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의 世說新語.秀而不實.
모를 심어 싹이 웃자라면 이윽고 이삭대가 올라와 눈을 내고 꽃을 피운다.
그 이삭이 양분을 받아 알곡으로 채워져 고개를 수그릴 때 秋收의 보람을 거둔다. 처음 올라오는 이삭 대 중에는 아예 싹의 모가지조차 내지 못하는 것이 있고, 대를 올려도 끝이 노랗게 되어 終乃 結實을 맺지 못하는 것도 있다. 이런 것은 農夫의 손길에 솎아져서 뽑히고 만다.
싹의 모가지가 싹아지, 즉 싸가지다. 이삭 대의 이삭 패는 자리가 싹수(穗)다.
싸가지는 있어야 하고, 싹수가 노래서는 안 되는 이유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孔子는 論語 ‘子罕’에서 이렇게 말했다. “싹만 있고 꽃이 피지 않는 것이 있고, 꽃은 피었어도 결실을 맺지 못하는 것이 있다.”(苗而不秀者有矣夫.秀而不實者有矣夫!)
苗而不秀는 싸가지가 없다는 말이다. 秀而不實은 싹수가 노랗다는 뜻이다.
싹이 파릇해 기대했는데, 대를 올려 꽃을 못 피우거나, 꽃 핀 것을 보고 알곡을 바랐지만 결실 없는 쭉정이가 되고 말았다는 얘기다. 결과는 같다. 모판에서 옮겨져 모심기를 할 때는 모두가 푸릇한 靑春이었다. 들판의 꿈은 푸르고 農夫의 기대도 컸다.
애초에 싸가지가 없어 솎아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다만 고만한 중에 싹수가 쭉쭉 올라오면 눈길을 끌지만 웃자라 양분을 제대로 못 받고 病蟲害를 입고 나면 그저 뽑히고 만다.
탐스러운 결실을 기대했는데 참 애석하다.
첫댓글 심신이 맑고 밝은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