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내용을 삭제하지 마세요!!
(아래 선 아래에 글을 올리세요!!)
----------------------------------------
출처: https://cafe.naver.com/sisa33/37775?tc=shared_link
출처: https://m.cafe.daum.net/sisa-1/dqMu/50396?svc=cafeapp
카페에 게시된 윗 글 조회수가 7,791 나왔는데 우리카페에서 조회수가 아닐듯
출처: https://youtu.be/f-MIQWWNkP0?si=hmyf2v0SkYrVltVL
"미안하지만 같이 못간다" 이스라엘의 보복에 참여 안한다는 미국
조회수 2.5천회 · 32분 전#356
...더보기
세상돌아보기Gust&Thunder
6.38만
출처: https://youtu.be/cnmW6FW2HLI?si=z-jkzppYmi-YDfLR
이란 미사일, 韓·日에 충격/ 허리케인 헬렌, 미국판 체르노빌/ 美 반격 준비? 신중한 팬타곤
현재 2,468명 시청 중#이란 #미국 #이스라엘
...더보기
스캇 인간과 자유
13.3만
출처: https://youtu.be/QVmqW9jtnN0?si=P8M25L4gFc1e9tZ7
우크라이나 전황(10/5)- 수미 주민, 러시아 깃발 준비/러, 토레츠크의 자발카 보급로 차단/우, 기르냑 동편 평야 후퇴중/러, 기르냑, 쿠라히브카 포위중/러, 카테리니브카 공격
현재 769명 시청 중...더보기
지피지기
5.84만
출처: https://youtu.be/hkf9SF0ieME?si=QRCOMheFlBkLM9AQ
충격! 나스랄라는 어떻게 살해됐나!/휴전논의는 암살을 위한 미끼였나!
조회수 1.8천회 · 59분 전...더보기
월드 리딩
1.28만
출처: https://youtu.be/1TkLF4OP8AQ?si=w5mgijOgc3BLEbHr
키예프의 어느 박물관 스캔들!
조회수 1.7천회 · 2시간 전...더보기
월드 리딩
1.28만
출처: https://youtu.be/GLCWPl5MU8Y?si=913TOAXQh2J7yc7p
"전쟁 멈춰라" 대규모 시위…'보복 임박' 시사 / SBS
조회수 2.7만회 · 5시간 전#SBS뉴스 #시위 #이란
...더보기
SBS 뉴스
454만
출처: https://youtu.be/nbFkQEWdbIE?si=YYXx8J0HsVzILjkn
내일 가자 전쟁 1년...마크롱 "이스라엘에 무기 공급 그만" / YTN
조회수 5.7천회 · 5시간 전...더보기
YTN
469만
출처: https://youtu.be/g5sntFCErTk?si=qQbKzQdbfVWvfwa9
[자막뉴스] 무기 콕 집어 저격한 마크롱...네타냐후에 폭탄발언 / YTN
조회수 5.8만회 · 5시간 전#YTN자막뉴스
...더보기
YTN
469만
출처: https://youtu.be/oe7xNx-rrrQ?si=amZwNFHNuxYc8zki
이스라엘이 장기전을 피하려는 진짜 이유 [지구본 뉴스룸]
조회수 8.9만회 · 6시간 전#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최준영
...더보기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51.7만
출처: https://geopolitics-two-jrh5.vercel.app/blogs/section-2/24-10-5
역사적 전환기와 클라우제비츠와 베게티우스 뛰어넘기
현재까지 전쟁과 평화에 대한 경구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클라우제비츠와 베게티우스가 아닌가 한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을 정책의 연속이라고 하면서, 전쟁은 의지와 의지의 대결로 나의 의지를 상대방에게 강요하는 것이라고 했다. 동로마제국의 베케티우스는 그 유명한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고 말했다.
서양역사에서 전쟁과 평화는 거의 예외없이 클라우제비츠와 베게티우스의 경구로 설명이 가능한 것 같다. 국가와 국가간의 관계에 대한 내용으로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서구적 사고방식은 국가와 국가간의 갈등과 전쟁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았던 것 같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동양과 서양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동양에서의 국가와 국가의 관계는 마키아벨리적 의미와 조금 다르다고 생각한다. 동서양의 국가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문제는 여기에서 논의할 성격은 아니라고 생각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겠다. 전쟁에 대한 생각도 다르다. 손자는 군사는 국가지대사라고 했지 정책의 연속이라든지 나의 의지를 상대방에게 강요한다든지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는 식의 주장은 하지 않았다. 동양 특히 중국에서 보이는 전쟁에 대한 생각이 서양과 다른 것은 그들의 전쟁사상이 서양에 비해 떨어진 것이 아니라 사고의 방향과 중점이 달랐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클라우제비츠와 베케티우스의 경구가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 것은 역사를 주도하는 세력이 서구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역사의 전환점에 직면하여 기존의 전쟁에 대한 생각을 뛰어넘을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 사실 서구에서 전쟁을 반대하고 평화를 본격적으로 주장한 것은 사회주의 사상이 등장하면서 부터였다. 군비감축 19세기 초중반 이후 사회주의 사상가들이 주장에서 출발했다.
군인들과 한국의 우파세력들이 금과옥조로 생각하는 베게티우스의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는 경구는 동로마제국의 상황에서 비롯된 말이다. 그리고 베케티우스의 사상은 스파르타로 이어진다. 스파르타는 군사학의 전통을 동로마제국으로 이어갔다. 그렇게 보면 평화를 원화거든 전쟁을 준비하라는 말은 지극히 스파르타의 군사주의적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다. 스파르타식 군사사상의 절정을 이룬 것은 피루스의 승리다. 모든 전투에서 승리하지만 결국 아무것도 남지 않는 것이다.
미국이 국제정치적 갈등을 외교와 협상이 아닌 군사적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이 스파르타적 전통의 연속선상에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미국의 군사주의에 대한 설명은 다양하다. 원래 제국주의적이라든가 군산복합체의 문제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그러나 미국의 국가건설의 전통이 스파르타-로마-미국으로 이어지는 군사주의에 바탕한 공화주의적 사상의 연장선에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많은 사람들은 아테네를 미국의 정치적 기원으로 생각하기도 하는데, 그와 반대로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아테네적 상황의 재현을 가장 우려했다.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는 경구는 아주 협소한 계층에게 의미를 지니고 있다. 군인들에게만 옳다는 것이다. 베게티우스의 경구를 정치인들이 깊이 마음에 새기면 오히려 모든 문제를 전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생긴다. 오늘날 한국의 윤석열 정권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정치인들은 평화를 위해서 평화를 이야기해야 하는 법이다. 필자는 문재인 정권 당시의 9.19 군사합의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군인들이 전쟁에 대비하는 것과 정치인들이 평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은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런점에서 윤석열 정권의 군인들이 군사작전의 필요성을 들어 남북간 정치적 협상을 무위로 만들어간 것은 정치의 군사에 대한 우위의 원칙에서 한참은 벗어난 것이다.
물론 윤석열 정권이전에 문재인 정권이 먼저 9.19 군사합의를 무력화시키는 조치를 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조선이 남북관계의 전면적 재검토를 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도 문재인 정권의 약속과 합의 파기를 보면서 앞으로 한국의 진보정권과의 합의와 대화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클라우제비츠가 말한 전쟁은 의지와 의지의 대결이라는 말도 정치인들에게는 부분적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 의지와 의지의 대결이라는 말에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더 이상 서로 의견의 조정을 볼 수 없을 때라는 말이다. 문론 의지와 의지의 대결이라는 말에는 서로간의 의견조정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지와 의지의 대결이라는 경구에 대한 비판은 여전히 필요하다.
정치인은 나의 의지를 상대방에게 강요하기 전에 나와 상대방의 의지를 조정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반드시 생각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의지를 강요하는 것은 쉽지만 의지를 서로 조정하는 것이 매우 서툰 것이 서구의 외교사가 아닌가 생각한다.
현시기는 역사적 전환점이다. 역사적 전환점에는 그에 합당한 사고방식과 가치기준이 필요하다. 그런 가치기준과 사고방식을 만들어가는 세력이 역사를 주도한다. 새로운 사고방식과 가치기준을 위해서는 기존의 가치와 사고방식을 뛰어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토요일 아침 지금 전세계는 전쟁의 도가니로 뛰어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탈피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를 생각하면서 클라우제비츠와 베게티우스를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출처: https://geopolitics-two-jrh5.vercel.app/blogs/section-2/24-10-6
최근 중국당국의 경기부양책을 보면서
어차피 국제정치는 강대국의 영향력이 가장 강하다. 그동안 미국에 대해서 주로 관찰을 해왔다. 그래서인지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관찰은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서 어느 정도 궁금증을 해소한 것 같은데 중국은 제대로 살펴보지 못했다. 중국이 앞으로 세계전략을 어떻게 구상해 나갈지에 대한 생각을 해보고 있는데 아직 많이 부족하다. 중국어를 몰라서 그럴 수도 있고, 중국이 자신의 속내를 그리 쉽게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관찰을 해서 그들의 생각을 읽어내는 것이 어려워서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오늘은 최근 중국당국의 경기부양의 의미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미국과 서방은 중국을 약화시키기위해 중국 경제를 타격하려고 하는 것 같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앞으로 그들도 중국 경제의 성장에 의지하는 상황이 될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 전망해본다. 미국과 서방의 경제가 위축되고 침체되면 그 활로를 중국을 통해서 찾으려고 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그런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다.
중국 시장이 며칠째 상승을 하고 있다. 중국 당국에서 부양책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부양책은 한국경제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한다. 미국의 금리인하보다 더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많다. 한국 경제가 미국보다 중국과 더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 경제가 어려운 것도 중국 경제가 침체를 겪고 있기 때문이라는 평가도 있다.
한국이 미국에 대한 수출이 늘어나도 중국 경제의 침체를 상쇄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중국의 경기부양이 앞으로 중국 경제를 과거처럼 비약적으로 도약시킬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이미 중국도 로켓처럼 상승할 수 있는 여건도 경제규모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중국 경제는 세계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미국 경제는 빠르면 올해말 늦으면 내년쯤 되어서 얼마간 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많다. 그럴 경우 중국경제가 미국의 경제침체인해 한국경제가 처하는 어려움을 상당부분 방어해 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미국 경제는 여전히 AI를 중심으로 돌아가지만 그것도 어느 정도 한계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AI투자는 아마도 지나치게 과잉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아직도 AI가 실제 생산력 증가에 기여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다. 그러면 지금 AI반도체를 구매하는 것은 과잉투자가 될 가능성이 많다는 평가도 있다. 그런 문제에 대해서 평가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무엇이 맞는지는 모른다. 그러나 일단의 전문가들이 그런 평가를 한다는 것은 주목해서 볼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AI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반도체가 아니라 실제적인 생산성 증가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가가 될 것이다. 인공지능에는 여전히 많은 문제가 있다. 환각현상을 해소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아마도 인공지능을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매우 협소한 분야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며 그것은 생산성 향상에 제한적일 가능성도 있다.
그렇게 되면 지금 반도체에 많이 투자하는 것이 오히려 발목을 잡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마이크로소프트나 메타 등이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데 이런 것이 오히려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말이다.
미국 경제가 전환기를 맞게 되는 시기는 AI 반도체에 대한 투자가 경제적 생상성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는 것이 가시화되는 순간이 아닌가 한다. 그렇게 되면 세계경제도 충격을 받게 될 것이다. 현재 미국 경제를 견인하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도 앞으로 지금과 같은 확장을 이어가기 어려울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측한다.
최근의 지정학적 갈등으로 중국과 러시아는 각각 자국의 OS를 개발하여 채택하고 있다. 앞으로 이런 경향을 점점 더 강해질 것이며, IT 분야에서 각국의 독자적인 OS 채택시도는 더욱 강화될 것이다. 이스라엘이 헤즈볼라를 대상으로 바테리 원격폭탄을 선보인 이후로 앞으로 각국의 독자적인 OS는 경제가 아닌 안보문제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미국 경제는 거의 정점에 도달하고 있으며 어떤 식으로든 하락의 가능성이 높다. 바로 그럴때 중국 경제가 견조하다면 상당한 충격완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중국 당국이 부양책을 쓴다고 해서 당장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중국 주식시장의 급격한 상승은 분위기일 뿐이지 실제 경제가 활성화로 이어지는 것은 지난한 과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미국경제의 침체로 인해 세계경제가 어려움을 겪을때 중국 경제가 회복의 견인차역할을 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해 본다.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finch1234&logNo=223608051494&navType=by
일본 중산층 붕괴.. 가난해진 일본인.. R&D 예산 제로 ...아날로그 사회 #라인 #자민당
중산층이 사라진 나라.. R&D 예산이 없는 나라.. 여전히 아날로그인 사회.. 정치가 세습되고 70년간 ...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finch1234&logNo=223607911235&navType=by
이준석 또 거짓말 탄로.. 칠불사 측 "기념식수 부탁한적 없어" #홍매화 #새벽4시 #명태균
이준석 거짓말 또 탄로 났네요.. 칠불사 측이 주지스님은 이준석에게 홍매화 기념식수 부탁한적 없다고 발...
출처: https://youtu.be/qHmFMuV6DzQ?si=rHiS5Dyq-QrWg5z1
The Hu - Bosoo Huh Mongol (Official Music Video)
조회수 94만회 · 3개월 전...더보기
The HU
166만
출처: https://youtu.be/2WrvFUZgHro?si=exJy1eHpcJWMDJRL
The HU - "The Trooper" (Official Music Video)
조회수 28만회 · 2일 전#TheHu #TheTrooper #IronMaiden
...더보기
The HU
166만
구독
출처: https://youtu.be/L6z7hvW9fCw?si=tLX70Ccfo0QCx0DJ
출처: https://youtu.be/uo1LslYEtp8?si=1FBj-Aw0_Snr06Nu
출처: https://youtu.be/HEzftdb82zs?si=RNiUpy0gtS-Tp1hX
첫댓글 고대의 중동에는 오랜 역사기록이 있는데 그중에서 요즘 지구를 혼란에 빠뜨리는
주변의 강대국인 바빌론과 페르샤, 이집트왕조가 있었는데
강직하던 이스라엘국과 유연성이 있던 유태국이 바빌론과 페르샤에게 각각 망하죠.
그뒤로 유랑민이 되다가 로마속국으로 식민통치되던 시대에 독립투쟁을 많이 했는데
그중에 선지자란 닉내임으로 여러사람이 나타났죠.
그러다가 로마가 기독교를 창시할 때에 자기들 종교를 가미한 게 오늘날 기독교가 되죠.
사실 기독교때문에 오늘날 유태인들이 선민으로 취급돼서 숭상받는데
여기에 각국의 실력자들이 유태인과 통혼을 하여 백인유태족이 주를 이루죠.
많이 변질된 민족으로 이미 유태족이라는 게 사라지고 그냥 혼혈족 정도로 보면 되죠.
이 혼혈아들이 우수한 놈들이 많아져서 세계를 농단하고 있죠.
그들은 지금의 행태를 보면 마치 막가파 행태를 보여 주는데 악마의 상징같아 보이죠.
이런 자들이 자기들만 천국에 간다고 구약 만을 믿으면서
타민족을 짐승취급을 하는데 참으로 가소로운 자들이죠.
반드시 엄청난 시련이 갈것이고 유태족이란 걸 숨기고 사는 세상이 올 거로 보여지죠.
그만큼 막장 범죄자들이라서 사회격리가 필요한 생명체로 도태돼야 하기 때문이죠.
유태민족 우리 민족의 일파 우리는 너와나 모두 같이 살자는 홍익이념 공리공생
유태족속은 넌 죽던 말던 나만 살고 보자는 지독한 개인주의
지구상에 전쟁이 나는 것은 나만 살자는 이기심 때문에 일어나요
홍익이념의 사상이 있기에 앞으로 우리 대한이 세계 리드 하는 나라
지독한 이기심 위주인 현체제는 곧 파괴 될 것
자본주의 리더 미국 같은 나라3-5개로 쪼개져요
중국과 러시아 사회주의 공산 체계가 무너져요
중국도 러시아도 3-5개의 국가로
앞으로 지구는 하나 깃발 아래 우주개척 시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