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自詠(자영)(스스로 시를 읊다)
寒松孤店裏(한송고점리) 차가운 소나무 외로운 주막에서
高臥別區人(고와별구인) 높은 곳에 누우니 딴 세상 사람 같네
近峽雲同樂(근협운동락) 산골짝 근처에 구름과 함께 즐기고
臨溪鳥與隣(임계조여린) 개울가에서는 새와 더불어 이웃하네
錙銖寧荒志(치수영황지) 하찮은 세상일로 어찌 내 뜻 거칠게 하랴
詩酒自娛身(시주자오신) 시와 술로 내 몸 즐겁게 하리라
得月卽寬憶(득월즉관억) 달이 뜨면 옛 추억에 젖기도 하고
悠悠甘夢頻(유유감몽빈) 유유하게 단꿈도 자주 꾸어보리라
*위 시는 “현대시의 감각으로 풀이한 김갓갓 시집(金笠詩選集)(정민호 역저)”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입니다. 역저자는 “방랑하면서도 한때는 자기 감상에 젖어보기도 한다. 그리고 어릴 때의 추억도 떠올려본다. 하늘의 구름과 밝은 달, 개울가에 가서는 산새와도 대화를 하고 유유자적하게 시주(詩酒)를 벗삼아 아름다운 추억과 꿈을 꾸는 시간도 가져본다. 방랑하는 사람이라고 어찌 한때의 즐거움이 없겠는가?”라고 감상평을 하였습니다.
*김삿갓[1807 ~ 1863, 본명 김병연(金炳淵),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심(性深), 호는 난고(蘭皐),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고 부름, 아버지는 김안근(金安根)으로 경기도 양주에서 출생]은 조선 후기의 시인으로 1811년(순조 11) 홍경래의 난 때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던 조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였기 때문에 연좌제의 의해 멸족되어 당시 6세였던 그는 하인 김성수(金聖洙)의 구원을 받아 형 병하(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도망가서 살다 그 다음에 집안이 멸족에서 폐족으로 사면되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와 살게 되었다.
과거에 응시하여 김익순의 행위를 비판하는 내용으로 답을 적어 장원급제하였는데, 김익순이 자신의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난 후 조상에 대한 죄를 지었다고 생각하고 벼슬을 버리고 20세 무렵부터 머나먼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고,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전남 화순)에서 57세로 객사하였다. 유해는 영월군 태백산 기슭에 있으며, 1978년 그의 후손들이 광주 무등산에 시비를 세우고, 1987년에는 영월에 시비가 세워졌다. 작품으로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있다.
*정민호(鄭旼浩, 1939~, 본관 迎日, 아호 丁巴,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과 졸업)-조부 학강(鶴岡)으로부터 한문 수학, 1966년 ‘思想界’ 신인문학상 당선으로 문단 등단, 현역 문단인(시인)으로 활동, 경북문화상, 한국문학상, 한국pen문학상, 한국예총 예술대상 등, 포상으로는 녹조근정훈장(대통령), 예총경주지부장, 경북문인협회장 등 역임, 현재 경주향교 사회교육원 한문지도 강사, 경주문예대학 원장, 시집으로 “꿈의 耕作” 외 15권, 산문집 “시인과 잃어버린 팬티”등, 국역으로 “論語抄”, “鶴岡詩集”, “五言唐音”, “七言唐音”, “唐詩選集”, “교양 明心寶鑑”, “三國史記”, “三國遺事”, “唐詩의 이해와 감상”, “한국인의 한시(漢詩)” 등 다수.
*錙銖(치수) : (저울눈 치), (저울눈 수), 미세한 무게의 저울 눈. 극소량이나 미세한 물건을 일컬음. 무게의 단위. 아주 작은 무게. 조금. 얼마. 하찮은 물건이나 일.
悠悠(유유) : 1아득하게 먼 모양(模樣), 2때가 오랜 모양(模樣), 3침착(沈着)하고 여유(餘裕)가 있는 모양(模樣).
첫댓글 외로움에 가슴속에 스치는 나의 삶의 회한....
그 회한속에서도 아름다웠던 순간들....
하지만 그것은 추억의 일부분이고.....
ㅎ, 회장님 취중에 댓글을 다신 듯 감성이 깊게 묻어나네요,
댓글에 감사드리고,
이번 주도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