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민속문화재 122호인 안동하회마을을 감돌아 흐르는 낙동강은 길다. 그도 그럴 것이 함백산 황지연못에서 부산 을숙도의 하구로 빠져나가는 사이, 백두대간과 숱한 계곡을 굽이굽이 흐르지 않은가. 낙동강은 폭이 넓다. 굽이쳐 흐르며 강모래를 가장자리에 펼쳐놓았기 때문이다.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백두대간에서 풍화돼 강물에 실려온 모래는 금모래 은모래다. 모래가 있으므로 낙동강은 맑디맑다. 그래서 남생이도 많았다.
석영과 장석과 운모로 구성된 화강암 모래는 백두대간에서 낙동강 물길을 따라 굽이굽이 움직이면서 비교적 연한 운모가 마모돼 줄어들고, 그 자리를 미생물에게 내준다. 미생물은 모래 사이를 흐르는 강물을 정화하며 동물성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고 동물성 플랑크톤은 수서곤충의 먹이가 되며 수서곤충은 물고기와 남생이의 먹이가 된다. 물론 잡식인 남생이가 물고기를 날름 잡아먹기도 한다. 낙동강이 생기고 낙동강에 수서곤충과 물고기와 남생이가 들어온 이래 계속되었다. 회룡포와 하회마을에도, 낙동강 제1경 경천대에도 사람보다 훨씬 먼저 찾아와 제 몸을 의탁했을 것이다. 모래가 게 있는 한 그랬다.
모래 속까지 따뜻해지는 5월 말에서 7월이면 짝을 만나는 남생이는 장마로 물이 불어나도 안전한 호수나 강가의 햇살 좋은 모래, 또는 모래가 섞여 부드러운 흙을 뒷발로 판 뒤 파낸 구멍에 배설물을 뿌릴 것이다. 그래야 대여섯 개의 타원형 알이 단단해진 둥지에서 안전할 테니까. 천적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따뜻한 모래를 덮은 어미가 떠나고 두 달 뒤, 장마와 복중 무더위가 지나 아침저녁 산들바람이 불 때, 모래에서 나온 작디작은 남생이들은 사생결단으로 까치나 까마귀가 없는 물에 뛰어들 것이다. 바야흐로 가을 갈무리를 앞둔 삼라만상의 생명들의 몸이 토실토실할 때, 아직 껍질이 단단하지 않은 어린 남생이들도 수서곤충과 물풀을 뜯으며 내년을 기약해야 한다.
그런 남생이의 습성은 우리 하천과 호수에 허락 없이 귀화한 붉은귀거북과 비슷하다. 앙증맞은 녹색 거북을 사달라고 조르던 아이가 어느새 흥미를 잃어갈 때면 먹이 주고 배설물로 더러워진 물을 갈아주는 일은 엄마 몫. 주는 먹이를 잘도 삼키는가 싶더니 무럭무럭 손바닥만큼 자란 붉은귀거북은 앙증과 거리가 멀어진다. 아니 징그럽기까지 하다. 그럴 때 사람들은 방생을 도모한다. 생명체이므로 아무데나 내버릴 수 없으니 거북이가 살만한 호수나 강가 모래밭에 슬며시 내려놓는데, 이런! 그렇게 방생된 붉은귀거북이 한두 마리가 아니다. 지금은 보트장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새롭게 단장된 인천대공원의 호수는 커다란 붉은귀거북의 독무대였다. 상류에 서식했던 남생이는 자취를 감췄고.
다 자란 듯 보이는 남생이의 등딱지는 대개 15에서 25센티미터. 등뼈 쪽이 살짝 들려올라간 등딱지는 6각형 무늬가 선명한 갈색인데 옆구리와 배딱지가 단단하게 이어졌다. 그 안에 머리를 밀어 넣고 발톱이 날카로운 네 다리와 꼬리를 쏙 집어넣는다. 발로 톡톡 건드리며 굴리던 족제비나 삵은 난감한 표정짓다 이내 떠날 테고, 뜸들이며 안전을 확신한 남생이는 움츠렸던 몸을 쭉 빼고 잠시 접었던 일을 마저 하러 움직일 것이다. 천천히 뒤뚱뒤뚱. 단단한 껍질이 있으니 서두를 이유가 없다. 그렇다고 움직이는 먹이까지 천천히 잡는 건 아니다. 입을 크게 벌리며 머리를 별안간 쭉 빼면 버들치도 민물새우도 꼼짝없이 걸려든다. 하지만 물풀의 뿌리를 뜯기도 하는 남생이는 청소부다. 죽은 물고기를 깨끗하게 먹어치운다.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해도 걱정스럽게 줄어들자 문화재청은 2005년 천연기념물 453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나섰지만 걱정은 줄어들지 않는다. 골재 채취로 강에 모래가 줄어드는 까닭만이 아니다. 모래를 채취해도 큰물이 들면 다시 쌓이지만 가장자리에 돌망태와 콘크리트를 부어 강을 직선으로 만들자 휩쓸려간 모래는 다시 쌓이지 않았다. 그뿐인가. 크고 작은 보로 가로막는 것도 모자라 아예 거대한 댐으로 흐름이 차단하자 굽이치지 못하는 강물은 화강암 모래를 더는 흘려보내지 못했다. 흐름이 단절되자 쌓였던 모래에 유기물은 덕지덕지 끼고, 산소가 부족해진 미생물이 죽자 플랑크톤도 수서곤충도 다 떠나고 말았다. 남생이가 살아갈 환경은 큰 강 상류의 샛강으로 위축되었는데, 거기도 직선으로 바뀐다.
밤낮을 가리지 않는 ‘4대강 사업’은 10미터가 넘는 보 16개로 흐름을 차단하기만 하는 게 아니다. 수심 6미터를 확보하기 위해 모래를 막대하게 퍼낸다. 부산에서 서울을 지나 개성까지 100미터 폭에 10미터 높이로 쌓을 양이 강에서 사라지고 있다. 굴삭기가 들어오기 까마득히 오래 전부터 남생이들이 알을 낳던 모래들이다. 상류로 피한 남생이들은 그나마 다행일까. 아니다. 본류의 바닥이 갑자기 낮아지면 상류와 지류의 물살이 빨라지면서 모래와 자갈을 쓸어낸다. 모래를 잃은 남한강의 샛강인 연양천의 다리를 무너뜨린 이른바 ‘역행침식’이다. 굽이굽이 흐르는 4대 강뿐 아니라 그 샛강의 모래마저 쓸려내려가 거대한 보 바닥에 쌓이며 썩어갈 텐데, 남생이가 기댈 곳은 어딘가.
서식처 파괴뿐 아니라 보신과 자양강장에 효험이 있다며 분별없이 잡아가면서 자취를 감춰가는 남생이를 복원하겠다고 정부가 나섰다. 덕분인지, 수컷 5마리와 암컷 16마리를 확보한 서울대공원의 전문가들이 2005년에 14마리에 이어 이듬해 75마리의 새끼들을 얻었다고 한다. 부화 성공률을 75퍼센트까지 끌어올렸다는데, 일부 서울대공원의 호수에 시험 방사한 뒤 사나운 붉은귀거북을 제거한 전국의 하천이나 호수에 풀어줄 꿈을 꾸고 있는 전문가는 애완용으로 들어와 판매되고 있는 중국 남생이와 유전자가 섞일까 걱정하는 모양이다. 붉은귀거북을 버리는 인심이 중국 남생이라고 참을 리 없을 테니까.
판소리 흥부가는 “흥부네 아이들 줄남생이처럼 늘어서 있다.”고 노래한다. 기생충을 털어내고 체온을 높이려 물 밖의 바위에 줄을 지었던 남생이는 이제 전설이 되었는데, 복원한 남생이를 금수강산 어디에 풀어주어야 하나. 자연형으로 복원된 청주의 무심천, 대전의 유등천, 그리고 서울 상암동 월드컵공원에서 남생이가 나타났다니 거기에 풀어주면 될까. 하지만 거긴 좁거나 모래가 흐르지 않는다. 굽이치는 물길을 따라 모래톱이 만들어지는 하천이 먼저 복원되지 않는다면 남생이는 제 복원이 그리 달갑지 않을 것이다.
첫댓글 남생이라, 후쿠시마 핵발전소의 방사성 물질 때문에 불안한 시절인데 좀 한가해보이겠습니다. 그 이야기도 곧 선보일 예정입니다. 5월호 잡지에 미리 기고한 글입니다만 잠시 쉬며 핵과 방서능에 묻힌 4대강 사업을 다시 생각하는 시간을 갖도록 해보면 어떨까요. 저는 요즘 여러 인천시민들과 그 자리를 다녀오느라 주말을 격주로 내놓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