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해병대사관 제81기 동기회가 연 '채 모 상병 순직 원인 공정수사 촉구를 위한 해병대 행동'에서 참가자들이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병대 예비역들이 실종자 수색 도중 급류에 휘말려 숨진 채모 해병대 상병 사망 사건을 수사하다 국방부에 항명 혐의로 입건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의 보직 해임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박 전 대령의 동기인 해병대사관 81기 동기회는 26일 '공정 수사 촉구를 위한 해병대 행동'이라는 제목으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들은 "박정훈 대령은 엄정하고 철저하게 수사해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라는 대통령의 지시를 철저하게 실행에 옮겼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박 전 단장의 보직 해임을 철회해 줄 것을 촉구했다. 또 사건과 관계 없는 제 3의 수사기관에서 박 대령이 수사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해병대사관 81기 동기회는 "설령 박 대령의 소신 행동에 절차상 일부 잘못이 있다고 하더라도 안타까운 순직 사건을 명백히 밝히겠다는 선한 의도의 발로였음을 참작해 달라"며 "만약 제 3의 수사기관에서의 수사가 불가능하다면 국방부의 수사심의위 구성에서 이번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인사들을 철저히 배제해 공정한 수사심의위가 구성될 수 있도록 지시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이들은 "박 대령은 규정에 따라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증거 위주의 철저한 수사를 진행했고 수사 결과보고서를 낱낱이 상급 지휘관들에게 보고했을 뿐 아니라, 기록을 수정하라는 외압에 굴하지 않고 승인 완료된 수사 결과 원본을 경찰에 이첩했다"며 "그 결과 보직 해임을 당하고 군인으로서는 차마 입에 담기도 힘든 '항명죄'로 형사 입건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해병대사관 77기 동기회도 이날 집회에서 "박 전 수사단장의 입건과 해임은 국방부의 부당한 처사임을 지적한다며 "이에 대한 즉각적 철회를 요청한 해병대 사관 총교무회의 입장을 적극 지지한다"며 국방부 관계자의 사과와 철저한 수사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또한 박 대령을 지켜내지 못한다면 향후 정의롭고 소신 있는 후배 장교들의 양성도 보장할 수 없게 된다고 생각하는바, 우리는 해병대의 내일을 위하여 잘못된 일을 바로잡는 데 힘을 보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건을 맡은 군검찰 수사심의위원회는 수사 계속 여부를 결론짓지 못한 채 지난 25일 밤 종료됐다. 국방부 검찰단은 수사심의위 종료 직후 박 단장에게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통지했지만 박 대령 측은 수사심의위를 다시금 소집해 달라고 요구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26일 국방부와 박 대령 측 변호인에 따르면 이날 수사심의위원회는 12명 가운데 권익위 소속 위원이 불참, 위원장은 투표권이 없어 10명 가운데 5명이 '수사 중단', 4명이 '수사 계속', 1명이 '기권' 의견을 냈다. 다수를 차지한 의견은 '수사 중단'인 셈이지만, 수사심의위 운영지침 17조 2항에 따라 출석위원 과반수(6명)에 이르지 못해 이날 의견을 도출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