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9001 변천사
ISO인증은 1906년 국제 표준화에 대한 노력으로 런던에서 전기관련의 국제표준회의가 개최되면서 시작되었다. ISO에는 품질 시스템에 대한 각 국가별 요구사항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무역상의 기술 장벽을 제거하고 상호인정을 촉진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공통된 품질경영시스템 규격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87년 미국의 국가규격(ANSI/ASQC Z 1.15)와 영국의 국가규격(BS 5750) 및 캐나다의 CSA Z 299를 근거로 하여 ISO 9000 시리즈 규격을 개발하게 되었다.
ISO 9001:1987~ ISO 9001:1994
1994년에 ISO 9001:1987규격에 대한 소폭의 개정작업이 이루어졌다. 다만 이 개정은 제품의 품질이라는 종래의 개념으로부터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제품'의 개념이 제조업자가 만드는 제조품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제조업 중심의 규격이라는 한정된 범위였다. 2000년에는 제품의 정의를 서비스업 등에도 적합할 수 있도록 넓은 의미로 확대하여 개정되었다. 또한 TQM(종합적 품질관리) 가운데 PDCA사이클(Plan, Do, Check, Act) 요소를 도입하여 조직 활동의 축으로 삼았다. 2000년 개정판에서는 종래의 품질시스템이 '품질경영시스템'으로 바뀌었고 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ISO 9001:2000
2000년 판에서는 제목에서 '품질경영시스템-요구사항'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조직(기업 등)이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요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제품과 서비스에 반영하여 출력해야 한다. 이 입력을 출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고객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는 것을 품질경영시스템이라고 말한다.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인 ISO 9001:2000규격은 어떠한 업종, 조직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범용적인 표현으로 기술되어 있다.
ISO 9001:2008
2008년 판에는 새로운 요구사항을 많이 포함하고 있지 않다.
단지 ISO 9001:2008은 170개국에서 발행된 백만 개의 인증서를 전 세계적으로 발행하기 위해 8년 동안 이행된 기준의 경험을 기초로 기존의 요구사항들을 더 명확화 하였다. 또한 ISO 14001:2004와 일치성을 제고하는 개정사항도 포함한다.
ISO 9001:2015
2015년 판에는 2008년에서 여러 업데이트 사항을 포함하여 조직이 더욱 효과적으로 경영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ISO 9001 이란?
ISO 9001 은 국제규격으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하였으며, "품질경영시스템"이라 한다. 국제표준화기구는 1947년 2월 23일 설립되었으며, 설립목적은 제품과 서비스의 국제적 교류를 원활하게 하고, 과학적/기술적/경제적/생산적인 분야에서의 협력증진을 위함이다. ISO 국제표준화기구는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제표준규격의 제· 개정 및 발간 보급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ISO 9001과 ISO 14001 규격이 개정되었기도 하였다.
-ISO 9001 요구사항
적용범위
인용표준
용어 및 정의
3.1 조직 및 리더십 관련 용어
3.2 기획 관련 용어
3.3 지원 및 운영 관련 용어
3.4 성과 평가 및 개선 관련 용어
조직의 상황
4.1 조직 및 조직의 상황 이해
4.2 이해당사자의 니즈 및 기대 이해
4.3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4.4 환경경영시스템
리더십
5.1 리더십 및 의지 표명
5.2 환경방침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기획
6.1 리스크 및 기회를 다투기 위한 조치
6.2 목표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
지원
7.1 자원
7.2 역량
7.3 인식
7.4 의사소통
7.5 문서화된 정보
운영
8.1 운영 기획 및 관리
8.2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성과 평가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9.2 내부 심사
9.3 경영 검토
개선
10.1 일반사항
10.2 부적합 및 시정 조치
10.3 지속적 개선
-ISO 9001 인증효과
① 업무의 투명성 확보
② 부적합품 최소화 및 비용 절감
③ 고객만족을 통한 매출 증대
④ 고객 클레임 감소
⑤ 조직구성원의 의식변화 및 근로환경 개선
⑥ 조직의 기술력 축적
-국내 ISO 인증기관 찾아보기
1 (재)한국품질재단 [kfq]
2 크레비즈큐엠 [CreBiz QM]
3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KPC-QA]
4 한국품질보증원 [KQA]
5 케이티씨인증원 [KTC-QA]
6 KTR 인증센터 [KTR-CC]
7 에스비씨인증원 [SBCR]
8 한국선급 [KR]
9 (주)디엔브이비즈니스어슈어런스코리아[DNV]
10 (주)아이엠에스평가원[IMSE]
11 로이드인증원㈜[LRQA]
12 한국건설품질인증원[KICM-QA]
13 한국경영인증원[KMR]
14 기술사인증원(주)[SPEC]
15 한국가스안전공사[KGS]
16 (주)한국경총인증원[KEF-CR]
17 국제기술품질인증원[ITQA]
18 국제표준인증원[ISC]
19 케이에스알인증원[KSR]
20 한국표준협회[KSA]
21 시스템코리아인증원[SYSKO]
22 세계표준인증원[WSCS]
23 키와 코리아(주)[Kiwa Korea]
24 한국인증원(주)[KCR]
25 케이큐엘인증원[KQL]
26 한국국제규격인증원[KIC]
27 저먼서트(주)[GCK]
28 한국품질진흥원(주)[KSQ]
29 지속가능인증원[CSR]
30 에이케이인증원(주)[AKR]
31 아이엠에스인증원(주)[IMS]
32 (주)한국표준경영원[SMI]
33 (주)글로벌경영인증원[GMR]
34 (주)한국경제인증원[KECR]
35 케이티엘엠에스인증원(주)[KTLMS]
36 (주)오큐에스인증원[OQS]
37 국방기술품질원[DTaQ]
38 (주)ICR[ICR]
39 (주)지써티[GCT]
40 (주)한국산업인증원[KICR]
41 트라국제인증원(주)[TRACI]
42 디큐에스코리아(유)[DQS]
43 (주)한국가치경영인증원[KVM]
44 한국시스템인증원(주)[KSC]
45 한국적합성평가원(주)[KCA]
46 티유브이노르트코리아[TÜV-Nord]
47 한국컴플라이언스인증원(주)[KCCA]
48 (주)한국기업인증원[KOCI]
49 (주)글로벌표준인증원[GSC]
50 이큐인증원(주)[EQ]
51 국제심사평가센터(주)[IAA]
52 ㈜한국경영시스템인증원[KMSC]
53 주식회사 국제인증공사[GCC]
54 시스템개발인증원 주식회사[SDI]
55 (주)한국표준인증원[KSCR]
56 글로벌베스트인증원(주)[GBR]
57 (주)에이써티 [ACT]
58 (사)한국정보과학진흥협회 [K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