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태보(南泰普)
[진사] 영조(英祖) 11년(1735) 을묘(乙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24위(29/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B0A8D0DCBCF4U9999X0
본인본관 의령(宜寧)
거주지 양근(楊根)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하(○○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근명(南近明)[進]
[출전]
『을묘식년생원진사방(乙卯式年生員進士榜)』(『국조연방(國朝蓮榜)』乾,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2230])
남근명(南近明)
[진사] 숙종(肅宗) 22년(169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1위(41/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B0A8ADFCBA85B1673X0
자(字) 계광(季光)
생년 계축(癸丑) 1673년 (현종 14)
합격연령 24세
본인본관 의령(宜寧)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기타 연벽(聯璧[兄弟同榜]):兄 南達明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상훈(南尙熏)[進]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성주목사(星州牧使)
[안항(鴈行)]
형(兄) : 남적명(南迪明)[進]
형(兄) : 남취명(南就明)[進]
형(兄) : 남달명(南達明)[進]
[출전]
『병자식년사마방목(丙子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일산古6024-97])
남상훈(南尙熏)
[진사] 현종(顯宗) 1년(1660) 경자(庚子)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68위(98/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B0A8C0C1D6C8B1638X0
자(字) 훈보(熏甫)
생년 무인(戊寅) 1638년 (인조 16)
합격연령 23세
본인본관 의령(宜寧)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자시하(慈侍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훤(南翧)[生]
품계 : 통정대부(通政大夫)
관직 : 수경상도관찰사(守慶尙道觀察使)
[안항(鴈行)]
형(兄) : 남성훈(南聖熏)
형(兄) : 남경훈(南景熏)
제(弟) : 남익훈(南益熏)[進]
제(弟) : 남오훈(南五熏)[生]
제(弟) : 남치훈(南致熏)[生]
제(弟) : 남지훈(南至熏)[生]
[출전]
『경자증광사마방목(庚子增廣司馬榜目)』(고려대학교 도서관[대학원 B8 A1 1660])
남훤(南翧)
[생원] 인조(仁祖) 8년(163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57위(87/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B0A8D6E4FFFFB1609X0
자(字) 백도(伯圖)
호(號) 창명(滄溟)【補】(주1)
생년 기유(己酉) 1609년 (광해군 1)
졸년 병신(丙申)(주2)【補】 1656년 (효종 7)
향년 48세
합격연령 22세
본인본관 의령(宜寧)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백도(伯圖), 호는 창명(滄溟).
증조부는 남호(南琥), 조부는 남이신(南以信)이고, 부친은 감사(監司) 남두첨(南斗瞻)이다. 외조부는 한응인(韓應寅)이고, 처부는 권현(權晛)이다.
1630년(인조 8) 경오식년사마시(庚午式年司馬試)에 생원(生員) 3등으로 합격하였고, 1636년(인조 14) 병자별시문과(丙子別試文科)에 을과(乙科) 2등으로 급제하였다.
1641년(인조 19) 정언(正言)이 되고 이듬해 지제교(知製敎), 부수찬(副修撰),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냈다.
1651년(효종 2)에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거쳐 승지(承旨)를 지낸 후 1655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역임하였다.
저서로 『창명집(滄溟集)』이 있다.
[참고문헌]仁祖實錄 孝宗實錄 國朝人物誌
[문과] 인조(仁祖) 14년(1636) 병자(丙子) 별시(別試) 을과(乙科) 2[探花]위(03/11)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타과 1636년(인조 14) 병자(丙子) 별시(別試) 문과(文科) 을과(乙科) 2위[探花]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두첨(南斗瞻)[生]
품계 : 어모장군(禦侮將軍)
관직 : 행용양위부사직(行龍驤衛副司直)
[처부(妻父)]
성명 : 권현(權晛)【補】(주3)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형(兄) : 남핵(南翮)
형(兄) : 남율(南𦒑)
[주 1]호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주 2]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처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출전]
『경오식년사마방목(庚午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일산古6024-91])
남두첨(南斗瞻)
[생원] 광해군(光海君) 4년(1612) 임자(壬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51위(81/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B0A8B450CCA8B1590X0
자(字) 여앙(汝昻)
생년 경인(庚寅) 1590년 (선조 23)
졸년 병신(丙申)(주1)【補】 1656년 (효종 7)
향년 67세
합격연령 23세
본인본관 의령(宜寧)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 후기에, 호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여앙(汝昻), 호는 성와(醒窩).
할아버지는 남호(南琥)이고, 아버지는 병조참판 남이신(南以信)이며, 어머니는 정윤복(丁胤福)의 딸이다.
1612년(광해군 4) 사마시에 합격하고, 음서(蔭敍)로 금부도사가 되었다.
1616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전적을 거쳐 형조정랑·한성부서윤을 지내고, 1628년(인조 6) 진휼청종사관으로 경상도에 파견되어 굶주리는 도민을 구제하기 위하여 식량을 모으기도 하였다.
그 뒤 사섬시정(司贍寺正)·사도시정(司䆃寺正) 등을 역임하였다.
외직으로는 배천현감·남원부사·충주목사 등 10여 고을을 다스려 백성들로부터 칭송이 자자하였다.
1637년 사복시정을 거쳐 호조참의를 역임하였다.
[문과] 광해군(光海君) 8년(1616) 병진(丙辰) 대증광시(大增廣試) 병과(丙科) 10위(20/41)
[진사] 광해군(光海君) 4년(1612) 임자(壬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27위(57/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타과 1616년(광해군 8) 병진(丙辰)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 병과(丙科) 10위
기타 양시(兩試[雙蓮])
부모구존 자시하(慈侍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이신(南以信)[進]
품계 : 가선대부(嘉善大夫)
관직 : 병조참판(兵曹參判)
겸직 : 겸 동지춘추관의금부사(兼同知春秋館義禁府事)
[처부(妻父)]
성명 : 한응인(韓應寅)[文]【補】
본관 : 청주(淸州)【補】
[처부(妻父)2]
성명 : 김경량(金景亮)【補】(주2)
본관 : 미상(未詳)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처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1・2를 추가.
[출전]
『만력40년임자3월13일사마방목(萬曆四十年壬子三月十三日司馬榜目)』(고려대학교 도서관[만송 B8 A1 1612A])
남이신(南以信)
[진사] 선조(宣祖) 21년(158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3위(43/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B0A8C774C2E0B1562X0
자(字) 자유(子有)
호(號) 직곡(直谷)【補】(주1)
생년 임술(壬戌) 1562년 (명종 17)
졸년 무신(戊申)(주2)【補】 1608년 (선조 41)
향년 47세
합격연령 27세
본인본관 의령(宜寧)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 중기에, 경기도관찰사, 안변부사,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자유(自有), 호는 직곡(直谷).
할아버지는 대사헌 남응운(南應雲)이고, 아버지는 참판 남호(南琥), 어머니는 신사헌(愼思獻)의 딸이다. 이조판서 남이공(南以恭)의 형이다.
1590년(선조 23)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1593년 승정원가주서(承政院假注書)가 되었으며 주서·세자시강원문학(世子侍講院文學)·예조정랑을 지냈다.
1596년 사간원헌납이 되었는데, 이 때 삼척부사 홍인걸(洪仁傑)이 왜적 포로 가운데 우리나라 사람이 있으므로 이를 관찰사에게 압송하려 했다. 그러나 술에 취한 아우 홍인간(洪仁侃)이 동족을 해친 자들이라 하여 살해했다.
그런데 이에 대해 마치 공상(功賞)을 탐낸 나머지 참살한 것처럼 무고한 의금부당상(義禁府堂上)·색낭청(色郎廳)의 파직을 건의했다.
또한, 행정 능력이 없는데다가 아들 혼사에 민간으로부터 재물을 징렴한 덕천군수(德川郡守) 정대길(鄭大吉)과 매사를 하리(下吏)들에게 물어서 처리해 하리들의 조롱을 받고 민간을 침학해 피해를 입힌 서산군수 박규영(朴葵英)의 파직을 상소했다.
1597년 사헌부지평이 되어 조운(漕運)에 태만한 군자감정(軍資監正) 유사원(柳思援), 사사로운 가정일에 역마(驛馬)를 사용한 통제사종사관(統制使從事官) 윤동로(尹東老)의 파직을 상소했다.
이어서 장령·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집의(執義)를 거쳐 이듬해 사간이 되었다. 이 때 경상도관찰사에 30세의 연소한 이시발(李時發)이 임명되자, 병란으로 피해가 클 뿐만 아니라 왜적과 대치한 중요한 곳임을 들어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 바꿀 것을 건의했다.
1599년 승지·병조참판을 거쳐 이듬해 경기도관찰사가 되었으며, 그 해 주문사(奏聞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다시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양주(楊州)·광주(廣州) 일대에 호랑이가 나타나 그 피해가 크자 이를 포획하지 못한 책임으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1601년에 안변부사, 1604년에 동지중추부사에 이어 형조참판을 역임하고, 1606년에는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를 역임한 뒤 1608년에 대사간이 되었다.
[문과] 선조(宣祖) 23년(1590) 경인(庚寅) 대증광시(大增廣試) 병과(丙科) 15위(25/40)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타과 1590년(선조 23)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 병과(丙科) 15위
부모구존 자시하(慈侍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호(南琥)[進]
품계 : 중훈대부(中訓大夫)
관직 : 행개성부도사(行開城府都事)
[처부(妻父)]
성명 : 정윤복(丁胤福)[文]【補】(주3)
본관 : 나주(羅州)【補】
[안항(鴈行)]
형(兄) : 남이인(南以仁)
제(弟) : 남이공(南以恭)[文]
제(弟) : 남이순(南以順)
[주 1]호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주 2]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처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출전]
『무자식년사마방목(戊子式年司馬榜目)』(경상대학교 문천각[古(단지) E1 사31])
남호(南琥)
[진사] 선조(宣祖) 1년(1568) 무진(戊辰)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43위(73/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B0A8D638FFFFB1536X0
자(字) 중헌(仲獻)
생년 병신(丙申) 1536년 (중종 31)
합격연령 33세
본인본관 의령(宜寧)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별좌(別坐)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응운(南應雲)[進]
품계 : 가선대부(嘉善大夫)
관직 :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
[안항(鴈行)]
형(兄) : 남관(南琯)
제(弟) : 남위(南瑋)
제(弟) : 남근(南瑾)[進]
[출전]
『융경2년무진년증광사마방목(隆慶二年戊辰年增廣司馬榜目)』(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고350.48 융01])
남응운(南應雲)
[진사] 중종(中宗) 26년(153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59위(89/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B0A8C751C6B4B1509X0
자(字) 경원(景遠)(주1)
호(號) 국창(菊窓)【補】(주2)
생년 기사(己巳)(주3)【補】 1509년 (중종 4)
졸년 정해(丁亥)(주4)【補】 1587년 (선조 20)
향년 79세
합격연령 23세
본인본관 의령(宜寧)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 전기에, 승정원주서, 길주목사,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치원(致遠), 호는 국창(菊窓)·난재(蘭齋)·관원(灌園).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삭령군수 남변(南忭), 아버지는 참판 남세건(南世健), 어머니는 이윤식(李允湜)의 딸이다.
1535년(중종 30)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1537년 교서관검열, 이듬해 승정원주서가 되었다. 이때 춘당대의 시예에서 제술로 입격해 반숙마(半熟馬) 한필을 하사받았다.
김안로(金安老)의 탄핵에 앞장서기도 했으나 춘추관기사관을 겸하면서 사관직(史官職)을 소홀히 한 잘못으로 탄핵을 받고 추고(推考)되었다.
이어 외직인 강계판관이 되었다. 이때 변방의 야인들이 자주 침범해 백성들을 괴롭히는 것을 경험하고 뒤에 내직으로 돌아와서 야인에 대한 강경책을 주장했다.
1545년(인종 1) 사성으로 참교를 겸직했고, 춘추관 편수관이 되어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했다.
1546년(명종 1) 장령이 되어 다음 해 을사사화 이후에 남아 있던 대윤 세력의 근절을 주장하기도 했다.
1549년 장령으로서 양사(兩司)의 관원과 함께 이기(李芑)·윤인경(尹仁競)·정순붕(鄭順朋) 등의 국정 천단을 탄핵하다가 실패했다.
마침 북방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길주목사(吉州牧使)로 임명되었다.
1551년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장례원판결사·좌부승지·우부승지·참찬관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1554년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그 뒤 1557년 형조와 병조의 참의, 1559년 우승지·함경도병마절도사, 1561년 동지중추부사, 1564년 경기도관찰사, 1565년 경상도관찰사 등을 두루 역임했다.
1584년(선조 17) 공조참판에 이르렀다.
일찍이 서총대(瑞葱臺)의 시예에서 문과·무과에 모두 합격하는 등 문무를 겸비해 남병사(南兵使)를 세 번이나 역임하는 등 북방의 전략에 밝았다.
상례에도 밝아서 선조 초년 복상 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세종 때 제정한 『오례의(五禮儀)』에 따를 것을 주장했고,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었다. 특히 전서와 주서에 능해 많은 비에 전서를 썼다.
현재 남아 있는 작품으로는 개성에 있는 서화담경덕비(徐花潭敬德碑), 운봉에 있는 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과천의 허엽신도비(許瞱神道碑), 장단에 있는 허종신도비(許琮神道碑) 등의 전서가 있다.
[문과] 중종(中宗) 30년(1535) 을미(乙未)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2위(04/07)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타과 1535년(중종 30) 을미(乙未)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 병과(丙科) 2위
부모구존 ○○하(○○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세건(南世健)[進]
품계 : 조산대부(朝散大夫)
관직 : 수홍문관응교(守弘文館應敎)
관직 : 지제교(知製敎)
겸직 : 겸 경연시강관(兼經筵侍講官)
겸직 : 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
겸직 :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
[처부(妻父)]
성명 : 신세량(辛世良)【補】(주5)
본관 : 미상(未詳)
[주 1]자 : 『가정10년【중묘26년】신묘8월방목(嘉靖十年【中廟二十六年】辛卯八月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6]) 내의 합격 기록에는 자가 "희원(希遠)"으로 나옴.
[주 2]호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주 3] 생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4]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5]처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출전]
『가정10년신묘8월○일사마방목(嘉靖十年辛卯八月○日司馬榜目)』(국사편찬위원회[MF A지수208]
남세건(南世健)
[진사] 중종(中宗) 2년(150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56위(86/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B0A8C138AC74B1484X0
자(字) 자강(自强)
생년 갑진(甲辰)(주1)【補】 1484년 (성종 15)
졸년 임자(壬子)(주2)【補】 1552년 (명종 7)
향년 69세
합격연령 24세
본인본관 의령(宜寧)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 전기에, 대사성,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백순(伯順).
할아버지는 내섬시부정 남칭(南稱)이고, 아버지는 군수 남변(南忭)이며, 어머니는 좌참찬 이훈(李塤)의 딸이다.
1524년(중종 19) 참봉으로서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29년 지평·부수찬·부교리·시독관을 거쳐 이듬해 교리가 되었다.
1531년 응교·전한을 역임하고 이듬해 시강관이 되어 기강이 해이해짐을 바로잡을 것을 주장하였다.
1533년 직제학이 되고 이듬해 대사간·동부승지·우부승지를 거쳐서 1535년 우승지가 되었다.
1536년 병조참판에 이어 충청도관찰사로 나갔으며, 이듬해 호조참판·대사헌을 역임하고 1541년 전주부윤, 1542년 한성부좌윤이 되었다.
1544년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인종이 즉위하자 가선대부(嘉善大夫)로서 호조참판이 되고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545년 명종이 즉위하자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로서 사은 겸 주문진하사(謝恩兼奏聞進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 1546년 형조참판에 이어 이듬해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가 되었다.
1548년(명종 3) 경기도관찰사로 나가 흉년으로 인해 곤핍해진 민생을 돕고 백성들의 기근을 구제하는 데 온 힘을 다하였다. 또한 충효한 사람 및 절개를 지킨 부녀자들을 포상할 것을 왕에게 상소하였다.
1549년 공조참판이 되고 이듬해 대사성·호조참판이 되었다.
1551년 특진관이 되어 저화(楮貨)를 사용하자는 당시의 의논에 대하여 백성들이 기뻐하지 않으며 이전에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이유로 반대하였다.
[문과] 중종(中宗) 19년(1524) 갑신(甲申) 별시(別試) 병과(丙科) 16위(20/30)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타과 1524년(중종 19) 갑신(甲申) 별시(別試) 문과(文科) 병과(丙科) 16위
부모구존 ○○하(○○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변(南忭)[進]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삭녕군수(朔寧郡守)
[처부(妻父)]
성명 : 이윤식(李允湜)【補】(주3)
본관 : 성주(星州)【補】
[안항(鴈行)]
형(兄) : 남세웅(南世雄)[進]
형(兄) : 남세형(南世衡)
형(兄) : 남세평(南世枰)
형(兄) : 남세준(南世準)[進]
형(兄) : 남세칙(南世則)【補】
제(弟) : 남세언(南世彦)
[주 1] 생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2] 졸년 : 『동원집(東園集)』 卷之2, 墓碣文, [가선대부 예조참판 겸 동지경연춘추관사 남공묘비명(嘉善大夫禮曹參判兼同知經筵春秋館事南公[世健]墓碑銘)]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 처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선원록(璿源錄)』 권18, [太宗大王宗親錄](23b쪽)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주 4] 안항 : 『모재집(慕齋集)』 卷之13, 墓碣銘, [고통훈대부 삭녕군수 남공묘갈명(故通訓大夫朔寧郡守南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정덕2년정묘9월초7일사마방목(正德二年丁卯九月初七日司馬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K 2291.7 1746(1507)])
남변(南忭)
[진사] 성종(成宗) 11년(14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25위(30/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B0A8BCC0FFFFB1454X0
자(字) 숙구(叔懼)
생년 갑술(甲戌)(주1)【補】 1454년 (단종 2)
졸년 기미(己未)(주2)【補】 1499년 (연산군 5)
향년 46세
합격연령 27세
본인본관 의령(宜寧)【補】(주3)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선교 예빈봉사(宣敎禮賓奉事)
부모구존 ○○하(○○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이(南儞)(주4)
품계 : 중직대부(中直大夫)
관직 : 전행형조정랑(前行刑曹正郞)
[처부(妻父)]
성명 : 이훈(李塤)【補】(주5)
본관 : 한산(韓山)【補】
[주 1] 생년 : 『모재집(慕齋集)』 卷之13, 墓碣銘, [고통훈대부 삭녕군수 남공묘갈명(故通訓大夫朔寧郡守南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2] 졸년 : 『모재집(慕齋集)』 卷之13, 墓碣銘, [고통훈대부 삭녕군수 남공묘갈명(故通訓大夫朔寧郡守南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 본관 : 『모재집(慕齋集)』 卷之13, 墓碣銘, [고통훈대부 삭녕군수 남공묘갈명(故通訓大夫朔寧郡守南公墓碣銘)]을 참고하여 본관을 추가.
[주 4] 부 : 『모재집(慕齋集)』 卷之13, 墓碣銘, [고통훈대부 삭녕군수 남공묘갈명(故通訓大夫朔寧郡守南公墓碣銘)]에는 부가 "남칭(南偁)"으로 나옴.
[주 5] 처부 : 『모재집(慕齋集)』 卷之13, 墓碣銘, [고통훈대부 삭녕군수 남공묘갈명(故通訓大夫朔寧郡守南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출전]
『성화16년경자3월초3일사마방목(成化十六年庚子三月初三日司馬榜目)』(『세촌선생실기(細村先生實紀)』 卷之下, 李文佐, 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57-가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