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부모 밑에서
멋진 자녀가 성장합니다.
그러나 늘 그렇지는 않습니다.
때로 돌연변이(?) 같은 자녀가 나옵니다.
반면,
훌륭하지 않은 부모 밑에서
멋진 자녀가 나오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늘 그렇지는 않습니다.
때로 돌연변이(?)처럼 멋진 자녀가 나옵니다.
부모가 대단하다고
자녀도 수학 공식처럼 대단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도 부모의 영향이 자녀에게 큰 것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사무엘은 대단한 선지자였습니다.
그러나 그 아들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사무엘은 엘리의 두 아들들이 어떤 자로 살다가 죽게 되었는지 알았습니다.
그런데 사무엘 아들들이 그들과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
그런 사무엘의 마음은 어떠하였을까요?
자신은 나이가 들어가고, 자녀들은 제대로 영적 선지자 역할을 감당하지 못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백성들은 무엇을 요구하였나요?
#사무엘상 8장 1~9절, #김영한, #아침개인묵상, #성경 하브루타 코칭
<백성이 왕을 요구함>
1. 사무엘이 늙으매 그의 아들들을 이스라엘 사사로 삼으니
2. 장자의 이름은 요엘이요 차자의 이름은 아비야라 그들이 브엘세바에서 사사가 되니라
3. 그의 아들들이 자기 아버지의 행위를 따르지 아니하고 이익을 따라 뇌물을 받고 판결을 굽게 하니라
1) 사무엘이 늙었을 때, 그 아들들은 무엇을 하였나요? (1절)
- 이스라엘 사사로 섬겼습니다.
- 사무엘은 그 아들들을 사사로, 자신의 사역을 계승해 섬기도록 하였습니다.
He provided for the future by appointing his two sons, Joel and Abijah, who officiated at the sanctuary in Beersheba, to serve as judges for Israel. They evidently served as his deputies at this town in the extreme south of Israel’s territory, well beyond Samuel’s regular circuit (cf. 1 Sam. 7:16–17).
These sons of Samuel disqualified themselves in advance because, like Eli’s sons before them,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lining their own purses than in maintaining justice.
Baldwin, J. G. (1988). 1 and 2 Samuel: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Vol. 8, p. 90).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 사무엘의 나이는 이 당시 어떻게 되었을까요?
- 크게 세 가지 견해가 있습니다.
- 첫째, 50살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런 근거는 사무엘이 소명 받은 때가 12살 때인 B.C. 1088년이라고 보고(2:26;3:1-14), 당시 사울이 왕으로 취임한 해인 B.C. 1050년으로 본다면, 사무엘의 나이를 50살로 추정합니다. 이때는 미스바 전투(7:5-14)가 있은지 약 5년 후로 봅니다.
- 둘째, 유대 탈무드(Talmud)는 이 당시 사무엘의 나이를 52살로 보고 있습니다.
- 셋째, 다른 학자들(Abravanel, Lange)은 그들의 연대 추정법에 근거하여 당시 사무엘의 나이를 70세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3) 브엘세바는 어디에 어떤 곳이었나요? (2절)
- '브엘세바'(Beersheba)는 '일곱의 우물' 또는 '맹세의 우물'이란 뜻입니다.
- 족장 시대로부터 유서 깊은 곳이었습니다(창 21:31).
- 고대로부터 이곳은 근동과 애굽의 교역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 요충지였습니다.
- 이스라엘의 최남단 곧 라마로부터 약 80km나 떨어진 먼 곳이었습니다.
4) 사무엘의 아들, 요엘과 아비야는 브엘세바에서 어떤 사사였나요? (2~3절)
- 아버지 사무엘의 행위를 따르지 아니하고, 이익을 따라 뇌물을 받고 판결을 굽게 하였습니다.
- 장자의 이름은 '요엘'(Joel), 즉 '여호와는 하나님이시다'란 뜻이고, 차자의 이름은 '아비야'(Abiah), 즉 '여호와는 아버지'라는 뜻이었지만, 그 삶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5) 경건한 사무엘 밑에서 어떻게 그 아들, 요엘과 아비야는 타락하게 되었을까요?
6) 나 자신은 어떤 면에 있어서 예전과 조금 다른 것 같나요?
7) 사무엘은 어떤 선지자였나요?
- 사무엘은 3번째 대표적 제사장이었습니다.
- 모세, 엘리, 그리고 사무엘은 모세 오경 말씀을 순종하였습니다.
- 그 아들들은 사무엘을 도와 섬겼습니다.
Samuel was the third Levitical judge mentioned in the Bible, Moses (Exod 18:13–26) and Eli (1 Sam 4:18) being the first two. When he grew old, Samuel obeyed the Torah (cf. Deut 16:18) by appointing judges—in this case his sons Joel and Abijah—to function as judges in Beersheba (vv. 1–2).
Bergen, R. D. (1996). 1, 2 Samuel (Vol. 7, p. 114).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4.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모여 라마에 있는 사무엘에게 나아가서
5. 그에게 이르되 보소서 당신은 늙고 당신의 아들들은 당신의 행위를 따르지 아니하니 모든 나라와 같이 우리에게 왕을 세워 우리를 다스리게 하소서 한지라
6. 우리에게 왕을 주어 우리를 다스리게 하라 했을 때에 사무엘이 그것을 기뻐하지 아니하여 여호와께 기도하매
1)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모여 라마에 있는 사무엘에게 나아와서 왜 왕을 요구하였나요? (4~5절)
- 사무엘은 늙고, 그 아들들은 사무엘의 행위를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2) 만일 사무엘이 조금 젊고, 그 아들들의 행위가 괜찮았다면, 이스라엘은 왕을 요구하지 않았을까요?
3) 5절에 ‘모든 나라’는 어떤 나라를 말하는 것일까요? (5절)
- 이스라엘과 혈통적 연관성이 있었던 모압, 암몬, 에돔, 등 주변 국가들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더 나아가 애굽에도 왕이 있어 초강대국을 이루었기에, 이런 나라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4) 이스라엘 왕을 요구할 때, 사무엘의 마음은 어떠하였을까요? (6절)
7. 여호와께서 사무엘에게 이르시되 백성이 네게 한 말을 다 들으라 이는 그들이 너를 버림이 아니요 나를 버려 자기들의 왕이 되지 못하게 함이니라
8. 내가 그들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날부터 오늘까지 그들이 모든 행사로 나를 버리고 다른 신들을 섬김 같이 네게도 그리하는도다
9. 그러므로 그들의 말을 듣되 너는 그들에게 엄히 경고하고 그들을 다스릴 왕의 제도를 가르치라
1) 하나님은 사무엘에게 어떤 말씀을 하셨나요? (7절)
- 백성이 사무엘에게 한 말을 다 들으라고 하셨습니다.
- 사무엘과 그 아들들을 버림이 아니고, 하나님 자신을 버림이라고 하셨습니다.
2) 하나님은 오히려 사무엘을 위로하셨습니다. 어떻게 위로의 메시지를 주셨나요? (8절)
-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날부터 그때까지 이스라엘이 모든 행사로 하나님을 버렸다고 하셨습니다.
- 이스라엘이 다른 신들을 섬김 같이 사무엘에게 그리하였다고 하셨습니다.
Israel’s unanimous demand was to be granted, and twice the point is made (cf. v. 9). The Lord had his ideal for his people, but in this far-from-ideal world he adapted his purposes and acquiesced sufficiently to allow Israel a king, even incorporating the monarchy into his revelation of himself to Israel. Kingship was soon to be a major theme of the Old Testament, but so was the pattern, begun at the exodus, of refusal to obey the Lord’s rule.
Baldwin, J. G. (1988). 1 and 2 Samuel: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Vol. 8, p. 91).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3) 하나님은 왕을 달라고 하는 이스라엘에게 어떤 메시지를 주셨나요? (9절)
- 이스라엘의 말을 듣되, 그들을 엄히 경고하고, 그들을 다스릴 왕의 제도를 가르치라고 하셨습니다.
4) 오늘 말씀 중 주신 도전 혹 은혜는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