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自嘆(자탄)1(스스로 탄식하다)
嗟乎天地間男兒(차호천지간남아) 아, 이 세상 남자들이여!
知我平生者有誰(지아평생자유수) 평생 나를 알아줄 사람 뉘 있으랴
萍水三千里浪跡(평수삼천리랑적) 부평초처럼 삼천리를 떠돌던 흔적 있지만
琴書四十年虛詞(금서사십년허사) 40년 동안 글공부는 모두 헛것이로다
靑雲難力致非願(청운난력치비원) 청운의 뜻은 어려워 원하지도 않았지만
白髮惟公道不悲(백발유공도불비) 백발은 인생의 길이라 슬퍼하지 않겠네
驚罷還鄕夢起坐(경파환향몽기좌) 꿈속에 고향 가는 꿈, 깜짝 놀라 일어나 앉으니
三更越鳥聲南枝(삼경월조성남지) 삼경에 새 한 마리, 남쪽 가지에서 우는구나
*위 시는 “현대시의 감각으로 풀이한 김갓갓 시집(金笠詩選集)(정민호 역저)”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입니다. 역저자는 “위 시는 김삿갓 시인이 자기 인생을 탄식하는 노래다. 이 세상 남자로 태어나서 사나이의 뜻을 펴지 못하고 부평초처럼 떠돌아다니는 자신이 한없이 싫은 적도 있었고, 한때는 글을 읽어 출세할 생각도 있었으나 모든 것은 허무하게 끝나고 비관 속에 삼천리를 떠돌아다니는 신세가 되고 보니 잠 속에서 꿈꾸다가도 놀라 일어나 앉게 된다. 이렇게 떠도는 김삿갓은 자신을 후회하고 탄식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감상평을 하였습니다.
*김삿갓[1807 ~ 1863, 본명 김병연(金炳淵),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심(性深), 호는 난고(蘭皐),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고 부름, 아버지는 김안근(金安根)으로 경기도 양주에서 출생]은 조선 후기의 시인으로 1811년(순조 11) 홍경래의 난 때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던 조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였기 때문에 연좌제의 의해 멸족되어 당시 6세였던 그는 하인 김성수(金聖洙)의 구원을 받아 형 병하(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도망가서 살다 그 다음에 집안이 멸족에서 폐족으로 사면되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와 살게 되었다.
과거에 응시하여 김익순의 행위를 비판하는 내용으로 답을 적어 장원급제하였는데, 김익순이 자신의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난 후 조상에 대한 죄를 지었다고 생각하고 벼슬을 버리고 20세 무렵부터 머나먼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고,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전남 화순)에서 57세로 객사하였다. 유해는 영월군 태백산 기슭에 있으며, 1978년 그의 후손들이 광주 무등산에 시비를 세우고, 1987년에는 영월에 시비가 세워졌다. 작품으로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있다.
*정민호(鄭旼浩, 1939~, 본관 迎日, 아호 丁巴,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과 졸업)-조부 학강(鶴岡)으로부터 한문 수학, 1966년 ‘思想界’ 신인문학상 당선으로 문단 등단, 현역 문단인(시인)으로 활동, 경북문화상, 한국문학상, 한국pen문학상, 한국예총 예술대상 등, 포상으로는 녹조근정훈장(대통령), 예총경주지부장, 경북문인협회장 등 역임, 현재 경주향교 사회교육원 한문지도 강사, 경주문예대학 원장, 시집으로 “꿈의 耕作” 외 15권, 산문집 “시인과 잃어버린 팬티”등, 국역으로 “論語抄”, “鶴岡詩集”, “五言唐音”, “七言唐音”, “唐詩選集”, “교양 明心寶鑑”, “三國史記”, “三國遺事”, “唐詩의 이해와 감상”, “한국인의 한시(漢詩)” 등 다수.
*嗟乎(차호) : 아, 슬프다.
琴書(금서) : 중요한 글공부
虛詞(허사) : 헛된 것이다. 詞는 호소하는 뜻을 강조
越鳥(월조) : 월나라의 새, 문선(文選)의 “행행중행행(行行重行行)(가고 가고 거듭 가고 가다)”에 나오는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호마는 북풍에 몸을 기대고, 越鳥巢南枝(월조소남지) 월조는 남쪽 가지에 둥지를 튼다(깃든다)”는 구절을 인용한 것.
첫댓글 그의 삶이 참 안타깝지요...
후회와 탄식의 삶이 번뇌로 다가온 듯 합니다...
애환이 가득한 그의 시는 백성의 한이 서린 시가 아닐까요...
네, 회장님의 시 해석이 탁월하네요,
백성의 한을 대변한다는 말이 깊이 와 닿습니다.
멋진 댓글에 감사드리고,
행복한 금요일과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