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국어연구원의 <새국어소식>에서 가져왔습니다.
|
임동훈 / 국립국어연구원 |
임동훈 / 국립국어연구원 |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ㅔ’ 발음과 ‘ㅐ’ 발음을 구별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서울 토박이 중에서도 ‘ㅔ’ 발음과 ‘ㅐ’ 발음을 똑똑히 구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특히 ‘ㅔ’와 ‘ㅐ’가 단어의 첫음절이 아닐 때에는 더욱 그렇다. 이런 발음상의 어려움 때문인지 요즘 들어 ‘-데’와 ‘-대’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데’와 ‘-대’의 의미와 용법을 분명히 인식하면 발음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 둘을 훌륭히 구별할 수 있다.
(1) (어제 보니까) 혜정이가 참 예쁘데. (2) (사람들이 그러는데) 혜정이가 참 예쁘대.
(1)은 ‘-데’가 쓰인 예이고 (2)는 ‘-대’가 쓰인 예인데 그 뜻이 무척 다르다.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어미로서 “…더라”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데 비해 ‘-대’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따라서 ‘-데’가 쓰인 예에는 (1)에서 보듯이 ‘어제 보니까’처럼 화자의 경험임을 나타내는 말이 더 붙을 수 있고 ‘-대’가 쓰인 예에는 (2)에서 보듯이 ‘사람들이 그러는데’처럼 남의 말임을 나타내는 말이 더 붙을 수 있다.
‘-데’는 아래 (3), (4)에서 보듯이 형용사, 동사 및 서술격조사의 어간이나 선어말어미 ‘-시-’, ‘-었-’, ‘-겠-’ 뒤에 붙어 평서형, 감탄형이나 의문형 문장을 만든다. ‘-데’는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더-’가 들어간 형태에서 발달하였는데, 이 점에서 ‘-데’의 앞에는 ‘-더-’의 앞에 올 수 있는 어간이나 어미가 다 올 수 있고 ‘-데’의 의미는 “…더라”, “…던가?”와 비슷하다. 즉 (3ㄱ, ㄴ, ㄷ)의 ‘-데’는 “…더라”처럼 해석되고 (4)의 ‘-데’는 “…던가?”처럼 해석된다.
(3ㄱ) 어제 보니까 혜정이가 참 예쁘데. / 사진을 보니 옛날에는 참 예뻤겠데. <형용사 뒤> (3ㄴ) 그 아이가 밥을 잘 먹데. / 철수도 왔데. <동사 뒤> (3ㄷ) 곁에서 보니 참 훌륭한 신랑감이데. <서술격조사 뒤> (4) 신부가 그렇게 예쁘데? / 그 사람 키가 크데? / 밖에 누가 왔데? / 얼마나 되데? <의문형> |
첫댓글 국어 시간 공부 하구 감다 ㅎㅎㅎ
특별히 열심 하셔야 됨다~ ㅋㅋㅋ
알쓰요. 치 흥 ㅎㅎㅎ
표준어를 사용합시다아~~ ^^
내래 북한말도 모름시러 두유 노우 노오스 코리언? 북한말로 번역하면 북조선 말 앙까? 애렵쇼. ㅎㅎㅎ
누가 그러대... 서부님 이장 짤렸데... 라구.... (응용 한번 해 봤슈...ㅋㅋ)
치 흥
하하하하.ㅎㅎㅎ하나언니랑 이장님이랑 젓가락 같아여.ㅎ.ㅎㅎㅎ
원래 국제어가 전공 이잔우. 그래야 글 쓰지. ㅋㅋㅋ
야.우리말이.너무나도.어렵네요.영헷갈려서.수용님.그냥.둥글.둥글.넘어가자구요.글쓰기가겁이나요.ㅋㅋ
좋은거 배웠네여....화자의 직접적인 경험은 데....전언은 대...이제사 배웠습니다~ 감사...
흔히 사용하면서도 맞춤 법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때가 많았는데요. 오늘 보니 뜨끔해 집니다.^^;;;
한국말인데 까다로워 ㅎㅎㅎ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