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재망작(恃才妄作)
재주를 믿고서 아무렇게나 행동한다
恃 : 밑을 시(忄/6)
才 : 재주 재(才/0)
妄 : 아무렇게나 망(女/3)
作 : 지을 작(亻/5)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제(齊)나라에 분성괄(盆成括)이란 사람이 있었다. 이 사람이 제나라의 관직에 임명되자, 맹자(孟子)가 그 소식을 듣고서. “죽겠구나! 분성괄이여”라고 했다. 그 얼마 뒤 과연 분성괄이 살해되었다.
맹자의 제자들이 맹자의 예언이 들어맞은 것을 신통하게 생각하여 맹자에게. “선생님께서는 분성괄이 살해되리란 것을 어떻게 아셨습니까?”라고 질문하였다. 맹자가 대답하기를. “내가 무슨 예언하는 능력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 사람 사람됨을 보면. 재주는 조금 있지만. 군자(君子)의 큰 도리를 듣지는 못했지. 그렇게 처신(處身)하면 충분히 그 자신을 죽일 수 있지”라고 했다.
군자의 도리라는 것은, 우리 생활과 관계없는 저 높은 곳에 있는 특별한 것이 아니다. 거저 사람으로서 정상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일 뿐이다. 부모를 잘 섬기고 어른을 공경하고, 친구들과 신의(信義) 있게 지내고,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게 하고, 사물을 사랑하고, 국가사회를 생각하고, 공중도덕(公衆道德)을 잘 지키고, 검소하고, 겸손하고, 근면한 일 등등이 바로 군자의 도리다.
그러나 조금 자기가 재주 있는 것을 믿고서 교만(驕慢)을 떨고 자기보다 못한 사람들을 무시하고, 어디 사람 모인 장소에 가면 자기 얼굴이나 이름내기 위해서 설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군자의 도리를 모르는 사람들이다.
어리석은 사람들이야 남을 속이려 해도 자기의 머리가 모자라기 때문에 한계가 있고. 그 피해도 크지 않지만, 좀 재주 있는 사람들이 남을 속이려고 마음먹고, 교묘하게 지혜를 짜내면, 많은 사람들을 속일 수 있고, 그 피해는 매우 심각하게 된다. 마치 사나운 호랑이에게 날개까지 달린 격이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재주는 필요한 것이다. 인류 문명이 발전하는 것도 다 개인의 재주에서 출발한다. 재주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다. 재주는 무시하고 도덕만 강조해도 이 세상은 움직여질 수 없다. 그러나 재주는 도덕이 뒷받침이 되어야만 정상적으로 쓰일 수가 있는 것이다. 도덕이 뒷받침이 되면, 재주를 믿고 함부로 날뛸 수가 없는 것이다.
재주만 있고 도리를 모르는 사람은 분성괄처럼 자기 몸도 보전(保全)할 수 없는데, 이런 사람이 나라 정치를 맡으면 나라가 잘 될 수 있겠는가? 여러 명의 분성괄 같은 사람이 나라 정치를 맡으면 머잖아 그런 나라는 망하게 되어 있다.
지금 우리나라에도 정계나 학계에는 재주를 믿고 멋대로 설쳐대는 사람들이 너무나도 많다. 이런 사람들은 대중을 속이는 데 능하기 때문에 선거에서 득표(得票)하거나 자기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유리하다. 인격을 갖춘 사람이 정계 학계뿐만 아니라 사회 각계각층에서 점점 발언권을 잃어 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우리 나라가 도덕적 수준이 날로 저하되어 간다는 증거이다.
▶️ 恃(믿을 시/어머니 시)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심방변(忄=心, 㣺: 마음, 심장)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寺(시)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恃(시)는 ①믿다, 의지하다(依支--) ②의뢰하다(依賴--) ③자부하다(自負--) ④가지다, 소지하다(所持--: 물건을 지니고 있다) ⑤어머니(≠怙) 따위의 뜻이 있다. 유의어로는 信(믿을 신), 諒(살펴 알 량/양, 믿을 량/양) 등이고, 반의어로는 怙(믿을 호/아버지 호)이고, 통자로는 持(가질 지)이다. 용례로는 믿고 의지함을 시뢰(恃賴), 험한 지형을 의지함을 시험(恃險), 자기의 악한 성미를 믿음 또는 그런 성미를 부리는 악을 시악(恃惡), 무슨 일이 그러하려니 하고, 저 혼자 속으로 믿고 겉에 드러냄을 자시(自恃), 자기 행동에 대해 자존심을 가짐을 긍시(矜恃), 등대고 믿음을 부시(負恃), 남에게 기대어서 의뢰함을 빙시(憑恃), 믿어 의지함이나 의뢰함을 의시(依恃), 왼쪽에서 가까이 모심을 이르는 말을 좌협시(左脇恃), 믿고 의지할 만한 사람 또는 믿고 의지할 만한 것을 이르는 말을 소시자(所恃者), 자연히 이루어진 일을 자기의 공로라고 주장하고 나이 많은 것을 빙자하여 함부로 날뜀을 이르는 말을 탐천시로(貪天恃老) 등에 쓰인다.
▶️ 才(재주 재)는 ❶지사문자로 纔(재)의 간자(簡字)이다. 초목의 새싹이 땅에서 돋아나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로 초목의 싹이 자라나듯 사람의 능력도 클 수 있다는 데서 재주를 뜻한다. ❷상형문자로 才자는 '재주'나 '재능', '근본'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才자는 手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손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갑골문에 나온 才자를 보면 땅속을 뚫고 올라오는 새싹이 그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才자는 이렇게 싹이 올라오는 모습으로 그려져 '재능이 있다'라는 뜻을 표현하고 있다. 어떤 분야에 탁월한 능력을 갖춘 아이들을 보고 '싹수가 보인다' 라고 말하곤 한다. 그러니 才자는 힘 있게 올라오는 새싹을 사람의 재능이나 재주에 빗대어 만든 글자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갑골문과 금문에서의 才자는 종종 '있다'라는 뜻으로도 쓰였지만, 후에 土(흙 토)자가 더해진 在(있을 재)자가 만들어지면서 뜻이 분리되었다. 그래서 才(재)는 성(姓)의 하나로 ①재주 ②재능(才能)이 있는 사람 ③근본(根本) ④바탕 ⑤기본(基本) ⑥사격의 하나 ⑦겨우 ⑧조금 ⑨결단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재간 기(伎), 재주 량/양(倆), 재주 기(技), 재주 예(藝), 재주 술(術)이다. 용례로는 재주와 능력을 재능(才能), 재주와 타고난 바탕을 재질(才質), 어린아이의 슬기로운 말과 귀여운 짓을 재롱(才弄), 무엇을 잘하는 소질과 타고난 슬기를 재조(才操), 재치가 있어 훌륭하게 일을 해 내는 정신 능력을 재기(才氣), 재주와 도량을 재량(才量), 재주가 있고 풍채가 뛰어난 사람을 재준(才俊), 재주가 있는 여자를 재녀(才女), 재주와 덕행을 재덕(才德), 재주가 뛰어나서 현명함을 재현(才賢), 눈치 빠른 재주를 재치(才致), 재치가 있게 하는 재미스러운 말을 재담(才談), 재주가 많은 남자를 재사(才士), 여자의 재주와 용모를 재색(才色), 재주가 있는 젊은 남자를 재자(才子), 뛰어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영재(英才), 학문과 재능이 매우 뛰어난 사람을 수재(秀才), 재주가 놀라운 사람을 인재(人才), 선천적으로 타고난 뛰어난 재주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을 천재(天才), 둔한 재주 또는 그러한 사람을 둔재(鈍才), 재주가 많음을 다재(多才), 세상에서 드물게 뛰어난 재기 또는 그 사람을 귀재(鬼才), 더할 나위 없는 재능을 지재(至才), 남달리 뛰어난 재주 또는 그러한 사람을 고재(高才), 남보다 뛰어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현재(賢才), 널리 사물에 통달한 인재 또는 그러한 재주를 달재(達才), 사리 판단이 날카롭고 재능이 빛난다는 뜻으로 재주와 슬기가 불 일어나듯이 나타남을 이르는 말을 재기환발(才氣煥發), 재주가 있는 사람은 병이 많다는 말을 재자다병(才子多病), 재주와 덕행을 다 갖춤을 재덕겸비(才德兼備), 여성이 뛰어난 재능과 미모를 함께 갖춤을 일컫는 말을 재색겸비(才色兼備), 여성이 뛰어난 재능과 미모를 함께 갖춤을 일컫는 말을 재색겸비(才色兼備), 재주는 있으나 덕이 적음을 일컫는 말을 재승덕박(才勝德薄), 재주는 있으나 덕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재승박덕(才勝薄德), 재주가 뛰어남이 사마천과 같음을 일컫는 말을 재여사천(才如史遷), 재주와 학식을 다 갖춤을 일컫는 말을 재학겸유(才學兼有), 세상을 마음대로 다스릴 만한 뛰어난 재기 또는 그러한 재기를 가진 사람을 일컫는 말을 개세지재(蓋世之才), 세상에서 보기 드물게 비범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일컫는 말을 광세지재(曠世之才), 세상을 다스려 나갈 만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지닌 사람을 일컫는 말을 경세지재(經世之才), 눈을 읊는 재주라는 뜻으로 여자의 글재주를 기리는 말을 영설지재(詠雪之才), 재주와 능력이 많음을 이르는 말을 다재다능(多才多能), 재주가 많은 사람은 흔히 약하고 잔병이 많다는 말을 다재다병(多才多病), 견기하는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지닌 사람을 일컫는 말을 견기지재(見機之才), 젊은 나이에 타고 난 높은 품격과 재주를 일컫는 말을 묘년재격(妙年才格), 말에 기대어 서서 기다리는 짧은 동안에 만언의 문장을 짓는 재주라는 뜻으로 빠르게 잘 짓는 글재주를 이르는 말을 의마지재(倚馬之才), 일곱 걸음에 시를 짓는 재주라는 뜻으로 시를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을 칠보지재(七步之才), 학문이나 지식이 미숙하고 재능이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학자가 자기의 학식을 낮추어 말할 때에 쓰는 말을 천학비재(淺學菲才) 등에 쓰인다.
▶️ 妄(망령될 망)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계집 녀(女; 여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어둡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亡(망)자로 이루어졌다. 도리(道理)나 예법에 어둡고 이치에 거슬리다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妄자는 '망령되다', '허망하다', '제멋대로'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妄자는 亡(망할 망)자와 女(여자 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여기서 亡자는 부러진 칼을 그린 것으로 '망했다'라는 뜻이 있다. 이렇게 '망하다'라는 뜻을 가진 亡자에 女자가 결합한 妄자는 여자가 그릇된 생각이나 행동을 한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부권의식이 강했던 고대 중국에서 女자는 주로 부정적인 뜻으로 쓰였었다. 妄자도 그러한 예 중 하나로 여자들은 제멋대로이며, 거짓이 많고 이성적이지 못하다는 뜻이다. 그래서 妄(망)은 ①망령(妄靈)되다, 어그러지다 ②허망(虛妄)하다, 헛되다 ③속이다 ④잊다, 잊어버리다 ⑤거짓 ⑥제멋대로, 함부로 ⑦대개(大槪: 대부분), 모두, 널리,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망령된 말을 망언(妄言), 늙거나 정신이 흐려져서 말과 행동이 정상에서 어그러지는 상태를 망령(妄靈), 이치에 어긋나는 헛된 생각을 망상(妄想), 그릇되게 하여 자신에게나 조상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을 망발(妄發), 망령된 생각이나 주장을 망설(妄說), 잘못 깨닫거나 거짓 깨닫는 지각의 병적 현상을 망각(妄覺), 이치에 어긋나는 헛된 생각을 망념(妄念), 분수없이 망령되이 행동함을 망동(妄動), 망령되이 하는 변론이나 변명을 망변(妄辯), 아무 생각 없이 경솔함을 망솔(妄率), 그릇되게 함부로 믿음을 망신(妄信), 허망하게 분별하는 마음을 망심(妄心), 망상을 버리지 못하고 고집하는 일을 망집(妄執), 그릇되게 함부로 하는 비평을 망평(妄評), 망녕되게 말이나 행동을 함부로 함을 망량(妄量), 언행이 가볍고 방정맞음을 경망(輕妄), 거짓되어 망령됨 또는 거짓이 많고 근거가 없음을 허망(虛妄), 늙어서 부리는 망령을 노망(老妄), 사리에 어두워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헤맴을 미망(迷妄), 속임수 많고 요망함을 무망(誣妄), 하는 짓이 까불까불하고 망녕됨을 산망(酸妄), 하는 짓이 사리에 어긋나고 망령됨을 전망(顚妄), 걷잡을 수 없이 망령되어서 이치에 맞지 않음을 광망(狂妄), 아무런 동기도 없이 갑자기 일어나는 헛된 생각을 이르는 말을 망상착상(妄想着想), 망령되이 자기만 잘났다고 뽐내며 남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을 망자존대(妄自尊大), 편지 따위의 글 끝에 자신의 말을 겸손히 낮추는 뜻으로 쓰는 말을 망언다사(妄言多謝), 정해진 법률에 대하여 함부로 이의를 일으킴을 이르는 말을 망생이의(妄生異議), 남이 자기에게 해를 입힌다고 생각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피해망상(被害妄想), 남의 범죄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 모르는 체하여 속인다는 말을 지정망모(知情妄冒), 가볍고 망령되게 행동한다는 뜻으로 도리나 사정을 생각하지 아니하고 경솔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을 경거망동(輕擧妄動), 턱없이 과장하여 엉뚱하게 생각함을 이르는 말을 과대망상(誇大妄想), 화는 망령되이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화가 도래함은 다 그 원인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화불망지(禍不妄至), 되는 대로 말한다는 뜻으로 어떤 이야기라도 들려 달라는 것을 이르는 말을 고망언지(姑妄言之) 등에 쓰인다.
▶️ 作(지을 작, 저주 저, 만들 주)은 ❶형성문자이나 회의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㑅(작)의 본자(本字), 做(주)는 통자(通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乍(사, 작)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作자는 ‘짓다’나 ‘만들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作자는 人(사람 인)자와 乍(잠깐 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乍자는 옷깃에 바느질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짓다’나 ‘만들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옷깃에 바느질하는 것은 다른 어떤 부분보다도 작업하기가 쉬웠었는지 乍자는 후에 ‘잠깐’이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었다. 그래서 소전에서는 여기에 人자를 더한 作자가 ‘만들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作(작)은 (1)작품(作品) 제작(製作), 저작(著作)의 뜻을 나타내는 말 (2)작황(作況)이나 또는 농사(農事)의 뜻으로 나타내는 말 (3)작전(作戰) 등의 뜻으로 ①짓다, 만들다 ②창작(創作)하다 ③일하다, 노동(勞動)하다 ④행하다, 행동하다 ⑤부리다, ~하게 하다 ⑥일어나다 ⑦일으키다 ⑧이르다(어떤 정도나 범위에 미치다),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⑨비롯하다 ⑩삼다, 임명하다 ⑪닮다 ⑫농사(農事) ⑬일, 사업(事業), 공사(工事) ⑭저작(著作), 작품(作品) 그리고 저주 저의 경우는 ⓐ저주(詛呪)(저) ⓑ저주하다(저) 그리고 만들 주의 경우는 ㉠만들다(=做)(주)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지을 찬(撰), 지을 조(造), 지을 제(製)이다. 용례로는 기계의 운동 부분의 움직임을 작동(作動), 사물 또는 사람의 이름을 지음을 작명(作名), 서로 헤어짐을 작별(作別), 만든 물품을 작품(作品), 문학이나 예술의 창작 활동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을 작가(作家), 일을 결정함을 작정(作定), 마음을 단단히 먹음을 작심(作心), 싸움을 진행하는 방법을 세움을 작전(作戰), 악곡을 창작함을 작곡(作曲), 글을 지음 또는 그 글을 작문(作文), 일터에서 연장이나 기계를 가지고 일을 함을 작업(作業), 농작의 잘 되고 잘못된 상황을 작황(作況), 움직이게 되는 힘을 작용(作用), 무리를 이룸을 작당(作黨), 처음으로 함을 시작(始作), 재료를 가지고 물건을 만듦을 제작(製作), 물건을 지어서 만듦이나 일부러 무엇과 비슷하게 만듦을 조작(造作), 기계 등을 움직이어 작업함을 조작(操作), 떨쳐서 일으킴 또는 일어남을 진작(振作),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몸을 움직이는 일 또는 그 움직임을 동작(動作), 토지를 갈아서 농작물을 심음을 경작(耕作), 썩 잘된 글이나 작품을 걸작(傑作), 처음으로 만듦을 창작(創作), 사람은 마음을 먹기에 따라 광인도 될 수 있고 성인도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을 작광작성(作狂作聖), 의견이 서로 달라서 일을 결정하지 못함을 일컫는 말을 작사도방(作舍道傍), 의리로써 형제 관계를 맺음 또는 그 형제를 일컫는 말을 작의형제(作義兄弟), 마음 먹은 지 삼일이 못간다는 뜻으로 결심이 얼마 되지 않아 흐지부지 된다는 말을 작심삼일(作心三日), 끊임없이 힘써 함을 이르는 말을 작지불이(作之不已),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을 마부작침(磨斧作針),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를 자기가 받음을 일컫는 말을 자작자수(自作自受), 낡은 것을 바꾸어 새 것으로 만듦을 일컫는 말을 환부작신(換腐作新),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게 뒤에서 일을 꾸밈을 일컫는 말을 이면공작(裏面工作), 옛일에 구애됨이 없이 모범이 될 만한 일을 자기부터 처음으로 만들어 냄을 이르는 말을 자아작고(自我作古), 남의 의견이나 주장을 제쳐놓고 제 마음대로 처리하거나 방자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을 회빈작주(回賓作主)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