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오 기미 (戊午 己未)
무는 5 이고 오는 9 이며 기도 9 이고 미는 8 이라 합하면 31 인데 49에서 제하면
18이 남고 5로 나누면 3 이 남으니 3은 목이라 목이 생해는 주는 것은 화 가 되므로
무오 기미는 납음오행을 화가 됩니다, 납음이라 함은 빛의 파동력을 의미한다고 이해해도
된다는 것을 전자에 소개 한 사실이 있읍니다,.
그런데 무오 기미 를 자세하게 보게되면
오는 화왕地 이고 未 중의 목이 다시 화를 생해주니 (기 을 정 중 을이 정화를 생해준다는 의미)
화 의 성품이 강하여 화는 염상이라 (불꽃은 위로 올라간다) 마치 하늘로 올라가는 불 을 상징하므로
천상화 라고 합니다.
무오는 광야를 달리는 말입니다, 무는 광야이고 오는 말이므로 하는 말입니다.
건조한 땅에 말이 뛰고 질주 해 보았자 먼지만 나지요,
또한 무오의 오는 제왕지격의 자오묘유의 하나입니다, 무에서 오를 12 운성으로 짚으면
제왕이 됩니다, 자존심이 상당하게 강한 기질을 가지고 있으며, 원래 흙이라는 것은 살리기도 하지만
죽이는 살법도 동시에 씁니다, 죽으면 땅으로 가는 이치를 말 하는 것입니다.
말인 오 는 그냥 뛰고 질주 해 보았자 의미가 없지요, 누구를 태워야 합니다, 누구를 태울까?
말을 다루는 것은 여성인경우는 남편을 태우므로 남자는 말날 태어난 여성을 만나면 복을 타고 났다고
하는 연유가 이것입니다, 남성이 말날 태어났다면 명예를 태워야 합니다, 말에 명예는 나무이지요
(오 화에 관성은 갑목)
기미일주라 한다면 아수라인데 양입니다, 양은 남자나여자나 뿔이나고 셈지가 달리지요.,
아수라인데 성품이 독합니다, 그리고 수염이 달려있어 양반소리를 잘 냅니다.
표상하여 직관하면 그렇다는 것입니다, 여성 사주에 양날 태어난 여성은 대부분 가주가 됩니다,
남자처럼 뿔이나고 셈지 달려 양반소리를 내기 때문입니다.
불이 많아 염상하는 겻은 대부분 욕망이 크다는 사실을 내포하여 성품을 재단하게 되는데
무오는 살권을 쓰지만 기미는 활권을 쓰게됩니다.
다시말하자면 무오는 죽이고 가르는 일을 해야 하지만
기미는 생명을 살리는 일을 도모해야 운세가 풀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오는 갑자가 공망이 되고 기미는 을축이 전생연이되는 것인데
갑자 을축은 해중금이고 무오 기미는 천상화 가 됩니다, 궁리 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신 신유 (庚申 辛酉)
경은 8 이고 신은 7 신은 7 유는 6 입니다 합하면 28 이고 49 에서 제하면 21이 남고
21을 5 로 나누면 1 이 남습니다 1은 水 이므로 수가 생하는 것은 목이니
목이 납음오행이 됩니다.
申 은 7월이 되고 酉 는 8월이 되는데 이때에 나무 인 木 은 절상(絶傷)하게 됩니다.
예리한 쇠로 목인 나무를 자르기 때문에 나무 입장에서는 절상이라
하는 것이지요.
오직 이때에는 석류은 가을지녁의 과실로서 성실하게 맺으므로 이를 석류목이라 이름합니다
금기운이 많은데 금기운이 많은즉 이 금기운은 자연하게 水 를 생하게 됩니다 (금생수)
수를 생하게 되면 木은 자연하게 또 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석류목은 금계절에 의존하여 생하므로 성실하는 것이되는 이치입니다.
경신 일주에 태어나면 用 은 불을 사용해야 합니다,
경신 의 쇠를 녹이면 쇠가 물처럼 용암이 흐르는 격이고 쓰고싶은 용도로
변화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개혁이라 이름하는데 이로서 종혁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신유는 음으로 예리한 금속인데 물이 필요합니다, 신유일생에는 물이 사주내에 주어지만
금속이 물속에 있으면 더욱더 반짝거립니다, 그러므로 신유일생에 물이 있으면
피부가 곱고 매끄럽고 하얗고 선남선녀 처럼 미남 미인이 많읍니다.
경신 신유는 12 운성으로 전부 건록지입니다, 당사자 자체가 강합니다.
경신 신유는 간여지동이라 천간과 지지가 동일한 오행이므로 남녀지간 이성지합에 특히
주의를 해야 합니다, 서로 같으므로 충돌을 하기 때문입니다.
임술 계미 (壬戌 癸해)
임은 6 이고 술은 5 이며 계도 5 이고 해는 4입니다. 합하면 20 가 되고 49 에서 제하면
29 이므로 5로 나누면 4 가 남아 금이 되므로 금은 수를 생하므로(금생수) 해당 임술 계미 는
납음오생이 수 가 됩니다.
水 는 戌 에 관대가 됩니다 (임에서 술을 12 운성으로 짚으면 관대)
亥 水 에 官 이 (건록) 이 되니 ( 임에서 해를 12 운성으로 잡으면 건록)
水 가 두텁고 왕한 바가 있읍니다.
또 亥 는 강수(江水:강물)에 비유되는데 강수가 크게 모이면 대해(大海)가 되므로
대해수 (大海水)가 됩니다.
임술 계해는 물이므로 물은 흘러가며 절충하는 노력을 하면 소기의 성과를 이룹니다.
전생연이 무진 기사 가 됩니다, 진과 사는 지망입니다.
진운과 사대운을 조신하고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삼가대운이 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읍니다.
이렇게 하여 납음오행의 60 갑자를 모두 소개 해 보았읍니다.
이를 한 묶음으로 세워 외우고 이해하고 궁리해야 합니다.
갑자을축은 해중금(海中金)
병인정묘는 로중화(爐中火)
무진기사는 대림목(大林目)
경오신미는 로방토(路傍土)
임식몌유는 검봉금(劍鋒金)
갑술을해는 산두화(山頭火)
병자정축은 윤하수(潤下水)
무인기묘는 성두토(城頭土)
경진신사는 백납금(白蠟金)
임오계미는 양류목(楊柳木)
갑신을유는 천중수(泉中水)
병술정해는 옥상토(屋上土)
무자기축은 벽력화(霹靂火)
경인신묘는 송백목(松栢木)
임진계사는 장류수(長流水)
갑오을미는 사중금(沙中金)
병신정유는 산하화(山下火)
무술기해는 평지목(平地木)
경자신축은 벽상토(壁上土)
임인계묘는 금박금(金箔金)
갑진을사는 복등화((覆燈火)
병오정미는 천하수(天河水)
무신기유는 대역토(大驛土)
경술신해는채천금(釵釧金)
임자신축은 상자목(桑柘木)
갑인을묘는 대계수(大溪水)
병진정사는 사중토(沙中土)
무오기미는 천상화(天上火)
경진신유는 석류목(石榴木)
임술계해는 대해수(大海水)
이상과같이납음오행 60 간지를 소개 했읍니다.
우선 한자음과 용어해설 등을 스스로 궁리하면서 해당 60 간지를 전부 이해해야 합니다.
이 납음오행은 주역64 괘를 이해하는 것 보다 우선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15 일 이후 이를 연결하여 월영도로 이해도를 돕기위한 이치로 들어가게 될 것입니다.
다음에 소개 하겠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