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SO2 공명으로 모두 1.5결합인가요?
아니면 3주기라 확장옥텟으로 모두 이중결합인가여?
둘중, 어떤게 SO2의 구조인지 좀 알려주세요 ㅜㅜ
추가로,
SO3도 모두 공명으로 4/3 결합인지, OR 3주기라 확장옥텟으로 전부 2중결합인지 좀 알려주세요, ㅜㅜ
첫댓글 SO2의 경우 말씀하신대로 옥텟룰은 모두 만족하지만 형식전하가 존재하는 단일결합+이중결합 형태가 있고S가 8전자를 초과하지만 형식전하가 없는 이중결합 두개의 형태가 있습니다.이 중에서 S가 이중결합 두개를 가지는 모양이 실제 모양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크므로 실제 모양과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것도 실제와 '가깝다'일 뿐, 진짜 결합 차수를 따진다면 1.8~1.9중 결합으로 따질 수 있겠네요...
SO3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말씀하신 대로 4/3결합을 가진 공명구조 3개와 이중결합 세개를 가진 공명구조가 다 존재하지만 이중결합 세개를 가진 녀석의 기여도가 가장 크므로 가장 실제 모양과 가깝다고 할 수 있어요~그리고 우리가 그리는 모델은 모두 실제 모양이 아니라 표현의 최적화를 위해 임의적으로 고정시켜준 형태라서 애매한 부분은 시험에 나오지 않습니다!시험에 나오는 부분은 우리가 그리는 공명구조가 공통적으로 가진 특징들만 나와요예를들면, SO3의 경우 S는 sp2구조이다, O에는 비공유전자쌍이 존재한다 등등...
형식전하의 관점에선 모두2중결합인 구조가 적합합니다 하지만 양자역학적 계산에 의하면 옥텟규칙을 따르는 구조가 더 타당하다는 논문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무턱대고 어떤구조가 맞는가하는 문제는 나올리 없습니다.
첫댓글 SO2의 경우 말씀하신대로 옥텟룰은 모두 만족하지만 형식전하가 존재하는 단일결합+이중결합 형태가 있고
S가 8전자를 초과하지만 형식전하가 없는 이중결합 두개의 형태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S가 이중결합 두개를 가지는 모양이 실제 모양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크므로 실제 모양과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실제와 '가깝다'일 뿐, 진짜 결합 차수를 따진다면 1.8~1.9중 결합으로 따질 수 있겠네요...
SO3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4/3결합을 가진 공명구조 3개와 이중결합 세개를 가진 공명구조가 다 존재하지만 이중결합 세개를 가진 녀석의 기여도가 가장 크므로 가장 실제 모양과 가깝다고 할 수 있어요~
그리고 우리가 그리는 모델은 모두 실제 모양이 아니라 표현의 최적화를 위해 임의적으로 고정시켜준 형태라서 애매한 부분은 시험에 나오지 않습니다!
시험에 나오는 부분은 우리가 그리는 공명구조가 공통적으로 가진 특징들만 나와요
예를들면, SO3의 경우 S는 sp2구조이다, O에는 비공유전자쌍이 존재한다 등등...
형식전하의 관점에선 모두2중결합인 구조가 적합합니다 하지만 양자역학적 계산에 의하면 옥텟규칙을 따르는 구조가 더 타당하다는 논문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무턱대고 어떤구조가 맞는가하는 문제는 나올리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