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정된 제품은 반드시 안전인증 취득해야 수출·판매 가능 -
- 캐나다 표준위원회 지정 공인인증기관 꼼꼼히 살펴봐야 -
□ 캐나다 전기·전자제품 인증 개요
◦ 캐나다에서는 대다수의 전기·전자제품이 안전인증을 취득해야 유통·판매·홍보·사용이 가능함
◦ 캐나다 인증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캐나다 표준위원회(SCC, Standards Council of Canada)*는 인증발급기관을 별도로 지정해 놓고 있으며, 이외의 기관에서 발급 받은 인증은 캐나다 내에서 인정되지 않음
* 캐나다 표준위원회(SCC): 캐나다 국가 표준 관련 규정과 지침을 제정 및 개폐하는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 산하 정부기관(Crown Corporation)
SCC가 지정한 주요 공인 인증기관
기관명 | 웹사이트(클릭 시 이동) |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CSA) | |
Underwriters Laboratories of Canada(ULC)* | |
Curtis-Straus LLC | |
Electrical Safety Authority Field Evaluation(ESAFE) | |
FM Approvals | |
IAPMO Research and Testing Inc. | |
Intertek Testing Services | |
Lab Test Certification Inc. | |
Met Laboratories Inc.(MET) | |
Nemko North America Inc. | |
NSF International | |
OMNI-Test Laboratories Inc. | |
QPS Evaluation Services Inc. | |
QAI Laboratories Ltd. | |
SGS North America Inc. | |
TÜV SÜD America Inc. | |
TÜV Rheinland of North America Inc. |
자료원: 캐나다 표준위원회(SCC)
◦ 가장 대표적인 인증기관은 캐나다 표준협회(CSA,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이며, 이 협회가 발급하는 CSA 인증은 캐나다의 모든 지역에서 인정받을 수 있음
- 캐나다는 전국적으로 전기·전자제품 관련 법령 제정 시 CSA 규정 중 하나인 캐나다전기규약(CE Code Part I)을 참조
* CE Code Part I: 전기설비 설치자, 규제 기관, 소비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만든 전기 안전 표준으로, 최신 기술 및 발전 사항을 반영해 3년 주기로 업데이트
- 때문에 지역별로 상이한 인증제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CSA인증은 캐나다 전역에서 인정되고 있음
- 특히, 가스연소기구, 전기기구 등 위험 품목으로 분류돼 있는 경우는 CSA 규격 기준을 따르도록 강제하고 있음
CSA 개요
정의 | * CSA(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 캐나다표준협회 |
규격 | * 캐나다의 전기·전자제품 안전 및 강제규격 * 가스연소기구, 전기기구 등 위험성이 높은 제품에 대해서는 강제규격이며, 품질관리 등 위험성이 없는 제품은 임의규격임 |
관련기관 | * 캐나다 본사: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www.csagroup.org) * CSA 한국 사무소: CSA코리아(www.csagroup.org/south-korea/) * 한국 내 업무제휴기관: 한국산업기술시험원(www.ktl.re.kr) |
대상품목 | * 가정·상업용 전기·전자제품, 산업용기기, 소비재, 생명과학(의료기기 포함), 에너지, 오일·가스,건축용품, 정보통신기술(ICT) 등 8개 산업분야의 1,800개 이상의 품목 |
인증절차 | ①예비신청 → ②본신청서작성·송부 → ④시험실시 → ⑤평가서 통보 → ⑥승인심의 및 인증결과통보 → ⑦협약서 작성 → ⑧공장실사(한국산업기술시험원) → ⑨CSA라벨 발급 |
인증마크 | |
참고 | * CSA는 2003년 UL과 MOU를 체결한 바 있음 * 이는 북미지역 전기·전자 수출 제조업자들의 인증 취득절차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함임 |
자료원: CSA, KOTRA 토론토 무역관 정리
◦ ULC(Underwriters Laboratories of Canada)는 미국 인증기관 UL의 캐나다 지사로서, 캐나다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C-UL, cUL 인증 발급 기관
ULC 인증마크
자료원: UL Canada
◦ CSA, ULC 인증의 경우 전국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진출하고자 하는 지역이 특정 주(또는 준주)에 국한되는 경우 해당 주의 법령을 확인해 그에 맞는 인증을 취득해야 함
□ 지역(주·준주) 별로 상이한 인증제도 관련 법령
◦ 전기·전자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책임과 인증기관 선택 권한은 각 지방정부가 가지고 있음
- 제품에 따라 각 주별로 상이한 법과 감독 기관의 규제가 존재
- 따라서 우리 기업은 제품을 수출하고자 하는 대상지역의 규제에 대한 충분한 사전조사가 필요함
각 지역별 전기·전자관련 주요 기관 및 법령
지역명(주·준주) | 관련 기관 | 관련 법령 |
Ontario (온타리오) | * Electrical Safety Authority(ESA) | * Ontario Electrical Safety Code * Ontario Regulation 438/07 |
Quebec (퀘벡) | * Approval of Electrical Equipment - Régie du bâtiment du Québec (RBQ) | * The Canadian Electrical Code * The Building Act |
Alberta (앨버타) | * Alberta Municipal Affairs | * Safety Codes Act * Electrical Code Regulation * The Canadian Electrical Code (Section 3) |
British Columbia (브리티시 컬럼비아) | * Technical Safety BC (前 BC Safety Authority) | * Safety Standards Act * Electrical Safety Regulation * The Canadian Electrical Code (Section 20) |
Saskatchewan (서스캐처원) | * SaskPower | * The Electrical Inspection Regulations * Electrical Inspection Act |
Manitoba (매니토바) | * Manitoba Hydro | * Manitoba Electrical Code * Manitoba Electrical Code Regulation * The Canadian Electrical Code |
Nova Scotia (노바스코샤)
| * Government of Nova Scotia, Department of Labour and Advanced Education | * Electrical Code Regulations * Electrical Installation and Inspection Act |
New Brunswick (뉴브런즈윅) | * Government of New Brunswick | * Electrical Installation and Inspection Act |
Newfoundland and Labrador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 Government of Newfoundland and Labrador | * Newfoundland and Labrador Electrical Regulations * Public Safety Act |
Prince Edward Island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 * Government of Prince Edward Island | * Electrical Protection Act of the Province of Prince Edward Island * The Canadian Electrical Code |
Northwest Territories (노스웨스트 준주) | * Government of Northwest Territories | * Electrical Protection Regulations * Electrical Protection Act |
Yukon (유콘) | * Government of Yukon | * Electrical Protection Regulation * Electrical Protection Act |
Nunavut (누나부트) | * Government of Nunavut Territory, Department of Community and Government Services | * The Electrical Act (Technical Standards & Safety Act * Nunavut Electrical Protection Act * Technical Standards & Safety Act |
자료원: UL Canada, 관련 기관 웹사이트
주) 지역별 순서는 경제규모 순
□ 온타리오 주 전기·전자제품의 인증 및 관련 규제
◦ 온타리오 주는 전자제품·장비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전기안전청(ESA, Electrical Safety Authority)에서 관리감독을 하고 있음
- ESA의 주요 시행 규정은 Ontario Regulation 438/07로서 전자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사건, 사고 등에 대해 ESA에 보고해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룸(참고: ESA, 클릭 시 이동)
◦ SCC가 지정한 공인인증기관 가운데 한 곳의 인증만 취득하면 올타리오 주 수출에 필요한 법적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음
- 하지만 정부가 지정한 특정 위험품목에 한해선 CSA 획득이 의무사항임
- 인증을 받은 제품은 안전성을 증명하는 감독기관의 공식 마크나 라벨을 부착해야함
-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게되면 제조사는 최대 100만 캐나다달러에 달하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이사·임원은 최대 5만 캐나다달러의 벌금 또는/ 및 1년 이하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음
온타리오 주의 공인된 인증 마크
자료원: ESA
◦ 온타리오 주의 경우, 'ESA의 제품 등록제도'와 같은 전자제품 추가 규제가 존재했으나, 현재는 중단(Suspended)된 상황
- 2007년 제정된 Ontario Regulation 438/07은 모든 전기제품 제조업체들이 온타리오 주 ESA에 제품을 등록하는 것을 법제화함
- 그러나 연방정부의 캐나다소비재안전법(Canada Consumer Product Safety Act) 제품 안전 요구사항이 주정부 규제와 여러 면에서 중복되는 점을 감안해 제조업체 등록제도를 중단함
□ 온타리오 주 승인 제외 대상
◦ 인증 취득이 의무임에도 불구하고 온타리오 주의 경우 몇 가지 품목 및 상황에 대해 예외를 두고 있음
◦ 전시회 출품의 경우 인증 취득이 필요하지 않음. 단, ESA에 사전 통보하고 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전시가 가능하며 인증이 없는 경우 전시장 내에서의 제품 작동은 불가능함
- 2016년 캐나다 건축박람회에 참가했던 한국 업체 A사는 인증을 취득하지 않아 전시회 관계자로부터 전등의 전원을 끄도록 요구받은 바 있음
- 전시회 출품 허가의 경우 효력범위는 그 지역으로 한정되며 다른 지역에서는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유의해야 함
- 전시회 출품 허가 등록서는 관련 웹사이트 참고(Permission to Show, 클릭 시 이동)
◦ 그 외 건전지로 작동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경우도 인증 취득 불요
- 최근 KOTRA 토론토무역관은 한국에서 유행하는 USB 충전식 휴대용 미니 손선풍기 인증 관련 문의를 접수하고 ESA를 접촉한 결과, 해당 제품은 승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확인함(참고: ESA 승인 제외 품목, 클릭 시 이동)
휴대용 미니 손선풍기(예시)
자료원: Walmart
온타리오 주 승인 대상 제외 품목
구 분 | 내 용 |
Exception to approval requirements based on Rule 2-022(2) | Equipment displayed at trade shows |
Equipment connected to the output of Class 2 power supply or equivalent | |
Battery-operated equipment that is portable | |
Equipment, by design, inteded for use outside of Ontario | |
Additional exception to product approval requirements | Fluorescent and HID Lamps, Not Self-Ballasted |
Revenue Billing Devices, Electricity Meters |
자료원: ESA
□ 수출 시 유의사항 및 시사점
◦ 미국 UL을 획득한 경우에도 바이어가 CSA나 ULC 인증 획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ULC는 UL과 별개로 신청해야 함
- 캐나다 UL과 ULC는 같은 기관에서 발급하지만 캐나다 바이어들은 주로 ULC를 선호하기 때문에 UL 취득은 캐나다 시장 진출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는 않음
- 우리 기업은 캐나다 시장 진출을 위해 UL 취득 시 ULC도 함께 신청하는 방안도 고려해야함
- 일반적으로 UL인증을 보유한 경우 ULC인증 획득은 UL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짐
◦ CSA 소속 Patrick씨에 따르면, CSA에 직접 인증 취득을 신청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인증 취득 비용을 밝히지 않고 있음
- 이는 제품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발생비용이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함
- 또한, 인증 신청 기업이 적극적으로 증빙자료를 제출할 경우 인증취득에 소요되는 기간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함
◦ 수출 품목이 승인 제외대상에 해당되더라도, 캐나다 바이어들은 안전성을 위해 CSA, ULC 등 주요 인증을 취득한 업체와의 거래를 선호
- 따라서 우리 기업은 제품 제작 초기단계부터 안전성 등 요구 조건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
- 지역별 제품 안전 체제에 대한 상세 문의 내용은 각 관할지역 검사당국에 직접 연락하는 방안을 권고함
자료원: 캐나다 표준위원회(SCC), 온타리오 주 전기안전청(ESA)·관계자 인터뷰, ULC, Walmart, 캐나다표준협회(CSA)·관계자 인터뷰 및 KOTRA 토론토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