淺)를 잘 살펴야 한다.
묘월(卯月)은 태양(太陽)이 떠올라 일조(日照)와 그림자가 뒤섞이니 욕지(浴地)라 한다.

다. 무기토(戊己土)
토(土)는 삼월(三月) 진(辰), 유월(六月) 미(未), 구월(九月) 술(戌), 십이월(十二月) 축(丑)에 통근(通根)되고 사월(四月) 사(巳) 오월(五月) 오(午)에 통근(通根)된다.
토(土)는 화(火)에 의지(依持)하기 때문에 인(寅)에 장생(長生)하고 신(申)과 해(亥)에도 토기(土氣)가 있다.
진술축미(辰戌丑未)를 토왕절(土旺節)이라 하고 사오화(巳午火)를 토(土)를 생(生)하여 준다고 하여 상지(相地)라 한다.
진술축미(辰戌丑未)는 토왕절(土旺節)이나 사고지(四庫地) 사계지(四季地)로서 양계절(兩季節)의 접목(接木) 작용(作用)을 하여 고장(庫藏)의 역할(役割)을 하기 때문에 심천(深淺)을 살펴야 한다.
미토(未土)가 사주중(四柱中) 토기(土氣)가 가장 왕(旺)하다고 하고 진토(辰土)는 수(水)의 고지(庫地)인 동시에 토(土)의 고지(庫地)가 된다.

라. 경신금(庚辛金)
금(金)은 칠월(七月) 신(申), 팔월(八月) 유(酉), 삼월(三月) 진(辰), 유월(六月) 미(未), 구월(九月) 술(戌), 십이월(十二月) 축(丑)에 통근(通根)되고 사월(四月)사(巳)는 경금(庚金)이 장생(長生)되므로 금(金)의 통근지(通根地)가 된다.
신유(申酉)를 금왕지(金旺地)라 하고 진술축미(辰戌丑未)를 금(金)을 생(生)하여 준다고 하여 상지(相地)라 한다.
신유월(申酉月)은 금왕절(金旺節)인 가을이고 금(金)의 건록(建祿), 제왕지(帝旺地)이므로 금기(金氣)가 년중(年中) 제일(第一) 왕성(旺盛)하다.
축진토(丑辰土)는 습토(濕土)로 생금(生金)하며 술미토(戌未土)는 조토(燥土)로서 화기(火氣)가 왕성(旺盛)하며 금(金)을 오히려 녹여 못쓰게 하기도 한다.
사(巳)는 화왕지(火旺地)나 금(金)을 용광제련(鎔鑛製鍊)하는 것으로 사(巳)가 유(酉)를 만나게 되면 금기(金氣)는 국(局)을 이루어 왕성(旺盛)해진다.

마. 임계수(壬癸水)
수(水)는 십월(十月) 해(亥), 십일월(十一月) 자(子), 칠월(七月) 신(申), 팔월(八月) 유(酉)에 통근(通根)되고 삼월(三月) 진(辰), 십이월(十二月) 축(丑)에 통근(通根)된다.
해자(亥子)를 수왕지(水旺地)라 하고 신유(申酉)를 수(水)를 생(生)하여 준다고 하여 상지(相地)라 한다.
해월(亥月), 자월(子月)은 수왕절(水旺節)인 겨울이고 수(水)의 건록(建祿), 제왕지(帝旺地)이므로 수기(水氣)가 일년(一年)중 가장 왕성(旺盛)하다.
축월(丑月)은 십이월(十二月)로서 동방(冬方), 동계(冬季)에 해당하여 토중(土中)에 수기(水氣)가 왕성(旺盛)하며
진월(辰月)은 삼월(三月)로서 수(水)의 고지(庫地)가 되며 자수(子水)나 신금(申金)이 있으면 수국(水局)을 이루어 수(水)의 기운(氣運)이 왕성(旺盛)해지는 것이다.
신(申)은 칠월(七月)로서 수(水)의 장생지(長生地)가 되며 유(酉)는 팔월(八月)로서 수(水)의 욕지(浴地)가 된다.

※통근(通根) 관계(關係)를 표(表)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2. 왕상휴수사법(旺相休囚死法)

※ 왕상휴수사법(旺相休囚死法)을 표(表)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왕상휴수사법(旺相休囚死法)이란 일간(日干)과 생월(生月)을 대비(對比)하여 생(生)하여 주는 월(月)을 상지(相地)라 하고 비견(比肩), 겁재(劫財), 록왕(祿旺)지역을 왕지(旺地)라 한다.
상지(相地), 왕지(旺地)는 일간(日干)을 강(强)하게 하는 곳이기 때문에 신왕(身旺) 신강지(身强地)라고 한다.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되는 월(月)은 일간(日干)의 기운(氣運)을 설기(泄氣) 한다고 하여 휴지(休地)라 한다.
월지(月支)가 정재(正財), 편재(偏財)가 되는 지역은 일간(日干)이 극(剋)해서 이길수 있는 곳으로 수지(囚地)라 한다.
수지(囚地)는 곧 일간(日干)의 재지(財地)가 되는 것이다.
월지(月支)가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되는 지역은 일간(日干)이 극(剋)을 당하는 곳으로 사지(死地)라 한다.
사지(死地)는 일간(日干)의 관지(官地)가 된다.
휴지(休地), 수지(囚地), 사지(死地)는 일주(日柱)를 쇠약(衰弱)하게 하는 지역(地域)으로 신약지(身弱地)라 한다.
월(月)을 제강(提綱)이라 하고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는 일주(日柱)의 강약(强弱)을 판별(判別)하는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한다.

 

3. 생극희기론(生克喜忌論)

가. 인성과다(印星過多)의 해(害)
금(金)이 토(土)에 생(生)함을 받으나 토(土)가 많으면 금(金)이 매몰(埋沒)된다.
수(水)가 금(金)에 생(生)함을 받으나 금(金)이 많으면 물이 탁(濁)해 진다.
목(木)이 수(水)에 생(生)함을 받으나 수(水)가 많으면 나무가 떠내려 간다.
화(火)가 목(木)에 생(生)함을 받으나 목(木)이 많으면 불이 꺼진다.
토(土)가 화(火)에 생(生)함을 받으나 화(火)가 많으면 흙이 열(熱)로 인하여 못쓰게 된다.
이상(以上)은 인성과다(印星過多)로 일간(日干)이 병(病)이 되는 예이다.

나. 식상다설(食傷多泄)의 해(害)
금(金)이 수(水)를 생(生)하나 물이 너무 많은면 금(金)이 물에 가라앉는다.
수(水)가 목(木)을 생(生)하나 목(木)이 너무 많으면 물이 말라버린다.
목(木)이 화(火)를 생(生)하나 불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다타버린다.
화(火)가 토(土)를 생(生)하나 흙이 너무 많으면 불이 꺼진다.
토(土)가 금(金)을 생(生)하나 금(金)이 너무 많으면 토(土)가 못쓰게 된다.
이상(以上)은 일주(日柱)가 허약(虛弱)한데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이 많아서 설기(泄氣)가 태과(太過)한 병(病)이다.

다. 신약(身弱) 재다(財多)의 병(病)
금(金)이 목(木)을 극(克)하나 목(木)이 대단히 강(强)하면 금(金)이 마멸(磨滅)된다.
수(水)가 화(火)를 극(克)하나 화(火)가 대단히 많으면 물이 말라 버린다.
목(木)이 토(土)를 극(克)하나 토(土)가 대단히 많으면 목(木)이 꺾여진다.
화(火)가 금(金)을 극(克)하나 금(金)이 많으면 불이 꺼진다.
토(土)가 수(水)를 극(克)하나 물이 대단히 많으면 흙이 무너진다.
이상(以上)은 신약(身弱) 사주(四柱)에 재성(財星)이 태과(太過)한 병이다.

라. 신약(身弱) 관살(官殺)의 병(病)
금(金)이 약(弱)한데 왕성(旺盛)한 화(火)를 만나면 녹아버린다.
수(水)가 약(弱)한데 왕성(旺盛)한 토(土)를 만나면 물이 흙에 흡수(吸水)되어 버린다.
목(木)이 약(弱)한데 왕성(旺盛)한 금(金)을 만나면 나무가 꺾어진다.
화(火)가 약(弱)한데 왕성(旺盛)한 수(水)를 만나면 불이 꺼져 버린다.
토(土)가 약(弱)한데 왕성(旺盛)한 목(木)을 만나면 흙이 무너진다.
이상(以上)은 신약(身弱) 사주(四柱)에 왕(旺)한 관살(官殺)을 만난 병(病)이다.

마. 신왕(身旺) 설기(泄氣)는 길(吉)하다
금왕(金旺)에 수(水)를 만나면 강기(强氣)를 감(減)한다.
수왕(水旺)에 목(木)을 만나면 세력(勢力)을 설(泄)한다.
목왕(木旺)에 화(火)를 만나면 통명(通明)에 이(利)하다.
화왕(火旺)에 토(土)를 만나면 열기(熱氣)를 제(除)한다
토왕(土旺)에 금(金)을 만나면 비옥(肥沃)하다.
이상(以上)은 신왕(身旺)한 사주(四柱)에 식신(食神), 상관(傷官)으로 설기(泄氣)시켜 길(吉)하게 된다.

바. 신왕(身旺) 관성(官星)은 길(吉)하다.
금왕(金旺)에 화(火)를 만나면 기물(器物)을 작성(作成)한다.
수왕(水旺)에 토(土)를 만나면 지소(池沼)의 공(功)이 있다.
목왕(木旺)에 금(金)을 만나면 재목(材木)을 작성(作成)한다.
화왕(火旺)에 수(水)를 만나면 기제(旣濟)의 공(功)을 얻는다.
토왕(土旺)에 목(木)을 만나면 소통(疏通)의 공(功)이 된다.
이상(以上)은 신왕(身旺)한 사주(四柱)에 관성(官星)을 만나서 길(吉)하게 된다.

 

4. 중화론(中和論)

사주중(四柱中)에 오행(五行)이 조화(調和)되고 용신(用神), 병신(病神), 약신(藥神) 등의 구조(構造)가 중도(中道)를 지키고 있으면 이것을 중화(中和)라고 한다.
일주(日柱)가 약(弱)하지 않고 용신(用神)이 유기(有氣)하며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서로 생조(生助)해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정(有情)하여 일자일자(一字一字)가 그 정신(精神)이 뚜렷하고 기화단결(氣和團結)하여 한중유온(寒中有溫)하고 열중유윤(熱中有潤)하여 충파(沖破)가 없으면 대부대귀(大富大貴)할 사주(四柱)로서 길운(吉運)을 만나서는 발전(發展) 번영(繁榮)하고 불길(不吉)한 운(運)을 만나더라도 큰 화(禍)는 없는 것이다.

 

5. 개두론(蓋頭論)

개두(蓋頭)라 함은 천간(天干)을 말함이니 인신(人身)에 비(比)하면 천간(天干)은 두면(頭面)과 같고 지지(地支)는 수족(手足)과 같으며 지장간(地藏干)인 인원(人元)은 오장육부(五臟六腑)에 비교(比較)한다.
을축(乙丑)에 있어 을(乙)은 개두(蓋頭)요 축(丑)은 사수족(四手足)이요 축중(丑中)의 계신기(癸辛己)는 오장육부(五臟六腑)와 같다.
또 개두(蓋頭)에 관하여 경인(庚寅) 신묘(辛卯)와 같이 천간(天干)이 지지(地支)를 극(剋)하는 것을 개두(蓋頭)라 하고 경오(庚午) 신사(辛巳)와 같이 지지(地支)가 천간(天干)을 극(剋)하는 것을 재각(裁脚)이라고도 한다.
대운(大運)은 지지(地支)가 중(重)하다고 볼 때 운간(運干)을 기(忌)하는 명(命)에 운지(運支)가 길(吉)이라도 개두운(蓋頭運)이 오면 길흉(吉凶)은 반감(半減)된다.
운간(運干)이 좋은 명(命)이 운지(運支)가 흉(凶)한 재각운(裁脚運)에 당(當)하면 십년간(十年間)이 길흉(吉凶)이 평(平)하게 된다.
개두(蓋頭)에 속(屬)한 육십화갑자(六十花甲子)는 임오(壬午) 계사(癸巳) 갑술(甲戌) 을축(乙丑) 을미(乙未) 갑진(甲辰) 병신(丙申) 정유(丁酉) 무자(戊子) 기해(己亥)등이다.
재각(裁脚)에 해당(該當)하는 간지(干支)는 갑신(甲申) 을유(乙酉) 병자(丙子) 정축(丁丑) 정해(丁亥) 무인(戊寅) 기묘(己卯) 경오(庚午) 신사(辛巳) 임술(壬戌) 계미(癸未)등이다.

1) 천간지지(天干地支)가 모두 동일오행(同一五行)이면 길흉(吉凶)모두 역량(力量)이 강(强)하다.
예(例):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오(丙午) 정사(丁巳) 무술(戊戌) 기미(己未)
2) 지지(地支)가 희신(喜神)이고 천간(天干)에서 생(生)하면 희신(喜神)의 역(力)이 강(强)하고 기신(忌神)이면 흉(凶)의 역(力)이 중(重)하다.
3) 천간(天干)이 희신(喜神)이고 지지(地支)에서 생부(生扶)하면 희신(喜神)의 역량(力量)은 강대(强大)하고 기신(忌神)이면 력(力)이 중(重)해진다.
4) 천간(天干)이 희신(喜神)이고 지지(地支)에서 극(剋)하면 희신(喜神)의 력(力)은 경미(輕微)하고 기신(忌神)이면 흉(凶)의 력(力)이 경미(輕微)하다.

 

6. 병약설(病藥說)

사주중(四柱中)에 해(害)가 되는 자(者)를 병(病)이라 하고 병(病)을 극제(克制)시켜 주는 오행(五行)이나 화해(和解)시켜 주는 오행(五行)을 약(藥)이라 한다.
일간(日干)이 수(水)로서 토(土)가 태과(太過)하다면 살왕(殺旺) 신약(身弱)한 것인데 금(金)은 토(土)와 수(水)를 상생(相生)시켜 주므로 약(藥)이 되고 목(木)은 병토(病土)를 제거(制去)해주므로 약(藥)이 된다.
또 식신(食神)을 파극(破剋)하는 편인(偏印)이 있는 경우(境遇) 편인(偏印)이 병(病)이 되는데 편재(偏財)는 편인(偏印)을 제어(制御) 조복(調伏)하므로 편재(偏財)가 약(藥)이 된다.
상관(傷官)이 병(病)이 되는 경우(境遇) 정인(正印)이 약(藥)이 되고 겁재(劫財)가 병(病)인 경우 정관(正官)이 약(藥)이 되고 편관(偏官)이 병(病)이 되는 경우(境遇) 식신(食神)이 제어(制御) 조복(調伏)하므로 제일(第一) 좋은 약(藥)이 되고 인성(印星)은 살인상생(殺印相生)하므로 약(藥)이 된다.
사주중(四柱中)에 병(病)이 중(重)하고 운로(運路)에 약(藥)을 얻으면 조재중(早災中)에 초목(草木)이 감로(甘露)를 만난 격(格)으로 대부대귀(大富大貴)하며 병(病)도 가볍고 약(藥)도 가벼우면 소부소귀(小富小貴)한다.
병(病)도 없고 약(藥)도 없으면 평범(平凡)한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사주중(四柱中)에 병(病)이 중(重)하다가 약(藥)이 중(重)한 운(運)을 만났을 경우(境遇) 그 운중(運中)에는 대발(大發)하지만 그 운(運)이 지나면 불길(不吉)하게 된다.

 

7. 동정설(動靜說)

생명(生命)있는 것이나 생명(生命)없는 것이나 우주(宇宙) 삼라만상(森羅萬象)의 모든 것은 동적(動的)인 면(面)과 정적(靜的)인 면(面)이 있고 드러난 표면(表面)과 감추어져 있는 내면(內面)이 있다.
동(動)은 양(陽)에 속(屬)하여 발전(發展)과 변화(變化)등을 주장(主張)하므로 순환(循環)이 신속(迅速)하며 정(靜)은 음(陰)에 속(屬)하는바 부동(不動)과 안정(安定)을 주장(主張)하므로 성질(性質)이 유순(柔順)하다.
천간(天干)에 투출(透出)한 자(者)는 동(動)으로 보고 지지(地支)는 정(靜)으로 보는데 지지(地支)에 암장(暗藏)된 인원(人元)은 정(靜)이 된다.
사주(四柱) 지지(地支)에 암장(暗藏)되어 있는 경금(庚金)은 지지(地支)에 암장(暗藏)되어 있는 갑목(甲木)을 극(克)할 수 있지만 천간(天干)에 투출(透出)해 있는 갑목(甲木)이나 운로상(運路上)에 있는 천간(天干) 갑목(甲木)은 극(克)할 수 없다.
양(陽)은 양(陽)끼리 극(克)하고 음(陰)은 음(陰)끼리 극(克)하는데 음(陰)이 양(陽)을 극(克)하지는 못하나 충격(衝擊)을 주기는 하는 것이다.
동(動)한 천간(天干)은 천간(天干)을 제복(制伏)하고 정(靜)한 지지(地支)는 지지(地支)를 제복(制伏)하게 마련인 것이다.
진술축미(辰戌丑未)는 고장(庫藏)이 되어 견고(堅固)하니 인중(寅中) 갑목(甲木)이 진중(辰中) 무토(戊土)를 극(克)할 수 없고 유(酉)중 경금(庚金)이 진(辰)중 을목(乙木)을 극(克)하거나 합(合)할수 없으며 고장(庫藏)은 충(沖)하므로 써만 생(生)과 극(克)을 할 수 있다.
술(戌)과 진(辰)이 충(沖)한다면 술중(戌中) 정화(丁火)와 신금(辛金)이 진중(辰中) 계수(癸水)와 을목(乙木)을 생극(生剋)할뿐 다른 지지자(地支字)를 생극(生剋)할 수 없다.
축미(丑未)또한 동일(同一)하니 축미상충(丑未相沖)하면 축중계신(丑中癸辛)과 미중정을(未中丁乙)이 생극(生剋)할 뿐이다.

 

8. 일간(日干) 대비(對比) 출생월(出生月) 해설(解說)

일간(日干)은 주성(主星)이 되고 출생월(出生月)은 월령(月令) 또는 제강(提綱)이라 하여 자전궤도(自轉軌道)의 시작(始作)이 되므로 중요한 것이다.
※ 월령(月令)에서부터 대운(大運)이 순역(順逆)으로 시작(始作)되며 춘하추동(春夏秋冬)의 계절(季節)이 바뀌어 전개(全開)되기 때문이다.
간지론(干支論)에서는 일간(日干)을 중심(中心)으로 월별(月別) 해설(解說)을 하였는데 여기서는 월(月)을 중심(中心)으로 일간십간(日干十干)의 변화(變化)를 해설(解說)하여 보기로 한다.

 

가. 자월생(子月生)
자월(子月)은 11월(月) 으로서 대설후(大雪後) 십일(十日)까지는 임수(壬水)를 취(取)하고 십일일(十一日) 이후(以後) 소한(小寒)까지는 계수(癸水)를 취(取)한다.
자월(子月)은 겨울의 한가운데 왕월(旺月)로 장간(藏干)은 임계수(壬癸水)뿐으로 수(水)만으로 형성(形成)되었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을일(甲乙日)의 자월생(子月生)은 원명(元命)은 인성(印星)이 되고 천간(天干)에 인성(印星)이 나타나 있으면 지장수간(支藏秀干)이라 한다.
경신관살(庚辛官殺)을 보면 원명(元命) 인성(印星)을 생(生)하고 길행(吉幸)의 명조(命造)가 된다.
만약(萬若) 무기재(戊己財)를 보면 인성(印星)을 파(破)하여 명운(命運)이 기울어진다.
행운(行運)또한 동일(同一)하다.
자월(子月)은 한냉(寒冷)하니 병정화(丙丁火) 식상(食傷)을 만나야 귀(貴)한 명(命)이 된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정일(丙丁日)의 자월생(子月生)은 관살격(官殺格)이 되고 음양화합(陰陽和合)하면 재관(財官), 삼합(三合), 육합(六合)을 좋아하고 신약(身弱)하면 인수(印授)를 만나야 부귀(富貴)하게되고 신왕(身旺)하면 재관(財官)이 좋은 것이다.
편관격(偏官格)이 되고 신왕(身旺)하고 합살(合殺), 제살(制殺)하면 호명(好命)이 되고 신약(身弱)하고 합화(合和)가 없으면 흉명(凶命)을 불면(不免)한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기일(戊己日)의 자월생(子月生)은 재격(財格)이 되는고로 양인(羊刃),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기신(忌神)이 되고 갑병(甲丙)으로 한냉(寒冷)한 기후(氣候)를 따뜻하게 하면 발복(發福)한다.
행운(行運)은 신왕재왕(身旺財旺)하여 협력(協力)하면 발복(發福) 향양(向陽)한다.

(4) 경신일생(庚辛日生)
경신일(庚辛日)의 자월생(子月生)은 식신(食神) 상관격(傷官格)이 되고 금한수냉(金寒水冷)하니 목화(木火)로서 온난(溫暖)하게 하여야 부귀(富貴)한다.
명중(命中)에 재성(財星)이 있고 신왕(身旺)하면 발복(發福)하고 신약(身弱)하거나 재성(財星)이 없으면 발복(發福)하지 못한다.
행운(行運)도 이와 같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일(壬日)의 자월(子月)은 양인격(羊刃格)이 되고 계일(癸日)의 자월(子月)은 건록격(建祿格)이 된다.
수다(水多)하면 무토(戊土)로 제수(制水)해야 하고 한냉(寒冷)한 물은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해야 부귀(富貴)한다.
일간(日干)이 월령(月令)을 얻어 왕(旺)하므로 재관(財官)이 있으면 명리(名利)에 즐거움을 얻는다.
임일(壬日)은 무기(戊己)의 관살(官殺)을 좋아하고 계일(癸日)은 재운(財運)및 살운(殺運)이 길(吉)하다.
기토운(己土運)은 수왕(水旺)할 때 흉재운(凶災運)이 된다.

 

나. 축월생(丑月生)
축월(丑月)은 초기(初氣)는 계수(癸水), 중기(中氣)는 신금(辛金), 정기(正氣)는 기토(己土)이다.
축(丑)은 겨울의 끝달이 되며 초기(初氣), 중기(中氣), 정기(正氣)는 모두 월지(月支) 원명격(元命格)을 달리한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을일(甲乙日)의 축월생(丑月生)은 잡기재격(雜氣財格)을 취(取)하고 관성(官星)은 명중(命中) 지지(地支)에 있는 것을 기하며 천간(天干)에 나타남을 좋아한다.
천간(天干)에 재관(財官)이 나타날 때에는 충운(沖運)을 싫어하고 나타나지 않을 때는 충운(沖運)에 발복(發福)한다.
십이월(十二月)은 한냉(寒冷)하니 병화(丙火)가 있어야 부귀(富貴)한다.
이 격(格)은 관살혼잡(官殺混雜)을 두려워하고 상관(傷官)을 기(忌)한다.
합(合)이 있으면 좋고 행운(行運)도 또한 같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정일(丙丁日)의 축월생(丑月生)은 잡기재관격(雜氣財官格)을 취(取)하고 천간(天干)에 재신(財神)이 있으면 복력(福力)이 후(厚)하고 비견(比肩) 겁재운(劫財運)에는 재해(災害)가 있다.
신왕(身旺)의 명(命)은 겁재(劫財)를 두려워한다.
갑목(甲木)이 있으면 길명(吉命)이 된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기일(戊己日)의 축월(丑月) 초기생(初氣生)은 재격(財格)에 해당(該當)하고 명리복록(名利福祿)모두 후(厚)하고 중기(中氣), 정기생(正氣生)은 이해(利害)가 모두 박(薄)하며 모두 평범(平凡)한 명(命)이다.
만약(萬若) 생시(生時)에 천을(天乙) 또는 천덕(天德), 월덕(月德)이 있으면 발복(發福)이 크다.
명중(命中)에 재성(財星)이 나타나 있으면 신왕운(身旺運)에 부(富)하게 된다.
신왕(身旺)하고 재(財)가 쇠(衰)하면 비견(比肩), 겁재(劫財), 양인운(洋刃運)이 오면 빈(貧)하다.
축월(丑月)은 한냉(寒冷)하니 갑병(甲丙)이 있어야 부귀(富貴)하게 된다.

(4) 경신일생(庚辛日生)
경신일(庚辛日)의 축월생(丑月生)은 일간(日干)이 고(庫)를 만난 것이다.
신체(身體)는 강건(强健)하고 병(病)이 적으며 생시(生時)에 편관(偏官) 또는 정관(正官)을 만나는 것을 좋아한다.
한냉(寒冷)한 경신금(庚辛金)이 갑병정(甲丙丁)을 만나 발복부귀(發福富貴)한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계일(壬癸日)의 축월생(丑月生)은 잡기관인격(雜氣官印格)이 되어 천간(天干)에 관인(官印)이 있고 지지(地支)를 형충(刑沖)하면 복력(福力)이 모인다.
행운(行運)도 또한 같다.
원명(元命)이 인수(印授)가 되면 정재운(正財運)은 기(忌)한다.
임계일(壬癸日)의 축월(丑月)은 한냉(寒冷)하니 병정갑(丙丁甲)이 있어 온난(溫暖)하게 하여야 부귀(富貴)의 명(命)이 된다.

 

다. 인월생(寅月生)
인월(寅月)은 맹춘(孟春)으로서 초기(初氣)는 무토(戊土)가 되고, 중기(中氣)는 병화(丙火), 정기(正氣)는 갑목(甲木)이 된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일 인월생(寅月生)은 건록격(建祿格)이 되고 을일(乙日) 인월(寅月)은 제왕(帝旺)이 되어 월령(月令)을 얻어 신왕(身旺)하다.
초춘(初春)의 목(木)은 병화(丙火)로 온난(溫暖)하게 하여야 대발(大發)하고 병화(丙火)가 있고 재관(財官)이 있으면 발복(發福)은 의심(疑心)할 바 없다.
생시(生時)에 편관(偏官)이 있으면 명리향상(名利向上)한다.
편관(偏官)이 왕(旺)하면 인수운(印授運)에 발복(發福)한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정일(丙丁日)의 인월생(寅月生)은 인수격(印授格)이 되는고로 관성(官星)있음을 기뻐한다.
병화(丙火)는 임수(壬水)를 좋아하고 정화(丁火)는 갑목(甲木)과 경금(庚金)만남을 좋아한다.신왕(身旺)하면 재관운(財官運)에 발복(發福)하고 신약(身弱)하면 인수운(印授運)에 부귀(富貴)한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일(戊日) 인월생(寅月生)은 편관격(偏官格)이 되고 신왕(身旺)을 호(好)하고 신약(身弱)을 기(忌)한다.
제(制)가 있으면 합화(合和)을 원(願)하지 아니하고 제(制)와 합(合)이 함께 있으면 운명(運命)은 기울어 진다.
기일(己日) 인월생(寅月生)은 정관격(正官格)이 되고 재관(財官)을 희(喜)하고 편관(偏官)을 기(忌)한다.
삼합(三合) 육합(六合)은 최길(最吉)하고 신왕명(身旺命)은 재관운(財官運)에 발달(發達)하고 신약(身弱)하면 인수운(印授運)에 발복(發福)한다.

(4) 경신일생(庚辛日生)
경신일(庚辛日)의 인월생(寅月生)은 재격(財格)이 되는데 신왕(身旺)하면 발복(發福)하고 신약(身弱)하면 부명(富命)이 되기 어렵다.
경금(庚金)은 정화(丁火)를 사랑하고 신금(辛金)은 임수(壬水)를 사랑한다.
생일(生日)이 인묘(寅卯)에 좌(座)하면 복력(福力)이 후(厚)하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계일(壬癸日)의 인월생(寅月生)은 식신(食神) 상관격(傷官格)이 되는데 재성(財星) 병화(丙火)가 있어야 발복(發福)한다.
신약(身弱)한데 관살운(官殺運)을 만나면 질병(疾病)으로 고생(苦生)한다.

 

라. 묘월생(卯月生)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일(甲日)의 묘월생(卯月生)은 양인격(羊刃格)이 되고 을일(乙日) 묘월생(卯月生)은 건록격(建祿格)이 된다.
신왕(身旺)함으로 목화통명(木火通明)을 희(喜)하고 재관(財官)있음을 기뻐한다.
명중(命中)에 재관(財官)이 없으면 장수(長壽)하나 부귀(富貴)는 못한다.
월일시(月日時) 모두 귀기(貴氣)가 없으면 평범(平凡)한 명(命)이고 행운(行運)도 또한 같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정일(丙丁日)의 묘월생(卯月生)은 인수격(印授格)이 되고 주명(柱命)에 관인(官印)이 있어야 발복(發福)한다.
기신(忌神)이 있고 격(格)이 파(破)해지면 복(福)을 받을 수 없다.
행운(行運)도 이와 같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기일(戊己日) 묘월생(卯月生)은 관살격(官殺格)이 되고 재성(財星)이 정관(正官)을 생(生)하여주고 삼합(三合) 육합(六合)하고 신왕(身旺)하면 호명(好命)이 된다.
관살(官殺)이 왕(旺)하면 화(火)를 만나 살인상생(殺印相生)하면 귀명(貴命)이 된다.
편관(偏官)은 합(合)과 제(制)가 없고 신약(身弱)하면 생활(生活)에 노고(勞苦)가 많고 질병(疾病)으로 고통(苦痛)을 받는다.
행운(行運)도 동일(同一)하다.

(4) 경신일생(庚辛日生)
경신일(庚辛日)의 묘월생(卯月生)은 재격(財格)이 된다.
일간(日干)이 왕(旺)하고 재왕(財旺)하면 부명(富命)이 된다.
금목상전(金木相戰)이면 식신(食神) 상관(傷官)으로 통관(通關)시키면 발복(發福)하고 경금(庚金)을 화(火)로 제련(製鍊)하는 것이 부귀(富貴)의 명(命)이다.
신약(身弱)하면 신왕운(身旺運)으로 대운(大運) 세운(歲運)이 행(行)하여야 하고 재성(財星)은 겁재(劫財) 비견(比肩)을 만나 화(禍)를 당(當)한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계일(壬癸日)의 묘월생(卯月生)은 식신(食神) 상관격(傷官格)이 된다.
식상(食傷)이 왕절(旺節)을 만나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하여야 발복(發福)한다.
명중(命中) 재성(財星)이 있으면 재산(財産)으로 즐거움이 있고 만약(萬若) 재성(財星)이 없다면 생시(生時)에 편관(偏官)이 있어 합(合)하면 발복(發福)한다.
겁재(劫財) 및 정관운(正官運)이 오면 화환(禍患)이 일어난다.

 

마. 진월생(辰月生)
진월(辰月)은 봄의 끝 달로서 을(乙)의 여기(餘氣)와 계(癸)의 중기(中氣)와 무토(戊土)의 정기(正氣)로 되어있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을일(甲乙日)의 진월생(辰月生)은 잡기인수격(雜氣印授格)이 된다.
명중(命中) 관성(官星)과 인성(印星)이 모두 있으면 기세(氣勢)가 후(厚)하여 발복(發福)하고 재관인(財官印)이 투출(透出)하지 않았다면 충형(沖刑)하여 개고(開庫)를 하여야 복(福)을 받는다.
개고(開庫)되어 있다면 충(沖)하거나 재충(沖)하면 화(禍)를 받는다.
행운(行運)도 동일(同一)하다.

(2)병정일생(丙丁日生)
병정일(丙丁日)의 진월생(辰月生)은 잡기관격(雜氣官格)이 된다.
명중(命中)에 관성(官星)이 투간(透干)함을 요(要)하고 투간(透干)하지 않았다면 충개(沖開)를 하여야 복(福)을 받는다.
신강(身强)하고 재성(財星)이 있으면 발복(發福)이 크다.
삼월(三月)은 무토(戊土)의 기(氣)가 왕(旺)하기 때문에 갑목(甲木)으로 소토(疏土)하는 것이 최길(最吉)의 명(命)이다.
신왕(身旺)하면 재관운(財官運)을 희(喜)하고 신약(身弱)하면 신왕운(身旺運)을 기뻐한다.
칠살운(七殺運) 상관운(傷官運)에 화(禍)를 당(當)한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기일(戊己日) 진월생(辰月生)은 잡기재격(雜氣財格)이 된다.
재성(財星)이 투간(透干)함을 기뻐하고 투간(透干)하지 않았다면 충(沖)을 해서 개고(開庫)하여야 발복(發福)한다.
재(財)도 충(沖)도 없으면 양인(羊刃), 비견(比肩), 겁재운(劫財運)이 오면 재화(災禍)가 발생(發生)한다.

(4) 경신일생(庚辛日生)
경신일(庚辛日) 진월생(辰月生)은 초기(初氣)는 을(乙)로서 재격(財格)에 해당(該當)한다.
명중(命中)에 겁재(劫財)가 없으면 복력(福力)이 크게 발(發)한다.
중기(中氣) 계(癸)의 생(生)은 해(害)도 없고 이(利)도 없는 평범(平凡)한 명(命)이다.
만약(萬若) 천을귀인(天乙貴人), 천덕(天德), 월덕(月德)이 일시(日時)에 있으면 복(福)을 발(發)한다.
신왕(身旺)의 명(命)은 재운(財運)에 명리(名利)가 오르고 신약(身弱)하고 재기(財氣)가 쇠(衰)하면 비견(比肩), 겁재운(劫財運)을 만나게 되면 가난하게 된다.
경신금(庚辛金) 삼월생(三月生)도 갑목(甲木)을 만나 소토(疏土)하고 재(財)를 왕성(旺盛)하게 하는 것이 복(福)의 터전이 된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계일(壬癸日)의 진월생(辰月生)은 일간(日干)의 묘고(墓庫)가 해당 된다.
일간(日干)이 건왕(健旺)하면 평생(平生) 무병(無病)하다.
시상(時上)에 일위(一位) 편관(偏官)이 있으면 시상일위귀격(時上一位貴格)이 된다.
월(月)에 인종(引從)하여 용신(用神)이 운왕(運旺)하면 복력(福力)은 후(厚)하고 대운(大運)은 제합(制合)을 즐거워하고 정관운(正官運)에는 막히는 일이 많다.
월지상관격(月支傷官格)이 되면 정관운(正官運)에 고통(苦痛)을 받고 월지(月支) 식신격(食神格)이면 정관운(正官運)을 만나 부귀(富貴)의 명(命)이 된다.
월지(月支) 편관격(偏官格)이 인수(印授)가 있으면 살(殺)은 인(印)에 화(化)하여 문(文)과 권위(權威)가 있는 인격자(人格者)이다.
식신(食神)의 제(制)가 있으면 반드시 부귀명(富貴命)이 되고 행운(行運)도 같다.

 

바. 사월생(巳月生)
사월(四月)은 여름의 첫달로 초기(初氣)는 무토(戊土)이고, 중기(中氣)는 경금(庚金), 정기(正氣)는 병화(丙火)가 된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을일(甲乙日)의 사월생(巳月生)은 식신(食神) 상관격(傷官格)이 된다.
초기(初氣)는 재격(財格)으로 재(財)를 용신(用神)으로 할 수 있다.
중기(中氣)는 경금(庚金)으로 관살(官殺), 정기(正氣)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된다.
식신(食神) 상관(傷官)은 재(財)를 생(生)할 수 있고 관살(官殺)은 재(財)의 생(生)을 받고 재격(財格)이면 식신(食神) 상관(傷官)의 도움을 원(願)한다.
사월(巳月)은 화기(火氣)의 왕절(旺節)이라 임계(壬癸)의 도움을 필요(必要)로 한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일생(丙日生)은 건록격(建祿格)이 되고 정일생(丁日生)은 제왕절(帝旺節)이 된다.
격(格)과 용신(用神)을 타처(他處)에서 구(求)하는 것을 원칙(原則)으로 한다.
병정일(丙丁日)의 사월생(巳月生)은 시상편관격(時上偏官格)이 되면 크게 발복(發福)하고 그렇치 않더라도 임계수(壬癸水)로 화세(火勢)를 억제(抑制)하고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해주면 크게 발복(發福)한다.
겁재운(劫財運)은 화(禍)를 불러온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일생(戊日生)은 건록격(建祿格)이 됨과 동시(同時)에 일간(日干)을 생(生)하여 주는 인성(印星)이 된다.
무기토(戊己土)의 사월(巳月)도 염렬(炎烈)하니 임계수(壬癸水)로 조후(調候)하고 갑을목(甲乙木)으로 정관(正官) 또는 편관(偏官)을 용신(用神)으로 하면 크게 발복(發福)한다.
정관(正官)을 용신(用神)으로 하게 되면 상관(傷官) 편관(偏官)을 기(忌)하고 대운(大運) 세운(歲運)도 이와 동일(同一)하다.
관(官)과 살(殺)이 없으면 관살운(官殺運)에 발복(發福)한다.

(4) 경신일생(庚辛日生)
경신일(庚辛日)의 사월생(巳月生)은 초기(初氣)는 인성(印星)이 되고 정기(正氣)는 정관(正官), 편관격(偏官格)이 된다.
편관(偏官)을 원명(元命)으로 할 때에는 신왕(身旺)해야 좋고 제합(制合)해야 발복(發福)한다.
합(合)이 있으면 극제(剋制)는 요(要)하지 않는다.
경신금(庚辛金)의 사월(巳月)은 임수(壬水)를 만나 수화(水火)가 조화(調和)되어야 귀명(貴命)이다.
행운(行運)은 관살혼잡(官殺混雜)을 두려워하고 제합(制合)이 없으면 관살혼잡운(官殺混雜運)에 생명(生命)이 위험(危險)하다.
경일생(庚日生)은 관살혼잡(官殺混雜)의 화(禍)가 경미(輕微)하다.
그것은 생일(生日)이 장생지(長生地)가 되기 때문이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계일(壬癸日)의 사월생(巳月生)은 초기(初氣)는 관살(官殺)이 되고, 중기(中氣)는 인성(印星)이 되고, 정기(正氣)는 재성(財星)이 된다.
관살(官殺)을 용신(用神)으로 할 때에는 재신(財神)을 희신(喜神)으로 하고, 재신(財神)을 용신(用神)으로 할 때에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을 희신(喜神)으로 한다.
임계일(壬癸日)의 사월(巳月)은 수기(水氣)의 절지(絶地)이니 반드시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하든지 비견(比肩) 겁재(劫財)로 도와야 발복(發福)한다.
일간(日干)의 쇠약(衰弱)은 반드시 왕운(旺運)을 원(願)한다.

 

사. 오월생(午月生)
오월(五月)은 여름의 왕월(旺月)로서 초기(初氣)는 병화(丙火) 중기(中氣)는 기토(己土) 정기(正氣)는 정화(丁火)가 된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을일(甲乙日)의 오월(五月)은 초기(初氣)는 병화(丙火)로서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되고 중기(中氣)는 정재(正財) 편재(偏財)가 된다.
오월(午月)의 기토(己土)는 화기(火氣)의 생조(生助)를 받아 약(弱)하지 않은 것이다.
오월(午月)은 염열(炎熱)하니 수(水)로서 목(木)을 생조(生助)해 주고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해 주어야 발복(發福)한다.

(2)병정일생(丙丁日生)
병일(丙日) 오월(午月)은 양인격(羊刃格)이 되고 정일(丁日) 오월(午月)은 건록격(建祿格)이 된다.
양인(羊刃)은 인성(印星)이나 칠살(七殺)을 만나야 발복(發福)한다.
병정일(丙丁日)의 오월(午月)은 화기(火氣)가 극왕(極旺)하니 반드시 임수(壬水)로서 화기(火氣)를 억제(抑制)하고 비견(比肩), 겁재(劫財)나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도와야 한다.
시상편관격(時上偏官格)이 제일(第一)좋고 제합(制合)이 있어야 하며 재성(財星)이 왕(旺)하면 발달(發達)한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일(戊日)의 오월(午月)은 양인격(羊刃格)이 되고 기일(己日)의 오월(午月)은 건록격(建祿格)이 된다.
역시(亦是) 염화(炎火)의 계절(季節)이니 임계수(壬癸水)로서 서늘하게 하여야 발복(發福)한다.
정기생(正氣生)은 인성(印星)이 왕(旺)하니 일간(日干)이 자왕(自旺)하다.
양인(羊刃)은 재(財)의 충운(沖運)을 기(忌)한다.
지지(地支) 자수(子水)나 자운(子運)은 불리(不利)하다.
관살운(官殺運)에 발복(發福)한다.

(4) 경신일생(庚辛日生)
경신일(庚辛日)의 오월생(午月生)은 초기(初氣), 정기(正氣)는 관살격(官殺格)이 되고, 중기(中氣)는 인성(印星)이 된다.
관살격(官殺格)은 정관(正官)또는 편관(偏官)을 용신(用神)으로 한다.
정관(正官)을 용신(用神)으로 하면 칠살(七殺)과 상관운(傷官運)를 기(忌)한다.
오월(午月)은 중하(仲夏)이니 식신(食神) 상관(傷官)으로 조후(調候)시켜야 귀명(貴命)이 된다.
편관(偏官)이 용신(用神)이 되면 제(制) 또는 합(合)을 좋아하고 제(制)가 있으면 합(合)을 싫어한다.
신왕운(身旺運)에 발복(發福)하고 신약(身弱)하면 운세(運勢)가 기울어진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일(壬日) 오월생(午月生)은 재성(財星), 관성(官星) 어느 것을 용신(用神)으로 하여도 신왕운(身旺運)에 발복(發福)하고 일간(日干)이 왕(旺)하면 재관왕운(財官旺運)에 발복(發福)한다.
계일(癸日) 오월생(午月生)은 재(財)또는 편관(偏官) 어느 것을 격(格)으로 하여도 신왕(身旺)해야 발복(發福)한다.
임계일(壬癸日)의 오월(午月)은 실령(失令)하였으니 비견(比肩) 겁재(劫財)나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도와주어야 귀명(貴命)이 된다.
따라서 일간(日干)과 재살(殺)이 왕(旺)하는 행운(行運)에 발달(發達) 개운(開運)한다.

 

아. 미월생(未月生)
미월(未月)은 여름의 계월(季月)로서 초기(初氣)는 정화(丁火) 중기(中氣)는 을목(乙木) 정기(正氣)는 기토(己土)가 사령(司令)한다.
미토(未土)는 토기(土氣)가 가장 왕(旺)하다고 한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을일(甲乙日)의 미월(未月)은 묘고(墓庫)가 되는 고(故)로 신체(身體)는 건강(健康)하고 병(病)이 적다.
사주천간(四柱天干)에 토(土)를 보면 재왕(財旺)하다.
재왕신왕(財旺身旺)하면 재관(財官)과 인식(印食)의 운(運)은 모두 호운(好運)이 되고 명리통달(名利通達)한다.
대서전(大暑前)은 화세(火勢)가 왕(旺)하니 임계수(壬癸水)로 조후(調候)가 되어야 발복(發福)한다.
일간(日干)이 약(弱)하면 신왕운(身旺運)에 발복(發福)한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정일(丙丁日)의 미월생(未月生)은 잡기인수격(雜氣印授格)이 되는데 관인(官印)이 투간(透干)함을 좋아하고 관인(官印)의 투간(透干)함이 없으면 축(丑)의 충(沖)을 요(要)하고 충(沖)이 없으면 복력(福力)은 박(薄)하고 충운(沖運)에 개운(開運)한다.
대서전(大暑前)은 임계수(壬癸水)를 용신(用神)으로 하고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해 주어야 발복(發福)한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기일(戊己日)의 미월생(未月生)은 잡기관격(雜氣官格)이 되고 명중(命中)에 재관인(財官印)의 출현(出現)을 희(喜)한다.
재관인(財官印)의 출현(出現)이 없으면 축(丑)의 충(沖)이 있어야 발복(發福)하고 충(沖)이 없다면 충운(沖運)에 개운(開運) 발복(發福)한다.
신왕운(身旺運) 및 재관운(財官運)은 크게 발복(發福)하지만 상관운(傷官運)은 흉(凶)하다.
무기일(戊己日)의 미월(未月)은 결실(結實)의 계절(季節)이니 계수(癸水)로 윤토(潤土)시키고 병화(丙火)가 있어야 만물(萬物)이 충분(充分)한 결실(結實)을 한다.

(4)경신일생(庚辛日生)
경신일(庚辛日)의 미월생(未月生)은 잡기재관격(雜氣財官格)이 되고 명중(命中)에 재관인(財官印)이 있는 것을 좋아한다.
재관인(財官印)이 없으면 축(丑)의 충(沖)을 원(願)하고 명중(命中)에 비견(比肩), 겁재(劫財), 양인(羊刃)이 있는 것을 싫어한다.
행운(行運)도 이와 같다.
신금(辛金)은 임수(壬水)를 좋아하고 경금(庚金)은 갑목(甲木) 정화(丁火)가 있어야 부귀(富貴)한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계일(壬癸日)의 미월생(未月生)은 초기(初氣)는 정화(丁火) 재성(財星), 정기(正氣)는 기토(己土) 관살(官殺)이 된다.
상관(傷官) 및 겁재운(劫財運)을 만나지 않으면 행복(幸福)의 명(命)이 된다.
임계일(壬癸日)의 미월(未月)은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해 주고 갑목(甲木)이 생재(生財)하면 부귀(富貴)한다.
명중(命中)에 재(財)와 관(官)이 있고 신왕(身旺)하면 부귀(富貴)한다.
신약(身弱)하면 칠살(七殺), 상관운(傷官運)에 화(禍)을 만난다.

 

자. 신월생(申月生)
신월(申月)은 칠월(七月) 가을의 첫 달이 되고 초기(初氣)는 무토(戊土), 중기(中氣)는 임수(壬水)가 경금(庚金)의 생(生)을 받아 왕(旺)하고 장생지(長生地)가 되며, 정기(正氣)는 경금(庚金)으로 경금(庚金)의 건록지(建祿地)가 된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일(甲日)의 신월(申月)은 정기(正氣) 경금(庚金)은 편관격(偏官格)이 되고 신왕(身旺)하고 병화(丙火)의 제살(制殺)또는 사(巳)의 합살(合殺)이 있으면 호명(好命)이다.
신약(身弱)한데 관살혼잡(官殺混雜)하거나 살운(殺運)을 거듭 만나면 구사일생(九死一生)의 재난(災難)이 있고 명중(命中)에 인성(印星)이 없으면 인수운에 발복(發福)한다.
대운(大運) 세운(歲運)이 동일(同一)하다
을일생(乙日生)은 정관격(正官格)이 되고 명중(命中)에 재신(財神)이 있어 생조(生助)하면 발복(發福)한다.
살(殺)과 상관운(傷官運)은 흉재(凶災)가 일어나고 겁재운(劫財運)이 두렵고 임수(壬水) 인수운(印授運)을 좋아한다.
임수(壬水)가 있어 금수상생(金水相生)하고 병정화(丙丁火)가 있으면 귀명(貴命)이 된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정일(丙丁日)의 신월생(申月生)은 식신(食神), 상관(傷官), 관살(官殺), 재성(財星) 어느 것이 용신(用神)이 되어도 신왕(身旺)을 희(喜)하고 신약(身弱)을 기(忌)한다.
병화(丙火)는 임수(壬水)를 좋아하고 정화(丁火)는 갑목(甲木)과 경금(庚金)을 좋아한다.
재관(財官)이 모두 있고 신왕(身旺)하면 복(福)을 받는다.
용신(用神)을 상(傷)하는 운(運), 칠살(七殺), 겁재운(劫財運)이 오면 흉(凶)하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기일(戊己日)의 신월(申月)은 초기(初氣)는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되고, 중기(中氣)는 재성(財星), 정기(正氣)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에 해당(該當)한다.
생시(生時) 편관격(偏官格)이 되면 부귀(富貴)는 의심(疑心)하지 않고 초기(初氣), 중기생(中氣生)은 겁재운(劫財運)을 만나면 재난(災難)이 일어나고 신왕(身旺)하면 재운(財運)을 좋아한다.
칠월(七月)은 결실(結實)의 계절(季節)이니 병화(丙火) 태양(太陽) 인성(印星)이 있는 것이 좋고 계수(癸水) 재(財)가 있어야 부귀(富貴)하게 된다.

(4)경신일생(庚辛日生)
경일(庚日)의 신월생(申月生)은 건록격(建祿格)이 되고 신일(辛日) 신월생(申月生)은 제왕절(帝旺節)이 된다.
명중(命中)에 재(財)가 용신(用神)이 되면 재(財)를 돕는 수운(水運)에 발복(發福)한다.
칠월(七月)의 신금(辛金)은 임수(壬水) 갑목(甲木)이 있어야 부귀(富貴)하고, 칠월(七月)의 경금(庚金)은 갑목(甲木)과 정화(丁火) 병화(丙火)가 있어야 부귀(富貴)한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계일(壬癸日)의 신월생(申月生)은 정기(正氣)는 인성(印星)이 되는 것으로 인성(印星)이 용신(用神)일 때 정재(正財)나 상관(傷官)을 보면 파격(破格)이 되며 불행(不幸)하게 된다.
명중(命中)에 화토(火土)가 중(重)하면 북방(北方) 수운(水運)에 발복(發福)한다.
칠월(七月) 임수(壬水)는 수왕(水旺)하면 무토(戊土)가 있어야 하고 정화(丁火)가 있어야 부귀(富貴)하고 칠월(七月)의 계수(癸水)는 정화(丁火)가 있어야 발복(發福)한다.

 

차. 유월생(酉月生)
유월(酉月)은 중추월(仲秋月)로서 초기(初氣)는 경금(庚金)이고 정기(正氣)는 신금(辛金)으로 금(金)의 전기(專氣)로 구성(構成)되었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을일(甲乙日)의 유월생(酉月生)은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되는 것으로 신왕(身旺)해야 발복(發福)한다.
정관(正官)을 용신(用神)으로 하면 칠살(七殺)과 상관(傷官)을 기(忌)한다.
신왕(身旺) 관왕(官旺)하면 명리통달(名利通達)한다.
칠살(七殺)이 용신(用神)이면 제(制)나 합(合)이 있어야 길명(吉命)이 되며 신왕(身旺)을 좋아하고 정관운(正官運)을 기(忌)한다.
팔월(八月)의 갑을목(甲乙木)은 금왕(金旺)하고 결실(結實)의 계절(季節)이니 병정화(丙丁火)가 있어야 발복(發福)한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정일(丙丁日)의 유월생(酉月生)은 재성(財星)이 되고 신왕(身旺), 삼합(三合), 육합(六合), 재관(財官)이 있으면 발복(發福)한다. 형충(刑沖)을 가장 두려워하고 비견(比肩) 겁재(劫財)는 재(財)를 용신(用神)으로 할 때 파재(破財), 실패(失敗), 재난(災難)을 불러일으킨다. 병화(丙火)는 임수(壬水) 계수(癸水)를 좋아하고 신약(身弱)하면 인성(印星)의 도움을 받아야 발복(發福)한다. 정화(丁火)는 갑목(甲木)의 도움과 경금(庚金)의 투간(透干)이 있어 재왕(財旺) 신왕(身旺)하면 귀명(貴命)이 된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기일(戊己日)의 유월생(酉月生)은 식신(食神) 상관격(傷官格)이 된다.
시상편관격(時上偏官格)이 되면 신왕운(身旺運)에 발복(發福)한다.
무기일(戊己日)의 팔월(八月)은 병화(丙火)를 만나 신왕(身旺)함과 결실(結實)을 돕고 계수(癸水)를 만나 재왕(財旺)하면 부귀(富貴)하게 된다.

(4) 경신일생(庚辛日生)
경일(庚日) 유월생(酉月生)은 양인격(羊刃格)이 되고, 신일(辛日) 유월생(酉月生)은 건록격(建祿格)이 된다.
팔월(八月)의 경금(庚金)은 재관(財官), 칠살(七殺)이 왕(旺)해야 부귀영화(富貴榮華)하고 팔월(八月)의 신금(辛金)은 임수(壬水)로 설기(洩氣)하고 갑목(甲木) 재(財)가 건왕(健旺)해야 부귀(富貴)한다.
시상(時上)에 편관(偏官)을 만나고 재성(財星)이 살(殺)을 생조(生助)하면 권위(權威)가 있고 정관운(正官運)에는 관살혼잡(官殺混雜)하여 불길(不吉)하다.
정관(正官)은 합(合)을 기(忌)하고 살운(殺運)에는 동분서주(東奔西走)하여도 명리(名利)가 하락(下落)한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계일(壬癸日)의 유월생(酉月生)은 인수격(印授格) 또는 편인격(偏印格)이 된다.
명중(命中)에 관인(官印)이 나타나면 복력(福力)이 후(厚)하고 정재(正財)를 기(忌)한다.
편인(偏印)을 용신(用神)으로 하면 편재운(偏財運)에 재난(災難)이 일어나고 신왕(身旺)하면 겁재운(劫財運)에 화(禍)가 있다.
팔월(八月)의 임수(壬水)는 신왕(身旺)하니 갑병(甲丙)이 있어 기후(氣候)를 고루고 재왕(財旺)하면 발복(發福)한다.

 

카. 술월생(戌月生)
술월(戌月)은 가을의 끝 달로서 초기(初氣)는 신금(辛金)이 왕(旺)하고, 중기(中氣)는 정화(丁火)가 고지(庫地)가 되며, 정기(正氣)는 무토(戊土)가 된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을일(甲乙日)의 술월생(戌月生)은 정기(正氣)는 재성격(財星格)이 되며, 초기(初氣)는 관격(官格)이 된다.
초기(初氣) 및 중기생(中氣生)은 형충(刑沖)을 즐거워 하나 정기생(正氣生)은 형충(刑沖)을 기(忌)한다.
주명(柱命)이 건조(乾燥)하면 임계(壬癸)로 자윤(滋潤)하는 것이 좋고 경금(庚金) 신금(辛金)이 투간(透干)하여야 발복(發福)한다.
재관(財官)을 용(用)할 때는 비견(比肩) 겁재운(劫財運)을 두려워한다.
행운(行運)도 또한 동일(同一)하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정일(丙丁日)의 술월생(戌月生)은 자묘지(自墓地)가 된다.
신왕(身旺) 자묘지(自墓地)는 장수(長壽)한다.
명중(命中)에 재성(財星)이 나타나면 발복(發福)한다.
시상일위편관격(時上一位偏官格)은 격국(格局)이 순청(純淸)하면 크게 명성(名聲)을 얻는다.
구월생(九月生) 병화(丙火)는 갑목(甲木)과 임수(壬水)를 크게 기쁘하고 구월생(九月生) 정화(丁火)는 갑목(甲木)과 경금(庚金)을 사랑한다.
명중(命中) 재성(財星)이 없으면 복력(福力)은 박(薄)하고 신왕재왕(身旺財旺)하면 발달(發達)한다.

(3)무기일생(戊己日生)
무기일(戊己日) 술월생(戌月生)은 재(財) 관(官) 인수(印授)를 용신(用神)으로 하면 발복(發福)한다.
인수격(印授格)은 충(沖)을 해야 발복(發福)하고 타(他)는 충(沖)을 기(忌)한다.
무기일(戊己日)의 술월(戌月)은 토기(土氣)가 왕성(旺盛)하니 갑목(甲木)으로 소토(疏土)시켜야 토(土)가 신령(神靈)해지고 계수(癸水)로 갑목(甲木)을 생조(生助)하면 크게 명(名)과 재(財)를 얻는다.
토기(土氣)가 약(弱)하면 병화(丙火)로 온난(溫暖)하게 하면 결실(結實)이 풍요(豊饒)롭다.
명중(命中)에 진충(辰沖)이 있는데 재차(再次) 충(沖)을 만나면 흉(凶)하게 된다.

(4)경신일생(庚辛日生)
경신일(庚辛日) 술월생(戌月生)은 잡기격(雜氣格)이 된다.
초기(初氣)는 비겁(比劫)이 되고, 중기(中氣)는 관성(官星)이 되며, 정기(正氣)는 인성(印星)이 된다.
초기(初氣) 중기(中氣)를 용신(用神)으로 하면 충(沖)을 희(喜)하고 명중(命中)에 진(辰)이 있으면 발달(發達)의 명(命)이 된다.
충(沖)이 있으면 충(沖)을 해(解)하는 합(合)을 기(氣)하고 충(沖)이 없으면 충운(沖運)에 발전(發展)한다.
구월(九月)의 경신금(庚辛金)은 임수(壬水) 갑목(甲木)이 있어야 귀인(貴人)의 명(命)이다.

(5) 임계일생(壬癸日生)
임계일(壬癸日) 술월생(戌月生)은 초기(初氣)는 인성(印星)이 되고, 중기(中氣)는 재성(財星)이 되고, 정기(正氣)는 관성격(官星格)이 된다.
구월생(九月生) 임수(壬水)는 갑병(甲丙)이 있어야 부귀(富貴)하고, 구월생(九月生) 계수(癸水)는 갑목(甲木)으로 소토(疏土)하고 신약(身弱)하면 신금(辛金)이나 임계수(壬癸水)가 있어야 부귀(富貴)한다.

 

타. 해월생(亥月生)
해월(亥月)은 맹동(孟冬)이다 초기(初氣)는 무토(戊土)이고 중기(中氣)는 갑목(甲木) 정기(正氣)는 임수(壬水)이다.
중기(中氣)는 갑목(甲木)의 장생(長生)에 좌(坐)하고, 정기(正氣)는 임수(壬水)의 건록(建祿)에 좌(坐)한다.

(1) 갑을일생(甲乙日生)
갑을일(甲乙日)의 해월(亥月)은 인수격(印授格)이 되는데 기후(氣候)가 한냉(寒冷)하니 병정화(丙丁火)로 따뜻하게 아여야 발전(發展)한다.
갑목(甲木)이 경금(庚金)을 용신(用神)으로 할 때에는 정화(丁火)로 제살(制殺)하면 귀명(貴命)이 된다.

(2) 병정일생(丙丁日生)
병일(丙日) 해월생(亥月生)은 편관격(偏官格)이 되며 천을귀인(天乙貴人)이 되어 신왕(身旺)하고 제(制)또는 합(合)이 되면 귀명(貴命)이 된다.
정일(丁日) 해월(亥月)은 정관격(正官格)이 되어 재성(財星)이 관(官)을 생조(生助)하고 신왕(身旺)하면 부귀(富貴)한다.
병정화(丙丁火)는 갑경(甲庚)이 있으면 부귀(富貴) 번영(繁榮)한다.

(3) 무기일생(戊己日生)
무기일(戊己日) 해월생(亥月生)은 초기(初氣)는 무(戊)의 겁재(劫財) 또는 비견(比肩)이 되는 고로 타(他)에서 용신(用神)을 구(求)한다.
중기(中氣)는 관살(官殺)이 되고, 정기(正氣)는 재성격(財星格)이 된다.
중기(中氣)와 정기(正氣)는 신왕(身旺)해야 부귀(富貴) 번영(繁榮)한다.
십월(十月)의 무기일생(戊己日生)은 명중(命中)에 갑목(甲木)고 병화(丙火)가 있으면 크게 부귀(富貴)하는 명(命)이다.

(4) 경신일생(庚辛日生)
초기(初氣)는 인성(印星)이 되고 중기(中氣)는 재성(財星)이 되며, 정기(正氣)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된다.
십월(十月)의 경신금(庚辛金)은 금한수냉(金寒水冷)하니 갑목(甲木)과 병정화(丙丁火)를 만나 조후(調候)가 되어야 부귀(富貴) 번영(繁榮)한다.

(5)임계일생(壬癸日生)
임일(壬日) 해월생(亥月生)은 건록격(建祿格)이 되고, 계일(癸日) 해월생(亥月生)은 제왕(帝旺)이 되어 월령(月令)을 얻어 신왕(身旺)하다.
수왕(水旺)하면 무토(戊土)로 제방(堤防)하고 목화(木火)로 조후(調候)하여야 부귀(富貴)의 명(命)이 된다.
신왕(身旺)하면 재(財)를 발(發)하고, 관살(官殺)이 왕(旺)하면 명망(名望)이 높고 , 식신(食神) 상관(傷官)은 재운(財運)에 부(富)하게 된다.

 

9. 신왕신약(身旺身弱) 해설(解說)

가. 용어해설(用語解說)
사주(四柱) 추명학(推命學)이 인간(人間)의 운명(運命)을 추단(推斷)하는 방법(方法)은 어느 때 어느 장소(場所)에 주체(主體)가 음양(陰陽) 어디에 속(屬)하는냐에 따라 순운(順運) 역운(逆運)으로 기상학적(氣象學的) 방법(方法)으로 운명(運命)을 판별(判別)한다.
기상학(氣象學) 판단(判斷)에 기본(基本)이 되는 것은 태양(太陽), 월(月), 지구(地球)를 중심으로 한 인력(引力), 추력(推力) 관계(關係)와 이와 관련(關聯)한 대우주적(大宇宙的) 기상변화(氣象變化) 관계(關係)를 측정(測定)하는 방법(方法)에 의(依)한다.
이 같은 기상변화(氣象變化)를 측정(測定)하므로 인간(人間)의 운명(運命)을 판단(判斷)함에 그 복(福)의 무겁고 가벼움, 귀(貴)의 고하(高下), 건강(健康)의 여하(如何) 등(等)을 판단(判斷)함에 당주체(當主體)인 인간(人間)의 신왕신약(身旺身弱)의 판단(判斷)은 운명감정(運命鑑定)에 있어서 대단(大端)히 중요(重要)하다.
신왕(身旺) 신약(身弱)을 판단(判斷)함과 관련(關聯)하여 다음 용어(用語)들을 알아야 한다.

(1) 득(得)
비견(比肩) 겁재(劫財) 정인(正印)편인(偏印)을 얻음으로 일간(日干)이 왕상(旺相)되었을 때를 말한다.
따라서 이는 일간(日干)의 통근(通根)을 말한다.

(2) 실(失)
정재(正財) 편재(偏財) 정관(正官) 편관(偏官) 식신(食神) 상관(傷官)을 만나므로 일간(日干)이 휴수사(休囚死)되었을 때를 말한다.
이는 일간(日干)이 통근(通根)하지 못하였을 때를 말한다.

(3) 득령(得令) 실령(失令)
사주(四柱)에서 월지(月支)를 제강(提綱), 월령(月令)이라 하여 태어난 절후(節侯)를 가장 중요시(重要視)한다.
일간(日干)이 월지(月支)에서 왕지(旺地) 상지(相地)를 얻어 통근(通根)되면 득령(得令)이라 하고 일간(日干)이 월지(月支)에 휴지(休地), 수지(囚地), 사지(死地)를 만나 통근(通根)이 되지 못하면 실령(失令)이라 한다.

(4) 득지(得地) 실지(失地)
원명(原命)에 일좌(日座)는 가정(家庭)을 의미(意味)하고 남자(男子)는 부인(婦人) 여자(女子)는 남편(男便)을 말하는 것으로 일간(日干)이 서 있는 곳이라 하여 일좌(日座) 일지(日地)라 한다.
일지(日支)가 왕지(旺地), 상지(相地)를 만나 통근(通根)되면 득지(得地)라 하고 일지(日支)가 휴지(休地), 수지(囚地), 사지(死地)를 만나 통근(通根)하지 못하였음을 실지(失地)라 한다.

(5) 득세(得勢) 실세(失勢)
원명(原命) 전체(全體)를 두고 득령(得令)은 혹(或)은 득지(得地)를 하고 비견(比肩), 겁재(劫財) 정인(正印) 편인(偏印)을 삼자(三者)이상 얻어 신왕(身旺)한 것을 득세(得勢)라 하고, 식신(食神) 상관(傷官) 정재(正財) 편재(偏財)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많아 일간(日干)의 세력(勢力)이 약(弱)한 것을 실세(失勢)라 한다.

(6)강변약(强變弱) 약변강(弱變强)
강약(强弱)의 말은 득령(得令) 실령(失令)의 말과 같은 뜻으로 쓰여지는 것으로 원명(原命)에서 득령(得令)은 하였으나 실지(失地)하고 사주(四柱) 전체(全體)를 판단(判斷)하여 실세(失勢)하였다면 강변약(强變弱)이라 한다.
또 원명(原命) 월지(月支)에서 왕상(旺相)을 얻지 못하였으나 득지(得地)를 하고 사주(四柱) 전체(全體)를 판단(判斷)하여 득세(得勢) 하였다면 약변강(弱變强)이라 한다.

 

나. 신왕신약(身旺身弱) 구분법(區分法)
일간(日干)을 대비(對比)하여 월령(月令)에서 왕상지(旺相地)인 통근여부(通根如否)를 확인(確認)한다.
일간(日干)을 사주(四柱)에 대조(對照)하여 십이운성(十二運星)으로 장생(長生), 대(帶), 건록(建祿), 제왕(帝旺) 여부(如否)를 확인(確認)하고 천간(天干)의 비견(比肩), 겁재(劫財), 정인(正印), 편인(偏印)등의 소재(所在)를 파악(把握)한다.
이러한 모든 판단(判斷)을 기준(基準)을 통(通)하여 [극신왕(極身旺) 전왕(專旺)], 최신왕(最身旺), 신왕(身旺), 중화(中和), 신약(身弱), 최신약(最身弱), [극신약(極身弱) 종격(從格)] 등의 결론(結論)을 내린다.
신왕(身旺)의 명(命)은 대체(大體)로 건강(健康)하고 신약(身弱)하면 생활의지(生活意志)가 결핍(缺乏)함이 보통이다.
여명(女命)은 신강(身强)함이 좋지 못하고 중화(中和)한 명(命)이나 신약(身弱)한 듯한 명(命)이 길(吉)하다.

신왕(身旺)한 사주(四柱)를 억제(抑制)하여 중화(中和)하는 데는
(1) 수극(授剋) [정관(正官), 편관(偏官)]
(2) 설기(泄氣) [식신(食神), 상관(傷官)]
(3) 분세(分勢) [정재(正財), 편재(偏財)]
(4) 십이운성(十二運星)의 쇠(衰), 병(病), 사(死), 묘(墓), 절(絶) 태(胎) 등의 운(運)이 필요(必要)하다.

신약(身弱)한 명(命)을 생조(生助)하는데 다음과 같은 방법(方法)에 의(依)한다.
(1) 수생(受生) [정인(正印), 편인(偏印)]
(2) 득수(得授) [비견(比肩), 겁재(劫財), 삼합(三合), 육합(六合)에 의(依)한 동일오행(同一五行)]
(3) 득세운(得勢運)이 되는 십이운성(十二運星)인 장생(長生), 관대(冠帶) 건록(建祿) 제왕(帝旺)의 운(運)을 만나는 것을 말한다.

 

이(二). 용신해설(用神解說)


 

 

1. 용신(用神)과 격국(格局)


추명학(推命學)을 연구(硏究)하는 모든 사람이 격국(格局)과 용신(用神)의 벽(壁)에 부디쳐 학문(學文)의 완성(完成)을 보지 못하고 좌절(挫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사주추명학(四柱推命學)의 모든 서적(書籍)이 난해(難解)하고 해설법(解說法)이 친절(親切)하지 못한데도 큰 원인(原因)이 있다.
그러나 어떻든 간에 격국(格局)과 용신(用神)에 대한 정전(定全)한 이해(理解)는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대우주(大宇宙) 삼라만상(森羅萬象)의 모든 것을 다 헤아릴 수 없는 것처럼 십간 십이지로 인명(人命)을 다 측정(測定)하기란 참으로 아득한 것이다.
그것은 춘(春) 하(夏) 추(秋) 동(冬)이 일년(一年)의 사계절(四季節)을 나타낸다고 하나 매일(每日) 매분(每分) 매시(每時) 마다 정확(正確)한 기상(氣象)의 변화(變化)를 읽는다는 것은 불가(不可)한 것이다.
사주추명학(四柱推命學)이 인간(人間)의 운명(運命)을 알 수 있다는 것도 기상학(氣象學)의 윤곽(輪廓)을 아는 것과 같고 완전(完全)한 기상(氣象)을 다 읽고 완전(完全)하고 정확(正確)하게 생(生)에서 사(死)까지 경로(經路)를 읽기란 어려운 것이다.

능숙(能熟)한 정비기사는 자동차의 외관과 엔진 소리만 들어도 자동차의 어디가 고장났는지 알고 운전기사(運轉技士)가 자동차(自動車)를 운전(運轉)하여도 차량의 상태와 행선지(行先地)까지의 거리와 속도 도로(道路)의 상태(狀態)와 일기 등을 헤아려 목적(目的)한 곳을 능숙하게 갈 수 있는 것 과 같이 생년일시(生年日時)의 간지(干支) 팔자(八字)를 가지고 이것의 분석(分析)에 의한 격국(格局)과 용신(用神)을 정(定)하고 여기에 따라 희신(喜神), 병신(病神), 약신(藥神), 구신(仇神), 한신(閑神)을 판별(判別)하고 대운(大運) 세운(歲運) 월운(月運) 일운(日運)을 대입(代入)하므로 인간(人間)의 운명(運命)을 측정(測定) 예지(銳智)할 수 있는 것이다.

격국(格局)의 고저(高低) 청탁(淸濁)에 의(依)하여 부귀(富貴) 빈천(貧賤)이 정(定)하여 지며 인간(人間)의 마음은 사주(四柱) 팔자(八字)가 말하고 있으며 그 중(中)에서도 일간(日干)과 월지(月支)를 대조(對照)한 격(格)이 인간(人間)의 마음과 인격(人格)을 대표(代表)한다.
사주(四柱)의 격국(格局)에 관하여서는 많은 명서(命書)에 무수(無數)하게 설명(說明) 하였으나 사주추명학(四柱推命學)이 우주(宇宙) 태양계(太陽系) 태양(太陽) 지구(地球) 월(月)과의 관계(關係)에서 지구(地球)가 자전(自轉)을 하면서 공전(公轉)을 하는 과정(過程)에서 일어나는 인력(引力) 추력(推力)을 기초(基礎)로 한 기상(氣象)의 변화(變化)에서 오는 기상학(氣象學)을 중심(中心)으로한 학문(學文)이라고 한다면 이 대자연계(大自然界)의 기상학적(氣象學的) 변화(變化)에 따른 연관(聯關)이 필요(必要)하며 이에 대한 참된 이해(理解)만이 올바른 판단(判斷)이 될 것이다.

첫째: 일간(日干)을 중심(中心)으로 월지(月支)에 대한 관계(關係)의 철저한 이해(理解)가 제일 중요(重要)하다.
둘째: 오행배속(五行配屬) 강약(强弱)에 대한 이해(理解)가 다음으로 중요(重要)하다.
셋째: 격(格)과 용신(用神)은 확고불변(確固不變)하는 것이 아니라 대운(大運), 세운(歲運) 년운(年運)의 변화(變化)에 따라 본상(本象)의 변화(變化)]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生覺)하여야 할 것이다.
교수(敎授)가 정치(政治)를 하고 군인(軍人)이 사업(事業)을 하며 직업인(職業人)이 사업(事業)에 뛰어 들 수 있는 변화(變化)를 설명(說明)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십신통변(十神通變)을 함에는 각신(各神)의 왕약(旺弱) 정확(正確)한 기세판단(氣勢判斷)이 대단(大端)히 중요(重要)한 것이다.
다섯째: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와의 관계(關係) 지지상호간(地支相互間)의 생극제화(生剋制化) 형충파해(刑沖破害) 삼합(三合) 육합(六合) 천간합(天干合) 천간상호간(天干相互間)의 생극제화(生剋制化)에 대한 올바른 이해(理解)가 있어야만 연기(緣起)와 변화(變化) 길흉선악(吉凶善惡)을 올바르게 판단(判斷)할수 있는 것이다.

 

2. 용신(用神)의 의의(意義)


용신(用神)이란 일간(日干)을 보호(保護)하는 수호신(守護神)으로서 차(車)에 비(比)하면 운전기사(運轉技士)와 같고 가정(家庭)에는 세대주와 같고 나라에는 통치자(統治者)와 같다.
그러나 용신(用神)이 길흉(吉凶)을 판단(判斷)하는 기준(基準)은 되지만 언제 무엇으로 어떠한 사태가 발생(發生)한다는 구체적(具體的)이고 실제적(實際的)인 감정(鑑定)은 불가능(不可能)하다.
그것은 육친(六親)과 십이운성(十二運星)과 형충파해(刑沖破害)와 제신살(諸神殺)을 분석(分析) 종합(綜合)한 뒤에만 최종판단(最終判斷)이 가능(可能)한 것이다.

용신(用神)에 관하여 용신(用神) 지상주의(至上主義)와 용신(用神) 형식주의(形式主義)가 있는데 격국(格局) 용신(用神)이 대운(大運)과 년운(年運)의 변동(變動)에 따라 변(變)할수 있다는 것이 현실적(現實的)이며 용신(用神) 지상주의(至上主義)로 틀에 메이다 보면 진실(眞實)을 보지 못할 것이다.

궁통보감(窮通寶鑑)은 일간(日干)과 월지(月支)를 대조(對照)하여 조후(調候) 위주(爲主)로 용신법(用神法)을 제시(提示)하고 있다.
사주추명학(四柱推命學)을 기상학적(氣象學的) 자세에서 궁구(窮究)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깊은 이치(理致)가 있다.

용신(用神)이라는 말과 관련(關聯)하여 다음 용어(用語)들을 이해(理解)해야 한다.
(1) 병신(病神): 기신(忌神)이라고도 하며 용신(用神)을 극제(剋制)하는 신(神)을 말한다.
(2) 희신(喜神): 용신(用神)을 생조(生助)하는 신(神)을 말한다.
(3) 약신(藥神): 병신(病神)을 극제(剋制)하는 신(神)을 말한다.
(4) 한신(閑神): 주중(柱中)에서 희신(喜神)으로도 기신(忌神)으로도 작용(作用)하지 않는 신(神)을 말하는데 대운(大運) 세운(歲運)의 변화(變化)에 따라 극(剋) 합(合), 충(沖), 형(刑)을 통(通)하여 희기(喜忌)로 작용(作用)한다.
(5) 구신(仇神): 기신(忌神)을 생조(生助)하는 신(神)을 말한다.

 

3. 용신(用神)을 정(定)하는 법(法)


용신(用神)을 정(定)하는 법(法)에는 사주(四柱) 신왕(身旺) 신약(身弱)에 따라 억부용신(抑扶用神)이 있고 편인(偏印) 편관(偏官) 상관(傷官) 겁재(劫財) 사흉신(四凶神)등 병(病)의 작용(作用)이 심(甚)할 때 병약용신법(病藥用神法)이 있다.
다음으로 주명(柱命)의 한열조습(寒熱燥濕)에 따라 채택(採擇)하는 조후용신(調候用神)이 있고 양신성상(兩神成象)으로 두 세력(勢力)이 세력균형(勢力均形)을 이루었을 때 싸움을 해소(解消)하는 통관용신법(通關用神法)이 있고 사주(四柱)가 어느 한가지 세력(勢力)으로 이루었을 때 그 세력(勢力)을 따라가는 전왕용신(專旺用神)이 있다.

 

가. 억부용신(抑扶用神)
월령(月令) 득지(得地)을 기준(基準)으로 하여 사주(四柱)의 신약(身弱) 신강(身强)을 판단(判斷)하고 신왕(身旺)할 때에는 일간(日干)을 식신(食神), 상관(傷官), 정재(正財), 편재(偏財), 정관(正官), 편관(偏官)으로 억제(抑制)하고 신약(身弱)할 때에는 정인(正印) 편인(偏印) 비견(比肩) 겁재(劫財)로 도우는 용신법(用神法)을 말한다.

 

(1) 억법용신(抑法用神)
신왕(身旺)할 때란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왕(旺)할 때와 정인(正印) 편인(偏印)이 왕(旺)할 때가 있는데 비견(比肩)이 과다(過多)할 때는 편관(偏官)으로 용신(用神)하는 것이 좋고 겁재(劫財)가 과다(過多)하면 정관(正官)으로 용신(用神)하는 것이 좋다.
어떻든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왕(旺)할 때에는 관(官)이 제일(第一) 좋은 용신(用神)이 된다.
또 이러한 때는 재자약살(財滋弱殺)이라고 하여 약(弱)한 관살(官殺)을 재(財)를 용(用)으로 하여 생조(生助)하여 제어(制御)하기도 한다.
인다(印多)하여 신왕(身旺) 할 때에는 정인(正印)이 많을 때에는 정재(正財)가 가장 좋은 용신(用神)이고 편인(偏印)이 많을 때에는 편재(偏財)가 가장 좋은 용신(用神)이 된다.
인다(印多)할 때에는 재용신(財用神)이 좋고 관(官)을 용신(用神)으로 하여 관인상생(官印相生)하므로 희(喜)하기도 한다.
또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많으므로 신왕(身旺)할 때 식신(食神) 상관(傷官)을 용신(用神)으로 하여 상관생재(傷官生財), 식신생재(食神生財)하기도 한다.

 

(2) 부법용신(扶法用神)
신약(身弱)할 때 도우는 용신법(用神法)으로 신약(身弱)할 때란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많을 때와 정재(正財) 편재(偏財)가 많을 때와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많을 때 가 있다.
상관(傷官)이 많을 때는 정인(正印)이 가장 좋은 용신(用神)이 되고 식신(食神)이 과다(過多)할 때는 편인(偏印)이 가장 좋은 용신(用神)이 된다.
어떻든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많을 때는 인성(印星)을 용신(用神)하는 것이 좋고 비견(比肩) 겁재(劫財)로 몸을 도우는 것도 용신(用神)이 된다.
재다(財多) 신약(身弱) 사주(四柱)는 정재(正財)가 많을 때는 겁재(劫財)가 좋은 용신(用神)이 되고, 편재(偏財)가 많을 대는 비견(比肩)이 좋은 용신(用神)이 된다.
재다(財多) 신약(身弱) 사주(四柱)는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용신(用神)이 된다.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많은 신약(身弱) 사주(四柱)는 정인(正印) 편인(偏印)으로 살인상생(殺印相生)으로 통관(通關)시키는 것이 좋은 용신(用神)이 되고, 양인(羊刃)으로 살인상정(殺刃相停)을 용신(用神)으로 하여 대권(大權)에 나가기도 한다.

 

나. 병약용신(病藥用神)
병약용신(病藥用神)이란 상관(傷官) 겁재(劫財) 편관(偏官) 편인(偏印)이 제화(制化)되지 않고 흉신(凶神)으로 작용(作用)할 때 이것을 병(病)이라 하여 제화(制化)하는 용신법(用神法)과 주중(柱中) 다자(多者)를 오행(五行) 중화(中和)를 해(害)친다고 하여 병(病)이라 하고 이 병(病)을 제거(除去)하는 것을 약(藥)이라고 하는 용신법(用神法)이다.
병약용신(病藥用神)이란 주중(柱中) 병(病)만 알면 용신(用神)과 약(藥)은 절로 알게 되는 것이다.

명리정종(命理正宗)에 이르기를
(1) 무병(無病)이면 불시기(不是奇)요 유병(有病)이면 방위귀(方爲貴)라 하여 사주(四柱)에 병(病)이 없으면 평인(平人)의 명(命)이고 병(病)이 중(重)하여 약(藥)을 얻으면 크게 귀(貴)하게 된다고 한다.
(2) 병(病)이 중(重)한데 약(藥)을 얻지 못하면 빈천객(貧賤客)이 되거나 단명(短命)하고 병(病)이 중(重)한데 약(藥)을 얻으면 대부대귀(大富大貴)한다고 한다.
(3) 주중(柱中)에 병(病)이 있는데 운(運)이 다시 중(重)한 병운(病運)으로 들어가면 죽을 것이요 병(病)을 투약(投藥)하여 깨끗이 나으면 복록(福祿)이 몸을 따른다고 하였다.

 

다. 조후용신(調候用神)
이는 궁통보감(窮通寶鑑)에 관한 해설서(解說書)로 간지론(干支論)에서 이미 밝힌 바이고 사주추명학(四柱推命學)을 공부하는 사람은 여기에 관(關)한 깊은 이치(理致)에 도달(到達)하지 않으면 도저히 명(命)을 바르게 볼수 없는 것이다.
이는 월지(月支)를 기준(基準)으로 해서 사주(四柱)의 한열조습(寒熱燥濕)에 의(依)하여 용신(用神)을 정(定)하는 법(法)이다.

(1) 한(寒): 서북금수(西北金水) 경신신유(庚辛申酉) 임계해자(壬癸亥子) 기축(己丑)(2) 열(熱): 동남목화(東南木火) 갑을인묘(甲乙寅卯) 병정사오(丙丁巳午) 무미(戊未)
(3) 조(燥): 병정사오(丙丁巳午) 무술미(戊戌未)
(4) 습(濕): 임계해자(壬癸亥子) 기축진(己丑辰)

 

라. 통관용신(通關用神)
통관(通關)이라 함은 양신성상(兩神成象)으로 금목(金木)이 상전(相戰)한다든가 수화(水火)가 상전(相戰)함과 같이 양신(兩神)이 소통(疏通)되지 않고 극전(剋戰)하고 있을 때 이 양신(兩神)을 통관(通關)하는 신(神)을 통관용신(通關用神)이라 한다.

(1) 금목상극(金木相剋) : 수(水)가 통관용신(通關用神)이다.
(2) 수토상극(水土相剋) : 금(金)이 용신(用神)이다.
(3) 목토상극(木土相剋) : 화(火)가 용신(用神)이다.
(4) 수화상극(水火相剋) : 목(木)이 용신(用神)이다.
(5) 화금상극(火金相剋) : 토(土)가 용신(用神)이다.

통관용신(通關用神)이 합(合)하면 통관불능(通關不能)이니 합신(合神)을 충(沖)할 때 발복(發福)한다.
통관신(通關神)을 타신(他神)이 충파(沖破)할 때에는 통관불능(通關不能)이니 행운(行運)에서 충(沖) 파신(破神)을 합화시(合化時)에 발복(發福)한다.
통관신(通關神)이 위치(位置)가 멀어 통관(通關)의 작용력(作用力)이 약(弱)할 때에는 행운(行運)에서 통관신(通關神)을 만날 때 발복(發福)한다.

 

마. 전왕용신(專旺用神)
사주(四柱)가 어느 한가지 오행(五行)으로 독점(獨點)하였을 때 그 극왕(極旺)한 대세(大勢)를 건드릴수 없어 그 왕신(旺神)의 세력(勢力)을 따라 그 왕신(旺神)을 용신(用神)으로 정(定)하는 경우(境遇)를 말한다.
전왕용신법(專旺用神法)에 일간(日干)이 왕(旺)한 전왕격(專旺格)과 인성(印星)이 왕(旺)한 종강격(從强格)이 있고, 일간(日干)이 무기(無氣)하여 타세력(他勢力)을 쫓는 종격(從格)에는 종아격(從兒格)과 종재격(從財格)과 종살격(從殺格)이 있다.

(1) 전왕(專旺)의 경우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용신(用神)이다.
(2) 종강(從强)의 경우도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용신(用神)이다.
(3) 종아격(從兒格)에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용신(用神)이다.
(4) 종재격(從財格)에는 정재(正財) 편재(偏財)가 용신(用神)이다.
(5) 종살격(從殺格)에는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용신(用神)이다.
종자(從者)는 세력(勢力)을 따르면 좋고 식신(食神) 상관(傷官)을 만나 설기(泄氣)하는 것을 크게 기뻐한다.

 

4. 용신(用神)을 정(定)하는데 유의(留意)할 점(點)

(1) 용신(用神)을 정(定)하는데 남녀(男女)모두 재관(財官)을 중요시(重要視)하는데 재(財)는 양명(養命)의 근본(根本)이 되고 관(官)은 남자(男子)는 직책(職責)과 명예(名譽)가 되고 여자(女子)는 남편(男便)이 된다.
남녀(男女) 모두 재관(財官)을 제일(第一) 필요(必要)로 하고 재관(財官)이 있으면 건왕(健旺)함을 요(要)한다.

(2) 재관(財官)이 있으면 이것으로 용신(用神)을 하고 없으면 월지원명(月支元命) 통변(通變)에 따라 구(求)하고 월지원명(月支元命)이 흉신(凶神)이면 생시(生時)에 따라 용신(用神)을 구(求)한다.
용신(用神)을 정(定)하면 용신(用神)의 근기(根基) 손상여부(損傷與否)를 살펴야 한다.

(3) 통변성(通變星)의 사길신(四吉神) 정인(正印) 정재(正財) 정관(正官) 식신(食神)과 사흉신(四凶神) 편인(偏印) 편관(偏官) 상관(傷官) 겁재(劫財)를 본다.
사길신(四吉神)은 생(生)하게 됨을 희(喜)하고 극(剋)함을 기(忌)한다.
사흉신(四凶神)은 생(生)하게 됨을 싫어하고 제화(制化) 극제(剋制)됨을 희(喜)한다.

(4) 일간(日干)과 용신(用神)의 형충파해(刑沖破害), 생극제화(生剋制化), 공망, 납음오행(納音五行), 십이운성(十二運星)등에 의하여 통변(通變) 기타(其他) 신살(神殺)의 경중(輕重)을 측정(測定)한다.
또 희신(喜神) 기신(忌神)을 구(求)하여 행운(行運)을 본다.

(5) 명중(命中) 합(合) 십신(十神)의 태과(太過) 불급(不及)을 교량(較量)하고 유근(有根) 무근(無根)을 살펴 육친(六親)과 오복(五福)을 용신(用神)과 대조(對照)하여 살피면 세세한 것까지 살필 수 있다.

(6) 명중(命中) 재관(財官)이 있어도 쇠약(衰弱)하면 없는 것과 같고 이것을 파괴(破壞)하면 도리어 고생(苦生)한다.
재(財)가 없으면 재산(財産)을 일으킬 수 없다.
재성(財星)이 있으면 이것을 파(破)하는 겁재(劫財) 양인(羊刃)인 있으면 안되고 재(財)가 있고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있으면 부명(富命)이 된다.

(7)월지(月支) 원명(元命)의 통변(通變)이 재관(財官)이면 타(他)에 취(取)할 필요(必要)가 없고 월지(月支)에 재관(財官)이 없으면 타주(他柱)에서 재관(財官)을 취(取)하고 타(他)에 재관(財官)이 없으면 월지원명(月支元命)에서 격(格)을 취(取)한다.
격(格)을 구(求)했으면 이 격(格)에 의하여 운명(運命)을 판정(判定)한다.
이럴 경우(境遇)에는 각각 격국(格局)에 응(應)하는 희기(喜忌)를 취(取)하여 길흉(吉凶)을 판별(判別)한다.

(8) 용신(用神)은 재(財) 관(官) 인(印) 식신(食神) 사길신(四吉神)이고 패신(敗神)은 칠살(七殺) 상관(傷官) [겁재(劫財) 양인(羊刃)] 편인(偏印)이 사흉신(四凶神)이다.
사길신(四吉神)은 양약(良藥)이고 사흉신(四凶神)은 독약(毒藥)이다.
그러나 양약(良藥)도 지나치면 중독(中毒)이 되고 독약(毒藥)도 분량(分量)이 알맞으면 휼륭한 영약(靈藥)이 될 수 있다.
독(毒)이 변(變)하여 양약(良藥)이 되고 양약(良藥)이 지나쳐 사람을 해(害)치고 죽이는 이치(理致)를 깨달아야 한다.

 

5. 용신(用神) 제요법(提要法)

※용신(用神) 제요 10법(提要 十法)
(1) 비견용신(比肩用神) : 편관(偏官)을 기(忌)함 식신(食神)을 요(要)한다.
(2) 겁재용신(劫財用神) : 정관(正官)을 기(忌)함 상관(傷官)을 요(要)한다.
(3) 식신용신(食神用神) : 편인(偏印)을 기(忌)함 편재(偏財)를 요(要)한다.
(4) 상관용신(傷官用神) : 정인(正印)을 기(忌)함 정재(正財)를 요(要)한다.
(5) 정재용신(正財用神) : 겁재(劫財)를 기(忌)함 식신(食神) 정관(正官)을 요(要)한다.
(6) 편재용신(偏財用神) : 비견(比肩)을 기(忌)함 식신(食神) 또는 편관(偏官)을 요(要)한다.
(7) 편관용신(偏官用神) : 식신(食神)을 기(忌)함 편인(偏印)을 요(要)한다.
(8) 정관용신(正官用神) : 상관(傷官)을 기(忌)함 인성(印星)을 요(要)한다.
(9) 편인용신(偏印用神) : 편재(偏財)를 기(忌)함 비견(比肩)을 요(要)한다.
(10) 정인용신(正印用神) : 정재(正財)를 기(忌)함 겁재(劫財)를 요(要)한다.

 

용신제요법(用神提要法)에 불필요(不必要)한 경우(境遇)는 다음과 같다.
(1) 비견(比肩)은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거듭 있음을 기(忌)하고 거듭 있으면 관성(官星)을 요(要)한다.
(2) 겁재(劫財)가 겹치면 관성(官星)을 요(要)한다.
(3) 식신(食神)은 도식(倒食)을 기(忌)하고 식신(食神)을 용신(用神)으로 하면 도식(倒食)은 반드시 편재(偏財)가 제어(制御)하여야 한다. (4)상관(傷官)은 정인(正印)을 기(忌)하고 상관(傷官)이 용신(用神)이면 정인(正印)이 있으면 정재(正財)을 요(要)한다.
(5) 정재(正財)가 용신(用神)이면 겁재(劫財)를 두려워하고 겁재(劫財)가 있으면 정관(正官)을 요(要)한다.
(6) 편재(偏財)가 용신(用神)이면 비견(比肩)을 두려워하고 비견(比肩)이 있으면 편관(偏官)을 요(要)한다.
(7) 정관(正官)이 용신(用神)이면 상관(傷官)이 두렵고 상관(傷官)이 있으면 정인(正印)이 있어야 한다.
(8) 편관(偏官)이 용신(用神)이면 관살혼잡(官殺混雜)을 두려워하고 관살혼잡(官殺混雜)이면 식신(食神) 또는 상관(傷官)을 요(要)한다.
(9) 편인(偏印)이 용신(用神)이면 식신(食神)을 해(害)칠까 두렵고 식신(食神)이 있으면 편재(偏財)가 있어야 한다.
(10) 정인(正印)이 용신(用神)이면 정재(正財)를 두려워하고 정재(正財)가 있으면 관성(官星) 또는 겁재(劫財)을 요(要)한다.

 

6. 용신통변(用神通變)

(1) 용신(用神)은 반드시 생월(生月) 배정(配定)하여 유근(有根) 무근(無根)을 살피고 무근(無根)이면 삼간(三干) 사지(四支)에서 생부(生扶)을 요(要)한다.
길신(吉神) 흉신(凶神) 모두 통근(通根)함을 요(要)한다.

(2) 용신(用神)이 길성(吉星)(재(財) 관(官) 인(印) 식(食)은 생조(生助)를 원(願)하고 생조(生助)하는 신(神)이 희신(喜神)이다.
용신(用神)이 흉성(凶星)이면 살(殺) 상(傷) 도식(倒食) 인(刃)이면 이것을 극(剋) 제(制) 합화(合化)하는 것이 희신(喜神)이다.

(3) 용신(用神)이 길성(吉星)일 때 이것을 극(剋) 간합(干合)하는 것은 기신(忌神)이고 흉성(凶星)일 때 이것을 생부(生扶)하는 것이 기신(忌神)이다.
기신(忌神)이 있어도 합(合)충(沖) 공망(空亡)이 있게 되면 제거(除去)된다.

(4) 기신(忌神)이 많고 제화(制化)가 있으면 이것을 구신(求神)이라 한다.
구신(救神)이 없으면 일생(一生) 빈명(貧命)이고 구신운(救神運)이 오면 소성(小成)한다.

(5) 암신(暗神) 암합(暗合) 기세(氣勢) 편왕격(偏旺格)을 용신(用神)으로 할 때 전실(塡實)를 기신(忌神)으로 하고 왕세(旺勢)밑 삼합(三合)을 희신(喜神)으로 한다.

(6) 인신사해(寅申巳亥)는 암장(暗藏)으로서 용신(用神) 채택(採擇)이 가능(可能)하다.
예(例) 인중병화(寅中丙火) 신중임수(申中壬水) 해중갑목(亥中甲木) 사중무토(巳中戊土)진술축미(辰戌丑未)는 암장(暗藏)으로 불가(不可)하고 천간(天干)에 투(投)하였거나 그 본기(本氣)로 용신(用神)을 삼는다.

(7) 충(沖)을 당(當)하였거나 극상자(剋傷者)는 용신(用神)으로 삼을수 없으나 월령(月令)이거나 합(合)으로 구(救)합이 있으면 용신(用神)으로 한다.

(8) 여명(女命)은 용신(用神)보다 관살(官殺)의 향방(向方)이 우선하고 다음으로 자성(子星)인 식상(食傷)이며 용신(用神)은 세 번째다.

 

7. 용신(用神)에 의(依)한 성격판단(性格判斷)


신왕(身旺)하면 천성(天性)이 명백(明白)하고 도량(度量)이 넓고 일을 당(當)하여 두려워하지 않으며 다소 관락(觀樂)을 즐긴다.
과왕(過旺)하면 투쟁(鬪爭)을 잘하고 구속(拘束)을 싫어하고 자제력(自制力)이 부족(不足)하다.
또 세력(勢力)을 믿고 약(弱)한 것을 무시(無視)한다.
신약(身弱)하면 검약(儉約)하고 모든 일을 경거망동(輕擧妄動)하지 않고 냉정(冷情)히 행동(行動)하고 타인(他人)과 교우(交友)가 적다.
지나치게 신약(身弱)하면 태만(怠慢)하기 쉽고 근기(根氣)가 결(缺)하고 허례(虛禮)가 있고 실패(失敗)가 많고 결단력(決斷力)이 부족(不足)하다.

십신(十神)에 의(依)한 성격분석(性格分析)을 하면 아래와 같다.

가. 비견(比肩)
(1) 온건(溫健)하고 평화주의(平和主義)다.
협동적(協同的)이고 아량(雅量)이 있고 인정(人情)과 우정(友情)이 있다.
(2) 비견(比肩)이 많은 즉(卽) 융통성(融通性)이 없고 독선적(獨善的)이고 인화(人和) 단결력(團結力)이 부족(不足)하다.
(3) 비견(比肩)을 충(沖)하면 친우(親友) 형제(兄弟) 근친(近親)과 불화(不和)하고 쟁투(爭鬪) 경쟁(競爭)을 좋아 한다.

나. 겁재(劫財)
(1) 솔직(率直)하고 허식(虛飾)이 없고 진취적(進取的)이고 투기성(投機性)과 모험심(冒險心)이 있다.
(2) 겁재(劫財)가 많은 즉(卽) 내심(內心) 사악(邪惡)하고 소중(笑中) 유인(有刃)하는 성격(性格)이다.
(3) 겁재(劫財) 양인(羊刃)은 생가(生家)를 떠나고 외관(外觀)은 겸화(謙和)하고 의리(義理) 인정(人情)을 판별(判別)하는 것 같으나 내심(內心)은 랑독(狼毒)하고 자혜심(慈惠心)이 없고 가혹(苛酷)한 성격(性格)이다.
(4) 겁재(劫財)와 양인(羊刃) 충전(沖戰)을 만나면 성질(性質)이 흉악(凶惡)하고 타인(他人)과 상용(相容)못하는 성격(性格)이 있다.
(5) 겁재(劫財) 양인(羊刃)이 나란히 있고 관살(官殺)의 제(制)가 없으면 외관(外觀)은 화려(華麗)하나 내심(內心)은 성의(誠意)가 부족(不足)하다.

다. 식신(食神)
(1) 온후다정(溫厚多情)하고 원만(圓滿)하며 명랑(明朗) 담백(淡白)하다.
이해성(理解性)과 사교성(社交性)이 있고 활동성(活動性)이 있다.
음식(飮食)을 잘 먹는다.
(2) 식신(食神)이 많은 즉 완고(頑固)하고 고집(固執)이 세다.
식신(食神)이 형(刑) 충(沖) 공망(空亡) 편인(偏印)에 의하여 파극(破剋) 되면 체력(體力)이 왜소(矮小)하고 초췌(憔悴)하게 된다.

라. 상관(傷官)
(1) 영명(靈明) 예리(銳利)하고 선견지명(先見之明)이 있고 자기평가(自己評價)를 높이 한다.
권세(權勢)에 대한 비판(批判)을 잘하고 시비(是非)를 잘 따진다.
(2) 상관(傷官)이 많은 즉(卽) 교만(驕慢)하고 유아독존(唯我獨尊)적이고 잔인(殘忍)하다.
비밀(秘密)이 없고 다변(多辯)하다.
(3) 금수상관(金水傷官)은 문장(文章)이 뛰어나고 목화상관(木火傷官)은 총명다지(聰明多智)하고 문장력(文章力)이 있으며 화토(火土) 수목(水木) 상관(傷官)은 자기(自己)를 믿고 오만(傲慢)하고 남을 없인 여기는 경향(傾向)이 있다.

마. 정재(正財)
(1) 정직(正直) 성실(誠實) 검소(儉素) 근면(勤勉)하다.
재왕(財旺) 신왕(身旺)하면 가운(家運)이 좋고 입건창업(立建創業)의 재간(才幹)이 있다.
(2) 정재(正財)가 많으면 태만(怠慢)하고 결단력(決斷力)이 둔(屯)하고 금전(金錢)에 집착(執着)이 강(强)하다.
공처가(恐妻家)나 처(妻)에 의존(依存)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3) 정재(正財)가 묘(墓)에 봉(逢)하면 극(極)히 질박(質朴)하고 검약(儉約)하다.
재성(財星)이 간합(干合)이 많고 일간(日干)이 쇠(衰)하면 외관(外觀)은 춘풍(春風)같으나 내면(內面)은 간사심(奸詐心)이 있다.

바. 편재(偏財)
(1) 개척정신(開拓精神)이 강(强)하고 책임(責任) 투철(透徹)하고 검소(儉素)하고 사교성(社交性)이 있으며 배포가 크다.
(2) 편재(偏財)가 많은 즉(卽) 안일(安逸)에 탐(貪)하고 다욕성(多慾性)이나 재(財)를 가벼이 한다.
(3) 편재(偏財)는 풍류심(風流心)이 있고 생가(生家)를 떠나며 지나친 명리욕(名利慾)을 가지며 처첩(妻妾)이 많고 주색(酒色)을 좋아한다.

사. 정관(正官)
(1) 정직(正直) 지성(至誠) 언행(言行)이 단정(端正)하고 예절(禮節)이 바르며 공명심(公明心)이 있고 정대(正大)하나 수완(手腕)은 부족(不足)하다.
(2) 정관(正官)이 많은 즉 의지(意志) 강고(强固)하지 못하고 법질서(法秩序)를 두려워하고 소극적(消極的)이다.
(3) 정관격(正官格)은 인자(仁慈) 관대(寬大)하고 평화(平和)를 좋아하고 풍모(風貌)는 훌륭하고 군자(君子)의 풍(風)이 있다.
바른 것을 좋아 하고 총명(總名) 준수(俊秀)하다.

아. 편관(偏官) (1) 영명하고 호탕(豪宕)하고 영웅심(英雄心)과 의협심(義俠心)이 강(强)하다. 전투적(戰鬪的)이고 강자(强者)에 저항(抵抗)하고 약(弱)한 자(者)를 도운다. 모험심(冒險心)이 있다. (2) 편관(偏官)이 많은 즉(卽) 조급(躁急)하고 성질(性質)이 위축(萎縮)되어 불쟁(不爭)한다. 재난(災難) 유랑생활(流浪生活)을 한다. (3) 신왕(身旺)하고 편관(偏官)이 경(輕)한즉 일에 조심(粗心)하고 태만(怠慢)하기 쉽고 타인(他人)의 질투(嫉妬)의 해(害)를 입는다. (4) 살인상생(殺印相生)이 되면 이지(理智)에 장(長)하고 재간(才幹)이 있고 성질(性質)이 바르고 언론(言論)도 선량(善良)하다.

자. 정인(正印)
(1) 총명(聰明)하고 인자(仁慈)하고 품행(品行)이 단정(端正)하고 침착(沈着) 성실(誠實)하다.
인수격(印授格)에 재(財)가 파인(破印)하지 않으면 장수명(長壽命)이고 평소(平素) 병(病)이 적고 음식(飮食)을 좋아하고 복(福)이 후(厚)하다.
(2) 인수(印授)가 과다(過多)하면 호학(好學)하고 경제생활(經濟生活)을 소홀히 생각(生覺)하므로 돈과 인연(因緣)이 박(薄)하다.
만년학자(晩年學者) 만년(晩年) 선비다.
(3) 정인(正印)을 충(沖)하면 뜻이 난(亂)하고 마음이 분망(奔忙)한 생활(生活)을 한다.
인수(印授)가 겁재(劫財)에 봉(逢)하면 귀(貴)하고 인격(人格)이 있다.
단 신체(身體)에 고장(故障)이 생(生)기기 쉽다.

차. 편인(偏印)
(1) 주도(周到) 치밀(緻密)하고 재치(才致)와 수완(手腕)이 있고 좀 변덕스러우면서 눈치가 빠르다.
(2) 편인(偏印)이 많으면 처음은 잘하여도 후(後)에 태만(怠慢)하고 유시무종(有始無終)이며 야비하다.
편인(偏印)은 학예(學藝)를 좋아하고 많이 배워도 성취(成就)함은 적고 일생(一生)을 다성다패(多成多敗)한다.
(3) 편인(偏印) 겁재(劫財) 양인(羊刃)을 겹치면 생가(生家)를 떠나며 외관(外觀)은 겸화(謙和)하나 내심랑독(內心狼毒)이 있고 각박(刻薄)하로 자비심(慈悲心)이 없다.
편인격(偏印格)이 관살(官殺)을 보면 항상(恒常) 타인(他人)에 망신(亡身)하기 쉽고 성패(成敗)가 다단(多端)하다.

 

8. 용신(用神)에 의(依)한 생사판단(生死判斷)


(1) 용신(用神)이 입묘(入墓)하고 사절운(死絶運)을 거듭 만날 때, 명중(命中) 병(病)이 중(重)한데 병중운(病重運)을 만날 때, 쇠용신(衰用神)을 왕기신(旺忌神)이 충(沖)할 때, 용신(用神)이 삼형극(三刑剋)이 구전시(具全時), 특수격(特殊格)에 파격(破格)이 되고 무구(無救)일 때.
(2) 인성(印星)을 용(用)할 때 재성(財星)이 많고 재운(財運)을 거듭 만날 때, 종재격(從財格) 종살격(從殺格) 종아격(從兒格)은 신왕운(身旺運)에 생명(生命)의 위험(危險)이 있다.
재성(財星)과 양인(羊刃)이 있고 태세(太歲) 양인(羊刃) 또는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겹치는 운(運) 에 실재(失財)하든가 생명(生命)이 위태(危殆)롭다.
(3) 병정화(丙丁火) 일생(日生)이 금수재관격(金水財官格)을 이루었는데 상관(傷官) 겁재(劫財) 편인(偏印)이 겹치는 운(運)에 황천(黃泉)의 귀(鬼)가 된다.
무기(戊己) 토일생(土日生)은 해자(亥子)를 희(喜)하고 상관(傷官) 겁재(劫財)를 기(忌)한다.
살성(殺星)이 거듭 겹쳐오면 생명(生命)이 위험(危險)하다.
(4) 상관(傷官)이 용신(用神)일 때 상관(傷官)에서 보아 대운(大運) 지지(地支)가 묘(墓)에 해당(該當)하면 음일생(陰日生)은 무방(無妨)하나 양일생(陽日生)은 생명이 위태(危殆)하다.
(5) 식신격(食神格)이면 도식운(倒食運)에는 옥중(獄中)에서 사(死)하거나 타향(他鄕)에서 사거(死去)한다.
상관(傷官) 양인(羊刃)이 다시 상관(傷官) 양인운(洋刃運)이 오면 피를 보는 재(災)가 있거나 생명(生命)의 위험(危險)에 봉(逢)한다.
(6) 목일생(木日生)이 금(金)의 극(剋)에 봉(逢)하고 상관(傷官)이 겹치는 운(運)에는 생명(生命)을 마치거나 고독(孤獨)하다.
목일생(木日生)이 명중(命中)에 수(水)가 성(盛)하고 다시 대운(大運)에 수운(水運)이 왕(旺)하면 반드시 타향(他鄕)에서 사거(死去)한다.
(7) 일귀(日貴) 일덕(日德) 괴강(魁 ) 양인격(羊刃格)은 충운(沖運)이 오면 생명(生命)이 위태(危殆)하다.
비천(飛天) 공록(拱祿) 공귀격(拱貴格) 등(等)은 전실운(塡實運)이 오면 생명(生命)이 위험(危險)하다.
(8) 노년운(老年運)은 생왕운(生旺運)을 두려워하고 소년(少年) 청년(靑年)은 사절운(死絶運)을 기(忌)한다.
금신격(金神格)은 수운(水運)에 생명(生命)이 위험(危險)하다.
경(輕)하면 수재(水災) 중(重)하면 익사(溺死)한다.
망신(亡神) 칠살(七殺)은 충형(沖刑)을 두려워 한다.
(9) 임계(壬癸) 수일생(水日生) 생왕(生旺)하면 상관(傷官)을 기(忌)한다.
천월이덕(天月二德)은 신조(身助)하면 호명(好命)이나 이것을 형충파극(刑沖破剋)하면 경(輕)하면 재난(災難)이 있고 중(重)하면 사망(死亡)한다.

 

9. 흉사(凶死)의 명(命)


(1) 명중(命中)에 양인(羊刃)이 겹쳐있고 지지합(地支合)이 양인(羊刃)을 충(沖)하면 험악비명(險惡非命)으로 세상(世上)을 떠난다.
(2) 역마(驛馬)와 양인(羊刃)이 같이 있고 칠살(七殺) 충신(沖神)이 모이면 노상(路上)에서 죽든가 타향(他鄕)에서 악사(惡死)한다.
(3) 도화(桃花) 함지(咸池) 양인(羊刃) 칠살(七殺) 등(等)이 모이는 명(命)은 색정건(色情件)으로 흉사(凶死)하든가 색정(色情)으로 가산(家産) 탕진(蕩盡)한다.
(4) 명중(命中)에 관살(官殺)이 있고 충(沖)을 만나서 생화거류(生化去留)치 않으면 불측(不測)의 재난(災難) 사망(死亡)의 일이 있다.

 

삼(三). 행운(行運)

 

1. 대운(大運)


(1) 대운(大運)을 월주(月柱)에서 양남 음여(陽男 陰女)을 순행(順行)하고 음남양녀(陰男陽女)는 역행(逆行)하여 일운(一運)이 십년간(十年間)씩 사주(四柱)를 관리(管理)하는 위탁(委託) 관리자(管理者)인데 대운(大運)은 각(各) 오년(五年)씩 작용(作用)하나 지지(地支)를 중(重)히 여기며 간지(干支) 각기(各其) 십년(十年)씩 동참(同參)하는 것으로 판단(判斷)한다.
※일대운(一大運) 십년(十年)을 간지(干支)를 나무 한 그루라고 한다면 천간(天干) 지상부(地上部)의 줄기요 가지며 잎이 되고 지지(地支)는 나무를 지탱하고 양분을 빨아올리는 뿌리가 되는 것이니 간지(干支) 각기(各其) 십년(十年)씩 동참(同參)하는 것으로 판단(判斷)한다.

(2) 천간(天干) 오년(五年)은 천간(天干)을 칠분(七分)으로 하고 지지(地支)을 삼분(三分) 작용(作用)하는 것으로 판별(判別)하며 지지(地支) 오년(五年)은 지지(地支)를 칠분(七分)으로 하고 천간(天干)을 삼분(三分) 작용(作用)하는 것으로 판별(判別)한다.

(3) 대운(大運) 간지(干支) 상생(相生) 상극(相剋)으로 인(因)한 길흉(吉凶) 경중관계(輕重關係)는 아래와 같다.
1. 천간(天干)이 길(吉)하여도 지지(地支)에서 극(剋)하면 길(吉)이 감(減)한다.
2. 천간(天干)이 흉(凶)하여도 지지(地支)에서 극(剋)하면 흉(凶)은 경(輕)하다.
3. 천간(天干)이 길(吉)하고 지지(地支)에서 생(生)하면 길(吉)이 크다.
4. 천간(天干)이 흉(凶)하고 지지(地支)에서 생(生)하면 흉(凶)은 중(重)하다.
5. 지지(地支)가 길(吉)하고 천간(天干)이 생(生)하면 길(吉)이 크다.
6. 지지(地支)가 흉(凶)한데 천간(天干)에서 생(生)하면 흉(凶)은 중(重)하다.
7. 지지(地支)가 흉(凶)하여도 천간(天干)에서 극(剋)하면 흉(凶)은 감(減)한다.
8. 지지(地支)가 길(吉)하고 천간(天干)에서 극(剋)하면 길(吉)은 경(輕)하다.

(4) 용신기세(用神氣勢)가 후(厚)하고 생시(生時)에 인종(引從)하여 기세(氣勢)를 얻으면 대운(大運)의 발현(發顯)이 빠르고 용신(用神)과 생시(生時)의 기세(氣勢)가 천박(淺薄)하면 길흉(吉凶)은 모두 더디게 된다.

(5) 대운(大運)이 용신(用神)의 장생지(長生地)을 만나면 신사업(新事業)을 창설(創設)하고, 목욕지(沐浴地)를 만나면 심신(心身)이 나태(懶怠)하게 되고 풍파(風波)를 격든가 주색혼미(酒色昏迷)하게 된다.
관대(冠帶) 건록(建祿) 제왕운(帝旺運)이 되면 모든 일이 융성(隆盛)하고 복력(福力) 재력(財力)이 증진(增進)하고 골육(骨肉)에 대한 즐거움이 있다.
쇠병운(衰病運)은 모든 것이 쇠패(衰敗)하고 실재(失財) 파재(破財) 병재(病災) 등(等)이 일어난다.
사절운(死絶運)은 골육사상(骨肉死喪) 불행(不幸) 혹(或)은 쇠(衰)하여 모든 일에 장애(障碍)가 많다.
태양묘운(胎養墓運)이 오면 모든 것이 중용(中庸)을 얻어 평안무사(平安無事)하다.
이것의 판단법(判斷法)은 사법(死法)이고 생법(生法)은 아니다.

(6) 대운(大運)이 원명(原命)의 격(格)을 도우면 길운(吉運)이 되고 격(格)을 파(破)하면 흉운(凶運)이 된다.
신약(身弱)의 명(命)은 생왕지(生旺地)를 희(喜)하고, 신왕(身旺)의 명(命)은 휴수사지(休囚死地)를 희(喜)한다.

(7) 원국(原局)에 재관(財官)이 있고 재관(財官)이 귀성(貴星)일 때 재관운(財官運)에 발재관(發財官)하고 원국(原局)에 재(災)가 있고 재운(災運)을 행(行)하게 되면 발재(發災)하게 되는 것이다.

(8) 명국(命局)이 길(吉)하여도 행운(行運)이 흉지(凶地)에 오면 훌륭한 고급차(高級車)가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것과 같고 원명(原命)이 흉(凶)하여도 행운(行運)이 길지(吉地)에 오면 나쁜 차가 고장난 곳을 정비를 잘하여 고속도로(高速道路)에서 달리는 것과 같다.

(9) 대운간지(大運干支)가 오행(五行)이 동일(同一)하면 협력동심(協力同心)이라 하여 역량(力量)이 증가(增加)하고 길흉(吉凶)이 모두 중(重)하다고 간운(看運)한다.

(10) 지지(地支)는 정(靜)한 것이나 충(沖)을 만나면 동(動)하고 또 삼합회국(三合會局)하여 동의(動意)가 생(生)한다.
동(動)하면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나타내는 고로 행운(行運)에도 사주명식(四柱命式)과 같이 형충회합(刑沖會合)을 적용(適用)한다.

(11) 생년(生年)은 소년(少年), 월(月)은 청년(靑年), 일(日)을 장년(壯年), 시(時)를 만년(晩年)으로 구분(區分)하여 생년(生年)의 희기(喜忌)에 따라 소년시대(少年時代)의 길흉(吉凶)을 알고, 월(月)의 희기(喜忌)에 따라 청년시대(靑年時代)의 길흉(吉凶)을 알고, 일좌(日座)의 희기(喜忌)에 따라 장년시대(壯年時代)의 길흉(吉凶)을 알고, 생시(生時)의 희기(喜忌)에 따라 만년(晩年)의 길흉(吉凶)을 판단(判斷)한다.
희기(喜忌)라 함은 용신(用神) 격국(格局)의 희기(喜忌)를 말한다.

(12) 묘운(墓運)
1. 유년시대(幼年時代)의 묘운(墓運)은 좋지 않다.
2. 노년시대(老年時代)의 묘운(墓運)은 길(吉)하고 모든 일이 즐겁다.
3. 정관(正官) 인수(印授) 편관(偏官) 상관격(傷官格)은 묘운(墓運)을 기(忌)한다.
4. 정관(正官) 인수(印授) 재성(財星) 편관(偏官)이 왕(旺)하고 묘운(墓運)을 만나면 재해(災害)가 생긴다.

(13) 청장년(靑壯年) 시대(時代)에 기혼(旣婚) 남녀(男女)는 명(命)과 대운(大運) 세운(歲運)이 삼합(三合) 육합(六合) 등은 자연(子緣)이 있는 사람은 임신(姙娠)의 즐거움이 있다.

(14) 명중(命中) 비견(比肩) 겁재(劫財) 양인(羊刃)이 많고 재차(再次) 차운(此運)이 오면 재정상(財政上) 불행(不幸)하다.
남녀(男女) 모두 가정(家庭) 부부(夫婦)에 불화(不和) 쟁투(爭鬪)가 있고, 합(合)하면 완화(緩和)되고 충형(沖刑)은 다시 중대(重大)하다.

(15) 행운(行運)이 협귀(夾貴) 화개(華蓋) 귀인(貴人) 천덕(天德) 월덕(月德) 등(等)이 육합상(六合上)에 모이고 생왕(生旺)의 기(氣)를 만나면 경사(慶事)가 있게 된다.
행운(行運)이 원진(元嗔) 망신(亡神) 겁살(劫殺) 상문(喪門) 조객(弔客) 등(等) 악살(惡殺)이 임(臨)하고 또 육합(六合)하면 재(災)가 일어난다.

 

2. 세운(歲運)


세운(歲運)이란 태양계(太陽界)의 순환(循環)궤도 (軌度)이며 이것을 육십운기(六十運氣) 부합(符合) 배설(配設)하여 태양(太陽) 월(月) 지구(地球) 타천체(他天體)와 종횡(縱橫)관계(關係)를 알아내는 것이다.
태양(太陽)은 태양계(太陽界)에서는 가장 중심체(中心體)가 되기 때문에 개인(個人)의 자전궤도(自轉軌道)와 동일(同一)하게 공전궤도(公轉軌道)는 대단히 중요(重要)한 것이다.

어느 지역(地域)에 천재지변(天災地變)이나 전쟁(戰爭)이 발생(發生)하면 자전궤도(自轉軌道)의 좋고 나쁨을 불구(不拘)하고 재난(災難)의 피해(被害)를 입게 됨은 태양궤도(太陽軌道)의 중요성(重要性)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천적(先天的) 주명(柱命)도 중요(重要)하지만 행운(行運)을 표시(標示)하는 대운(大運) 세운(歲運)도 중요(重要)한 것이다.
명(命)과 행운(行運)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으며 때를 안다는 것은 이 행운(行運)을 안다는 것과도 같은 말이다.
그러나 대운(大運) 세운(歲運)을 비교(比較)하면 대운(大運)이 더욱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는 것임에는 틀림없다.

(1). 세운(歲運)의 간명(看命)은 대운(大運)과는 달리 천간(天干)을 중요시(重要視)하고 지지(地支)는 보조작용(補助作用)으로 본다.
그리고 지지(地支)는 형충회합(刑沖會合), 공망(空亡) 등(等)을 본다.

(2). 일간(日干)과 세간(歲干)의 이해득실(利害得失) 용신(用神)과의 이해득실(利害得失) 대운(大運) 세운(歲運)과의 관계(關係)를 자세히 살펴야 한다.

(3) 대운(大運) 세운(歲運)이 상전(相戰)하면 명중(命中)에 구신(救神)이 없으면 불리(不利)하며 대운(大運)이 세운(歲運)을 극(剋)하는 것을 더욱 기(忌)한다.

(4) 세운(歲運)의 지지(地支)는 천간(天干)과 상생(相生) 상극(相剋)에 의하여 경중(輕重)에 따라 복귀(福貴)의 다소(多少)를 분별(分別)한다.

(5) 명중(命中)에 충해(沖害)가 있고 재차(再次) 형충운(刑沖運)이 오면 충동(沖動)이 일어나고 육해(六害)가 오면 육친(六親) 골육(骨肉)의 조해(阻害) 이산(離散)의 일이 일어난다.
정관(正官) 육해(六害)는 남명(男命)의 자녀(子女)이고 여명(女命)은 남편(男便)이다.

(6)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동일오행(同一五行)은 길신(吉神)에 해당(該當)하면 길(吉)이 후(厚)하고 흉성(凶星)일 때 흉해(凶害)가 크다.

(7)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을 충극(沖剋)하면 파재(破財) 실패(失敗) 상사(喪事) 불행(不幸)이 온다.
명중(命中)에 구수(救授) 조화(調和)하면 재해(災害)는 소멸(消滅)하고 격국(格局)이 흉(凶)하면 사거(死去)한다.

(8) 일간(日干)이 세간(歲干)을 범(犯)하면 흉재(凶災)가 발생(發生)한다.
세간(歲干)을 군(君)으로 하고 일간(日干)을 신(臣)으로 보아 역극(逆剋)으로 된다고 흉재(凶災)가 일어난다고 하나 세운(歲運)을 극(剋)하면 편재(偏財)가 되고 명중(命中)이나 대운(大運)에서 구(救)한다면 도리어 발재(發財)의 즐거움이 있다.

(9)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의 지지(地支)가 충(沖)이 되면 이 가운데 대운(大運)이 세운(歲運)을 충(沖)하는 것을 내충(內沖)이라 하고 세운(歲運)이 대운(大運)을 충(沖)하는 것을 외충(外沖)이라 하는데 내충(內沖)이면 내(內)에서 재해(災害)가 발생(發生)하고 외충(外沖)이면 타(他)에서 재해(災害)를 받게 된다.

(10) 삼합(三合) 육합(六合)하여 용신(用神)을 부조(扶助)할 때에는 길(吉)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흉(凶)하다.
예(例)컨데 삼합(三合)하여 재신(財神)이 되면 재왕(財旺)하고 재신(財神)을 희(喜)하는 명국(命局)이면 재리통달(財利通達)한다.
재(財)를 원(願)치 않을 때에는 재(財)로 인(因)하여 흉해(凶害)가 발생(發生)한다.

(11) 생년(生年)과 동일간지(同一干支)의 해가 되는 년(年)을 진태세(眞太歲)라고 하는데 명(命)과 대운(大運) 세운(歲運)이 순조(順調)로우면 길행(吉幸)이 있고 형충파해(刑沖破害) 전극(戰剋)이 되면 재액(災厄)이 발생(發生)한다.

(12) 일주(日柱)와 동일간지(同一干支)가 되는 해를 군신경회(君臣慶會)라 하는데 고위귀인(高位貴人)은 희사(喜事)가 있다고 한다.

(13) 대운(大運)과 세운(歲運)과의 관계(關係)는
1. 대운(大運)이 길(吉)하고 세운(歲運)이 길(吉)하면 길(吉)이 증가(增加)한다.
2. 대운(大運)이 흉(凶)하고 세운(歲運)이 길(吉)하면 길흉(吉凶) 상반(相半)한다.
3. 대운(大運) 세운(歲運)이 모두 흉(凶)하면 흉중(凶重)하다.
4. 대운(大運)이 길(吉) 세운(歲運)이 흉(凶)하면 선악(善惡)이 서로 발현(發現)한다.

(14) 자축인묘진사(子丑寅卯辰巳)는 양(陽)이 많은 사람으로 오미신유술해상(午未申酉戌亥上)에 이르면 음기(陰氣)를 타서 발(發)하고 오미신유술해(午未申酉戌亥)의 사주(四柱)는 음(陰)이 많은 사람으로 행운(行運)이 자축인묘진사(子丑寅卯辰巳)에 이르면 양기(陽氣)를 타서 발(發)한다.

 

3. 월운(月運)


매월(每月)의 길흉(吉凶)은 그 달의 지지(地支)를 중요시(重要視)하고 천간(天干)을 보조(補助)로 한다.
월(月)은 음(陰)에 속(屬)하고 지지(地支)가 음(陰)에 속(屬)하기 때문이다.
월운(月運)의 통변(通變)은 용신(用神)에 대조(對照)하여 희신운(喜神運)에 해당(該當)하면 그달은 길(吉)하고 기신(忌神)이면 그달은 흉(凶)하다.
길흉(吉凶)의 변화(變化)는 명중(命中)과 월운(月運)의 형충(刑沖) 합(合)에 따르며 경중(輕重)은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로 판정(判定)한다.
(1)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왕(旺)하면 천간(天干)의 력(力)이 강(强)하다.
(2) 지지(地支)에서 천간(天干)을 생(生)하면 천간(天干)의 력(力)이 강(强)하고 지지(地支)의 력(力)이 감쇠(減衰)된다.
(3) 지지(地支)에서 천간(天干)을 극(剋)하면 력(力)이 약(弱)하다.
(4) 천간(天干)에서 지지(地支)를 극(剋)하면 력(力)이 감살(減殺)한다.
(5) 천간(天干)에서 지지(地支)를 생(生)하면 천간(天干)의 힘은 약(弱)해지고 지지(地支)의 힘은 강(强)해진다.

※년운(年運)과 월운(月運)을 대조(對照)하면
(1) 년운(年運)이 길(吉)하고 월운(月運)이 길(吉)하면 길(吉)이 후(厚)하다.
(2) 년운(年運)이 흉(凶)하고 월운(月運)이 흉(凶)하면 흉중(凶重)하다.

 

4. 간지동(干支同), 간지충(干支沖), 간지합(干支合), 간동지충(干同支沖)

가. 간지동(干支同)
일주(日柱)가 갑인(甲寅)이라면 대운(大運) 세운(歲運)에서 갑인운(甲寅運)이 오면 간지동(干支同)이라 한다.
나와 동일(同一)한 자가 출현(出現)이니 주인(主人)이 둘이 됨과 같다.
구설(口舌) 누명 시비(是非) 반목(反目) 중상모략(中傷謀略) 사기(詐欺) 등(等)의 일이 일어난다.
이동(移動) 이사(移徙) 전직(轉職) 전업(轉業) 유혹(誘惑) 손재(損財)를 당(當)한다.
이외의 재난(災難)이 발생(發生) 하거나 부친(父親)에 불리(不利)하고 처액(妻厄)이 있거나 처(妻)에게 애정(愛情) 문제(問題)가 발생(發生)한다.
비견(比肩)을 용신(用神)으로 하는 사람은 발복(發福)한다.
타인(他人)의 유혹(誘惑)이나 집단행동(集團行動)을 조심해야 한다.

나. 간지충(干支沖)
일주(日柱)의 간지(干支)를 정면(正面)으로 충(沖)하는 운(運)을 말한다.
갑인(甲寅) 일주(日柱)에 경신(庚申) 병오(丙午)일주(日柱)에 임자(壬子) 정사(丁巳) 일주(日柱)에 계해(癸亥) 경오(庚午) 일주(日柱)에 병자운(丙子運)을 만남과 같다.
적(敵)를 만나게 되니 필사적(必死的) 투쟁(鬪爭)으로 자기(自己) 역량(力量)를 최대한(最大限) 발휘(發揮)하나 관재구설(官災口舌), 도난(盜難) 횡액(橫厄) 교통사고(交通事故) 질병(疾病) 등(等)이 발생(發生)한다.
부모(父母) 자녀(子女) 배우자(配偶者)의 비운(悲運)을 암시(暗示)하며 그렇지 않으면 크게 놀랄일이 일어난다.
관살(官殺)을 용신(用神)으로 하면 발복(發福)한다.

다. 간지합(干支合)
일주(日柱)의 간지(干支)와 세운(歲運)의 간지(干支)가 상합(相合) 됨을 말한다.
예(例). 갑인일주(甲寅日柱)에 기해운(己亥運) 을사(乙巳) 일주(日柱)에 경신(庚申) 세운(歲運)을 만남과 같다.
다정(多情)이 병(病)으로 유혹(誘惑)을 많이 당(當)하며 애정(愛情) 문제(問題)가 발생(發生)한다.
합화기(合化忌)가 되느냐 합화길(合化吉)이 되느냐를 살펴서 판단(判斷)하여야 한다.
합화기(合化忌)가 되면 관재(官災) 사기(詐欺) 재산손실(財産損失) 등(等)이 일어난다.
합화희(合化喜)가 되면 동업(同業) 협조(協助) 등(等)에 의(依)하여 경사(慶事)가 일어난다.

라. 간동지충(干同支沖)
세운(歲運)이 일간(日干)과는 동일(同一)하고 일지(日支)를 충(沖)할 때를 말한다.
예(例). 갑인일생(甲寅日生)이 갑신(甲申) 세운(歲運)을 만나고 경오일생(庚午日生)이 경자(庚子) 세운(歲運)을 만나 경우(境遇)를 말한다.
동상이몽(同床異夢)으로 속과 겉이 다르니 자기(自己)의 예상(豫想)이나 기대(期待)가 어긋나는 결과(結果)를 암시(暗示)한다.
배우자(配偶者)와 충돌(衝突) 가출(家出) 본인(本人)의 좌불안석(坐不安席) 심란미정(心亂未定) 등(等)의 일이 있게 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