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는 그것이 존재하는 장에서 배치를 이루고 있는 모든 기계를 '욕망하는 기계’라고 말하고 있다. 이것을 달리 표현하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개 체는 '욕망하는 개체'라는 뜻이 된다. 여기에서 말하고 있는 욕망은 '부족을 느껴 무엇 을 가지거나 누리고자 탐함’이라는 사전적 의미 가 아니라 ‘차이를 생성하려는 의욕'을 뜻하고 있다. 들뢰즈는 배치를 이루고 있는 모든 개체는 이러 한 형태의 의욕, 즉 욕망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결국 모든 개체의 존재양식은 '차이의 생성이 만 들어 낸 결과물’, 즉 ‘욕망이 빚어낸 결과물'인 셈 이다. 이때 비슷한 결과물을 생성한 개체들은 '차이생 성의 바다' 위에 떠 있는 하나의 동일한 섬에 배 치된 것이며 그 배치는 구성과 해체를 반복하게 된다.
인간의 욕망은 잠시의 쉼도 없이 무한히 진동하있다. 욕망은 인간이라는 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 중에 하나이기에 욕망이 진동한다는 것은 '인간 은 무한히 진동하는 존재’라는 의미이다. 인간은 다른 개체와의 차이를 생성하려는 의욕을 따름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며 또한 인간다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인간의 욕망은 좌절시켜야만 하는 대상 이 아닌 것이다.
다수가 욕망을 추구하는 것처럼 소수 또한 그들 의 욕망을 추구하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가 욕망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으 며 그것들에는 단지 그것을 행하는 방법이나 정 도의 차이만이 있을 뿐이다. 인간의 이 욕망이 사회의 흐름을 만들고 있으며 그 흐름이 언제 어디로 흘러갈지를 알 수 없는 것 은, 인간의 욕망은 비방향성과 불규칙성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욕망들 중에서는 비슷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욕망들은 각기 서로 다른 방향 향해 흘러간다. 욕망들은 역동적인 흐름을 만들어 내고, 그 역동 성으로 인해 충돌을 일으켜 파괴되고 생성되기를 반복한다. 그 결과로 어떤 것들은 사회의 시스템에 순행하 고 어떤 것들은 역행하게 된다. 인간의 사회 시스템에서는, 순행하는 것을 사회 의 순리를 따르는 것이라고 하고 역행하는 것을 사회에 반항하는 것 또는 저항하는 것이라고 한 다.
욕망을 따라 흘러가는 개체는 다른 개체들과 부 딪히며 자기의 위치를 벗어나게 되지만 그 흐름 을 완전하게 벗어나기는 어렵다. 자본주의는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는 거대한 시스 템이다. 하지만 개체가 가진 의지의 정도와 욕망의 강도 에 따라서는 시스템의 흐름을 벗어나는 일이 가 능해진다. 강한 욕망과 그것을 실현시킬 의지만이 사회시스 템의 인력과 척력을 이겨내고 새로운 흐름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들뢰즈는 이것을 탈주(도주)라 한다.
배치를 이루는 개체들은 욕망하는 기계들이며 이 때 배치는 그것들의 욕망으로 인해 끊임없이 변 화하게 된다. 개체가 배치를 형성하는 것을 '영토화’라고 할 수 있으며, 형성된 배치가 해체되는 것을 '탈영토 화’, 개체가 그 배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탈주’라 고 할 수 있다. 욕망하는 개체에게 있어 기존의 배치를 바꾸려는 의욕은 제어할 수 없는 본능이다. 3차원의 공간에 배치된 인간이, 현재의 자신을 규정하고 있는 틀을 넘어 더 나은 다른 삶, 더 나 은 다른 존재방식을 추구하는 것은 막아설 수 없 는 흐름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의 배치로부터 탈주를 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다른 삶으로, 다른 배치로, 지금의 배치를 벗어나 바깥으로 이행하는 것을 들뢰즈는 ‘되기’(becoming)라고 부른다.
들뢰즈가 남긴 다음의 문장을 통해, 다수-소수 문 제에 대한 그의 사상을 다시 한 번 짚어볼 수 있게 된다. “좌파는 소수되기의 집합이라네. 그러니까 다 수에는 아무것도 없고, 소수에게 모든 것이 있 는 것이지. 그게 좌파의 핵심이라네.”
들뢰즈가 마르크스주의자라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는 사실이지만, 그의 사상은 들뢰즈-마르크스 주의라고 부르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자본주의 시스템을 살아가면서도 전적으로 자본주의 시스템의 흐름에 따르지 않은 소수되기 를 실천한 철학자이다. 들뢰즈 또한 자신의 배치에서 탈주하려는 ‘욕망 하는 기계’였던 것이다. 여기에서 한 가지 질문이 생긴다. “그렇다면, 들뢰즈의 철학에 열광하고 있는 사람들은 욕망하는 기계들이며, 탈주를 통해 소수 되기를 열망하는 개체들이란 말인가." by. Dr. Franz Ko(고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