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받고 싶은 상* = 우덕 초등학교 6학년 1반 . 이 슬 .
O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짜증섞인 투정에도 . 어김없이 차려지는 , 당연하게 생각되는 그런 상.
하루에 세번이나 받을 수 있는 상, 아침상, 점심상, 저녁상, 받아도 감사하다는 말 한마디도 안해도 되는 그런 상.
그 때는 왜 몰랐을까 ? 그때는 왜 못 보았을까 ?
그 상을 내시던 주름진 엄마의 손을 그때는 왜 잡아 주지 못 했을까 ?
감사하다는 말 한마디 꺼내지 못 했을까 ? 그 동안 숨겨 났던 말, 이제는 받지 못 할상.
앞에 앉아 홀로 되뇌어 봅니다. 엄마 사랑해요. 엄마 고마웠어요. 엄마 편히 쉬세요.
세상에서 가장 받고 싶은 엄마상..,! 이제 받을수 없어요. 이제 제가 엄마에게 상을 차려 드릴께요.
엄마가 좋아 했던 반찬들로만 한가득 담을 께요. 하지만 아직도 그리운 엄마의 밥상.
이제 다시 못 받을 세상에서 가장 받고 싶은 울 엄마 얼굴 상...,!
O 지난해 암으로 세상을 떠난 엄마를 그리워하며. 당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쓴.
한편의 시가 뒤늦게, 알려져 잔잔한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주인공은, 올해. 전북 부안여중 신입생으로,
진학한. 이슬(13살)양. 이양은 지난해 2학기 연필로 쓴시 <가장 받고 싶은상 > 으로 전북도교육청이.
주최한 2016년 글쓰기 "너도 나도" 공모전에서 동시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습니다.
전북교육청이 가정의 달을 맞아 지난 4일 도교육청 블로그에 이 시를 소개 하면서 알려졌다.
당시 심사위원을 맡았던 임 미성 익산성당 초등학교 교감은 동시를 처음 읽었을 떄.
정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심사위원 세명이 작품을 고를 때 만장 일치로 가장 좋은 작품으로 뽑았습니다.
무엇보다도 일기처럼 써 내려간 아이의 글씨와, 지웠다, 썼다가 한 종이 원본이.
정말 마음에 깊이 남았다고 말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