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rs And Roses (눈물과 장미) Michael Hoppe & photo by 모모수계
https://youtu.be/7mtMds7Su0k
음악편집:체칠리아
[오늘의 사건]
1995년 3월 28일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천마’ 시험발사 성공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천마’.
국방부가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해온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K-SAM)
‘천마’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1995년 3월 28일 발표했다.
국산 지대공 미사일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천마는 국방과학연구소(ADD)와 민간 방위산업체가 1980년대 말부터
공동 개발해 온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유효 사정거리는 5㎞다.
우리 군의 약점으로 지적돼 온 저고도 적 항공기에 대한 요격용으로 개발된 천마는
, 역시 국내 기술로 개발된 30㎜ 대공자주포 비호 (사정거리 3㎞)와 함께 주로 기계화부대나
공군기지의 대공 방어용으로 실전 배치돼 활용되고 있다.
천마가 개발되기 전까지 수도권 및 공군기지에 주로 배치돼 있던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은
미국제인 스팅어 , 프랑스제인 미스트랄 , 영국제인 재블린 등이었다.
[오늘의 인물]
1969년 3월 28일
김수환 대주교, 한국 최초로 추기경에 서임
1969년 3월 28일 김수환 대주교, 추기경에 추대.
김수환 추기경(1922~2009)은 한국 천주교계의 큰 별이었다.
종교의 울타리를 넘어서 우리 사회의 큰 어른이었고 정신적 지주였다.
1970~1980년대 민주주의가 억압받던 군사정권 시절엔 국민의 민주화 열망을 대변했으며,
우리 사회가 반미 친북으로 심하게 요동치던 2000년대에는
자유민주주의의 중심을 잡아주는 조타수 역할을 했다.
김수환은 대구의 가난한 옹기장수 집안에서 태어났다.
조부는 1868년 무진박해 때 순교하고 부모 역시 신자였던 독실한 가톨릭 집안이었다.
순교자의 후손답게 깊은 신앙심을 지닌 그는 모친의 권유에 따라
1933년 11살 때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예비 과에 진학해 성직자의 길을 선택했다.
1941년 서울 동성 상업학교(현 동성고)를 졸업하고
그해 4월 당시 교장이던 장면 박사의 추천으로 일본 조치대 철학과로 유학을 떠났으나
1944년 태평양전쟁에 학병으로 끌려가 남태평양의 한 섬에서 광복을 맞았다.
일본에서 나머지 학업을 마친 그는 1946년 12월 귀국해
서울의 성신대(가톨릭대) 신학부를 졸업하고 1951년 9월 15일 대구에서 사제로 서품 되었다.
독일 뮌스터대에서 1956년부터 7년간 신학과 사회학을 전공하고 돌아온 뒤에는
1966년 2월 주교로 서품 되어 초대 마산교구장에 임명되었다.
1968년 노기남 대주교가 사임한 뒤를 이어 서울대교구장으로 착좌 했으며
대주교 승품 후인 1969년 마침내 한국인 최초로 추기경에 임명되었다.
추기경에 서임되었다는 3월 28일의 로마 교황청 발표에 이어
4월 28일 로마에서 정식으로 서임식을 가짐으로써 그는 당시 생존했던
136명의 전 세계 추기경 가운데 아시아에서는 5번째, 나이로는 최연소 추기경이 되었다.
그 해, 오늘 무슨 일이... 총 46건
ㆍ2004년 · 영국의 저명한 배우 겸 극작가인 피터 유스티노프 사망
ㆍ2003년 · 일본, ‘한반도 정찰위성’ 발사
ㆍ2002년 · 최규선 게이트 첫 폭로
ㆍ2001년 · 김포 국제공항, 국제공항 시대 마감
ㆍ1999년 · 루이스 곤살레스, 파라과이 대통령 취임
ㆍ1997년 · 정보근 씨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상 횡령 혐의로 구속
ㆍ1994년 · 한-중 정삼회담 (북한 핵문제, 경제협력 집중 논의)
ㆍ1993년 · 부산행 무궁화호 열차 구포역 입고서 지반 붕괴로 전복(68명 사망, 123명 중경상)
ㆍ1993년 · 변정일 WBC 밴텀급 세계챔피언 획득
ㆍ1991년 · 소련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관 화재 발생
ㆍ1990년 · 차세대 전투기 사업의 기종을 제너럴 다이내믹스사의 F16으로 확정
ㆍ1985년 · 프랑스 화가 샤갈 사망
ㆍ1983년 · 소련, 아시아 태평양 지역 담당 사령부 신설
ㆍ1983년 · 농업보험 1987년부터 실시 계획
ㆍ1982년 · 멕시코 치아파스의 엘치콘 화산 폭발로 약 2천여 명 사망
ㆍ1980년 · 박동진 외무부 장관, 스리랑카서 주최한 리셉션에 PLO 대표 초청하고자 접촉
ㆍ1980년 · 미국-터키 군사협력협정 조인
ㆍ1979년 · 영국 캘러헌 노동당 정부 붕괴
ㆍ1979년 · 미국 스리마일섬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누출사고 발생
ㆍ1974년 · 한국-오만, 국교수립
ㆍ1972년 · 정홍진 중앙정보부 협의 조정 국장 방북(-31일)
ㆍ1969년 ·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사망
ㆍ1969년 · 김수환 대주교, 한국 최초로 추기경에 서임
ㆍ1968년 · 한국경제인협회, 전국경제인연합회로 개칭
ㆍ1965년 · 칠레에 지진, 약 5백여 명 사망
ㆍ1963년 · 공군 수송기 C46 추락 11명 사망
ㆍ1962년 · 시리아, 군부 쿠데타로 쿠드 시 대통령 취임
ㆍ1962년 · 아르헨티나, 군부 쿠데타
ㆍ1953년 · 북한, 부상포로 교환에 합의
ㆍ1953년 · 미국의 운동선수 소프 사망
ㆍ1950년 · 남로당 총책 김삼룡 검거
ㆍ1941년 · 영국 작가 버지니아 울프 사망
ㆍ1939년 · ‘2차 대전의 리허설’ 스페인 내전 종결
ㆍ1938년 · 중국 남경에 일본의 괴뢰정부 수립
ㆍ1930년 · 일본 무교회주의를 선도한 신학자 우치무라 간조 사망
ㆍ1913년 · 독립운동가 규호 이규창 출생
ㆍ1910년 · 앙리 파브르, 최초의 수상기 개발. 비행 성공
ㆍ1899년 · 관립의 학교 설립
ㆍ1894년 ·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 피살
ㆍ1894년 · 박영효, 동경서 이일식에 피습 부상
ㆍ1871년 · 파리코뮌 수립
ㆍ1868년 · 러시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창시한 막심 고리키 출생
ㆍ1854년 · 크림전쟁에서 영국-프랑스가 러시아에 선전포고
ㆍ1851년 · 포르투갈의 대통령(1915~17, 1925~26) 마샤두 출생
ㆍ1592년 · 칼빈주의 신학과 철학에 기초한 개혁 신학자, 교육학자인 코메니우스 출생
ㆍ1430년 · 신학자 아우구스티누스 사망
[출처 : 조선닷컴]
첫댓글 오늘도 아름다운 음악과 함께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천마’ 시험발사 성공
저런데 우리도 핵을 개발하면 좋을 건데
'많이 아쉽습니다.
김수환 대주교, 한국 최초로 추기경에 서임
우리나라도 추기경이 생겼다 좋아했죠
천주교 신자도 아니면서 요
그 외 많은 자료가 좋은 상식이 되네요
오늘도 게시해주시느라 수고하셨어요
날씨가 점점 더워지네요
건강하시고 행복한 오후 되십시오^^
그렇지요
그저 이북에만 핵을 개발 할수 잇는
든든한 방패를...
우리의 민족에겐 안일한 지난 역사의 정치꾼들이 아니었나
생각해도 화가 납니다
그저 갔다 주지 못해서 말입니다
물러나는 바당에도 죄의식은 없으니요
그렇게 훌륭하신분
김수환 대주주 평안의 영면을 다시 기원드리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