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척시소혜(擲施小惠)
(적에게) 작은 미끼를 물게 해야 한다.
擲 : 던질 척(扌/15)
施 : 베풀 시(方/5)
小 : 작을 소(小/0)
惠 : 은혜 혜(心/8)
척(擲)이란 무엇인가를 던진다는 뜻이다. 노름할 때 자기 패를 던진다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므로, 성공 가능성을 기대하고 어떤 행위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큰 승부는 건곤일척(乾坤一擲)이라고 한다. 단판 승부를 가리킨다. 최고의 승부사는 작은 소척대탐(小擲大貪)에 능하고, 대부분 패자는 소탐대실(小貪大失)에 연연한다. 소척은 혜택이나 이익을 가장하므로 소혜(小惠) 또는 소리(小利)이다.
척시소혜(擲施小惠)는 상대를 유인하기 위해 나의 군사, 경제, 물질, 인력, 명분과 같은 것들을 상대에게 던져주는 것을 가리킨다. 무조건 주는 것이 아니라, 상대가 물지 않을 수 없도록 교묘하게 포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상대가 필요로 하는 것이면 더 좋다. 상대의 심장을 노리려면, 내 팔 하나 정도는 줄 수 있어야 한다.
춘추시대 말기 남방의 초는 주변 소국을 병탄하면서 강국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교(絞)라는 작은 나라는 만만치 않았다. 몇 달이나 대치했지만, 승부가 나지 않았다. 초무왕(楚武王)은 무력이 아니라 계략이 필요했다. 대부 막오(莫傲)와 굴하(屈瑕)가 상황을 분석한 후 '척시소혜(擲施小惠)'를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근거는 오랫동안 고립된 교군진영에게 땔감이 떨어졌다는 정보였다. 실제로 교군의 진영에서는 이미 상당 기간 연기가 오르지 않았다. 땔감이라는 작은 이득을 주면 교군은 성을 나와 미끼를 물 것이다. 초왕은 일부러 군사들에게 땔감을 마련해 돌아오라고 명했다. 적이 그것을 빼앗으려고 성을 나오게 유인하려는 속셈이었다. 땔감을 마련하는 병력은 대부분 비전투요원이었다. 만만하게 보여야 빼앗으려고 할 것이다. 정예 병력은 교군의 퇴로에 매복했다.
오랫동안 고립된 교후(絞侯)는 정말 땔감이 없어서 고통스러웠다. 갑자기 초군이 먼 산에서 땔감을 마련한다는 보고를 받았다. 물론 땔감을 마련하는 초군이 주로 노약자라는 사실도 알았다. 그는 초군을 습격하고 땔감을 탈취하라고 명했다. 첫날은 땔감을 하던 초군 30명을 생포했다. 교군은 적지 않은 땔감과 의복, 군량미를 부수적으로 얻었다.
이 성과에 흡족해진 교후는 다음 날도 초군을 습격하라고 명했다. 며칠 동안 같은 일이 반복되자, 성안에는 어느 정도 땔감이 풍족해졌다. 자신감이 생긴 교후는 6일째 되는 날 더 많은 병력을 출전시켰다. 대규모 부대가 나타나자, 겁을 먹은 초군은 깊은 산속으로 도망쳤다. 많은 땔감을 빼앗은 교군은 초군을 추격해 깊은 산중으로 들어갔다.
갑자기 천지를 진동하는 함성과 함께 초군의 복병이 나타났다. 혼비백산한 교군은 전투력을 상실하고 황급히 성으로 도망쳤다. 그러나 성으로 돌아가는 길목에는 또 다른 초군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초군은 교군을 포위해 교국에 잡혀간 포로보다 더 많은 포로를 잡았다. 교후는 도저히 초군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성에서 나와 항복했다. 이 전투로 교국은 멸망했다.
교후는 작은 이익을 탐하다가 나라를 잃었고, 초왕은 땔감이라는 낚싯밥을 던져 결정적인 승리를 얻었다. 승패와 득실은 대조적이다. 초왕에게 이러한 계책을 제출한 막오와 굴하는 정치적 두뇌와 모략의 고수들이었다.
실현 가능성을 놓고 토론할 때 굴하가 주장했다. “이익으로 유인해야 합니다. 먼저 적에게 작은 미끼를 물게 해야 합니다. 적이 경계심을 풀고 마음대로 성을 나와 행동하면 매복했다가 일시에 섬멸할 수 있습니다. 교성 바깥은 산이 에워싸고 있습니다. 이 계략을 시행하기에 적합합니다.” “교군을 성 밖으로 끌어낼 수 있겠는가?”
이번에는 막오가 대답했다. “교국은 약소국이고 사람들의 성질은 조급합니다. 성질이 조급한 사람들은 계략이 없습니다. 좋은 냄새가 나는 낚싯밥을 던져주면, 반드시 위장이 동해서 그것을 물게 됩니다.”
이후 과정은 그들의 생각대로 진행됐다. 크고 작음을 구분하는 것이 승부사의 능력이다.
▶️ 擲(던질 척)은 형성문자로 擿(척)과 掷(척)은 통자(通字), 掷(척)은 (간자)이다. 뜻을 나타내는 재방변(扌=手; 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鄭(정, 척)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擲(척)은 ①던지다 ②내버리다 ③내버려 두다 ④뛰어 오르다 ⑤떨치다 ⑥노름을 하다 ⑦도박(賭博)을 걸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던질 투(投), 던질 포(抛)이다. 용례로는 윷놀이를 척사(擲柶), 쌀알을 던져서 점을 치는 일을 척미(擲米), 죄상을 조사하여 들추어 냄을 척발(擲發), 내던지어 죽임을 척살(擲殺), 던져서 내버림을 척거(擲去), 적에게 던지는 폭탄을 척탄(擲彈), 금품을 마땅히 쓸 자리에 시원스럽게 내놓는 것을 쾌척(快擲), 한 번 내어던짐을 일척(一擲), 비교적 무거운 물체를 힘껏 던지는 것을 투척(投擲), 물건을 내던짐을 포척(抛擲), 후려 때림 또는 후려 침을 타척(打擲), 들어서 내던짐을 포척(抱擲), 내던져 버림을 방척(放擲), 어떤 물건을 들어 던짐을 양척(揚擲), 던져 버림이나 던진 채 내버려 둠을 기척(棄擲), 던진 과일이 수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여성이 남성에게 사랑을 고백함을 이르는 말을 척과만거(擲果滿車), 하늘이냐 땅이냐를 한 번 던져서 결정한다는 뜻으로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판으로 승부나 성패를 겨룸을 건곤일척(乾坤一擲), 용과 범이 맞붙어 싸운다는 뜻으로 영웅들이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을 용나호척(龍拏虎擲), 노름꾼이 남은 돈을 한 번에 다 걸고 마지막 승패를 겨룬다는 뜻으로 전력을 기울여 어떤 일에 모험을 거는 것을 비유한 말을 고주일척(孤注一擲) 등에 쓰인다.
▶️ 施(베풀 시, 옮길 이)는 ❶형성문자로 음(音)을 나타내는 也(야, 시)와 그 이외(以外)의 글자 (언; 깃발)으로 이루어졌다. 깃발이 흔들거린다는 뜻으로 음(音)을 빌어 베푼다는 뜻으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施자는 '베풀다'나 '실시하다', '드러내다', '뽐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施자는 㫃(나부낄 언)자와 也(어조사 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여기서 也자는 '야, 시'로의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施자의 갑골문을 보면 사람을 줄에 매달아 놓은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고대에는 적의 시신을 창에 매달아 적군의 사기를 떨어뜨리곤 했다. 施자는 그러한 모습을 그린 것이다. 금문에서는 也자가 발음요소로 쓰이면서 지금의 施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施자에 '드러내다'나 '뽐내다'라는 뜻이 있는 것도 적들에게 아군의 용맹성을 표현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그래서 施(시, 이)는 성(姓)의 하나로 ①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 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②실시하다 ③미치게 하다, 나누어 주다 ④널리 퍼지다, 번식하다 ⑤드러내다 ⑥뽐내다, 과장하다 ⑦기뻐하다 ⑧탄핵하다 ⑨효시(梟示)하다 ⑩흩뿌리다 ⑪좋아하는 모양 ⑫은혜(恩惠) 그리고 옮길 이의 경우는 ⓐ옮기다(이) ⓑ끌다(이) ⓒ연장하다(이)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만연하다(이) ⓔ버리다(이) ⓕ해제(解除)하다(이) ⓖ기울다(이) ⓗ비스듬히 가다(이) ⓘ바르지 아니하다(이)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실제로 행함을 시행(施行), 계책을 베풂 또는 그 계책을 시책(施策), 은혜를 베풂 또는 그 은혜를 시혜(施惠), 의술 따위를 베푸는 일을 시술(施術), 정치를 행함을 시정(施政), 공사를 실시함을 시공(施工), 자물쇠를 채워 문을 잠금을 시정(施錠), 건축이나 토목 따위의 일을 착수하여 진행함을 시공(施功), 어떤 일을 시행하고 조치를 취함을 시조(施措), 상을 주는 일을 시상(施賞), 논 밭에 거름을 주는 일을 시비(施肥), 승려나 절에 물건을 바치는 사람 또는 그 일을 시주(施主), 실제로 시행함을 실시(實施), 은혜를 갚아서 베풂을 보시(報施), 하려던 일을 그만 둠을 물시(勿施), 요구하는 대로 베풀어 줌을 허시(許施), 시행할 일을 계획함을 설시(設施), 많은 사람에게 널리 사랑과 은혜를 베풂을 박시(博施), 제기한 의견을 받아들여 시행함을 채시(採施), 명령에 좇아 일을 시행함을 거시(擧施),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 함부로 마구 베풂을 남시(濫施), 청원이나 요구를 들어서 그대로 베풀어 줌을 청시(聽施), 서시가 가슴을 쓰다듬는다는 뜻으로 함부로 흉내내다가 웃음거리가 됨을 이르는 말을 서시봉심(西施捧心), 못생긴 여자가 서시의 눈썹 찌푸림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시비나 선악의 판단 없이 남을 흉내냄을 이르는 말을 동시효빈(東施效矉),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하고 아첨하는 사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거저척이(遽篨戚施), 제 것을 남에게 잘 주는 이는 무턱대고 남의 것을 탐낸다는 말을 경시호탈(輕施好奪), 전례를 참고하여 상을 줌을 일컫는 말을 고례시상(考例施賞), 방형에나 원형에나 다 잘 들어맞다는 뜻으로 갖가지 재능이 있어서 어떤 일에도 적합함을 이르는 말을 방원가시(方圓可施), 사랑과 은혜를 널리 베풀어 뭇사람을 구제함을 일컫는 말을 박시제중(博施濟衆), 꾀는 있으나 쓸 만한 데가 없음을 일컫는 말을 계무소시(計無所施), 시주가 없는 옷이란 뜻으로 승려가 자신이 모은 천 조각으로 꿰매어 만든 옷을 일컫는 말을 무시주의(無施主衣), 빈말만 하고 실행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공언무시(空言無施), 남을 헐뜯는 나쁜 말을 하기 쉬움을 일컫는 말을 악어이시(惡語易施), 차례를 거꾸로 시행한다는 뜻으로 곧 도리에 순종하지 않고 일을 행하며 상도를 벗어나서 일을 억지로 함을 이르는 말을 도행역시(倒行逆施) 등에 쓰인다.
▶️ 小(작을 소)는 ❶회의문자로 한 가운데의 갈고리 궐(亅; 갈고리)部와 나눔을 나타내는 八(팔)을 합(合)하여 물건을 작게 나누다의 뜻을 가진다. 小(소)는 작다와 적다의 두 가지 뜻을 나타냈으나, 나중에 小(소; 작다)와 少(소; 적다)를 구별하여 쓴다. ❷상형문자로 小자는 '작다'나 '어리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小자는 작은 파편이 튀는 모습을 그린 것이기 때문에 '작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고대에는 小자나 少(적을 소)자의 구분이 없었다. 少자도 작은 파편이 튀는 모습을 그린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小자는 '작다'로 少자는 '적다'로 뜻이 분리되었다. 그래서 小자가 부수로 쓰일 때도 작은 것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지만 때로는 모양자 역할만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小(소)는 크기에 따라 대(大), 중(中), 소(小)로 나눌 경우의 제일(第一) 작은 것의 뜻으로 ①작다 ②적다 ③협소하다, 좁다 ④적다고 여기다, 가볍게 여기다 ⑤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주의하다 ⑥어리다, 젊다 ⑦시간상으로 짧다 ⑧지위가 낮다 ⑨소인(小人) ⑩첩(妾) ⑪작은 달, 음력(陰曆)에서 그 달이 날수가 30일이 못 되는 달 ⑫겸양(謙讓)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어 ⑬조금, 적게 ⑭작은, 조그마한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작을 미(微), 가늘 세(細), 가늘 섬(纖),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클 대(大), 클 거(巨)이다. 용례로는 적게 오는 눈을 소설(小雪), 일의 범위가 매우 작음을 소규모(小規模), 작은 수나 얼마 되지 않는 수를 소수(小數), 나이 어린 사람을 소인(小人), 어린 아이를 소아(小兒), 같은 종류의 사물 중에서 작은 규격이나 규모를 소형(小型), 자그마하게 포장한 물건을 소포(小包), 줄여서 작아짐 또는 작게 함을 축소(縮小), 가장 작음을 최소(最小), 공간이 어떤 일을 하기에 좁고 작음을 협소(狹小), 키나 체구가 보통의 경우보다 작음을 왜소(矮小), 아주 매우 작음을 극소(極小), 약하고 작음을 약소(弱小), 너무 작음을 과소(過小), 매우 가볍고 작음을 경소(輕小), 보잘것없이 작음을 비소(卑小), 마음을 조심스럽게 가지어 언행을 삼감을 소심근신(小心謹愼), 작은 것을 탐하다가 오히려 큰 것을 잃음을 일컫는 말을 소탐대실(小貪大失), 혈기에서 오는 소인의 용기를 일컫는 말을 소인지용(小人之勇), 작은 나라 적은 백성이라는 뜻으로 노자가 그린 이상 사회 이상 국가를 이르는 말을 소국과민(小國寡民), 큰 차이 없이 거의 같음을 일컫는 말을 소이대동(小異大同), 어진 임금이 나라를 다스리면 소인들은 겉모양만이라도 고쳐 불의한 것을 함부로 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소인혁면(小人革面), 마음을 조심스럽게 가지어 언행을 삼감을 일컫는 말을 소심근신(小心謹愼), 세심하고 조심성이 많다는 뜻으로 마음이 작고 약하여 작은 일에도 겁을 내는 모양을 일컫는 말을 소심익익(小心翼翼), 조그마한 틈으로 물이 새어들어 배가 가라앉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게을리하면 큰 재앙이 닥치게 됨을 비유하는 말을 소극침주(小隙沈舟), 얼마 안 되는 작은 물 속에 사는 물고기라는 뜻으로 죽음이 눈앞에 닥쳤음을 이르는 말을 소수지어(小水之魚) 등에 쓰인다.
▶️ 惠(은혜 혜)는 ❶회의문자로 恵(혜)의 본자(本字)이다. 언행을 삼가고(부수를 제외한 글자) 어진 마음(心)을 베푸니 은혜를 뜻한다. 어진 사람은 자기 자신을 삼가고 남을 위함이다. ❷회의문자로 惠자는 '은혜'나 '사랑', '자애'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惠자는 心(마음 심)자와 專(오로지 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專자는 실을 감아두던 '방추(紡錘)'를 돌리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런데 은혜나 사랑이 방추를 돌리는 것과는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일까? '은혜'나 '사랑', '자애'란 남에게 베푸는 선한 마음을 말한다. 그래서 惠자는 실을 푸는 모습을 그린 專자에 心자를 결합하여 선한 마음을 베푼다는 뜻을 표현했다. 그러니까 惠자는 실을 푸는 모습을 선한 마음을 베푸는 것에 비유한 글자라 할 수 있다. 그래서 惠(혜)는 ①은혜(恩惠), 사랑, 자애(慈愛) ②경어(敬語: 상대를 공경하는 뜻의 말) ③세모창(세모진 창) ④털매미(매밋과의 곤충), 씽씽매미(털매미) ⑤(은혜를)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사랑하다 ⑥인자(仁慈)하다 ⑦순(順)하다, 유순(柔順)하다 ⑧슬기롭다, 총명(聰明)하다 ⑨아름답다, 곱다 ⑩꾸미다, 장식(裝飾)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은혜 은(恩),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한 한(恨), 원망할 원(怨)이다. 용례로는 은혜와 덕택으로 자연이나 문명이나 단체 등이 사람에게 베푸는 이로움이나 이익을 혜택(惠澤), 은혜를 베풀어 돌보아 줌을 혜고(惠顧), 동정하여 주는 생각을 혜념(惠念), 남에게 알려 달라고 부탁하는 말을 혜시(惠示), 자비로운 임금을 혜군(惠君), 은혜로 사랑하여 생각함을 혜사(惠思), 은혜롭게 사랑함을 혜애(惠愛), 은혜롭게 무엇을 줌을 혜여(惠與), 사랑으로 베풀어주는 신세나 혜택을 혜은(惠恩), 은혜를 배풀어 교화함을 혜화(惠化), 자혜로 가르침 또는 자비로운 가르침을 혜훈(惠訓), 은혜를 베푸는 방법을 혜술(惠術), 자연이나 남에게서 받는 고마운 혜택을 은혜(恩惠), 특별한 은혜 또는 혜택을 특혜(特惠), 은혜를 입음이나 혜택을 받음을 수혜(受惠), 은혜를 베풂 또는 그 은혜를 시혜(施惠), 서로 도와 편익을 주어서 끼치는 은혜를 호혜(互惠), 하늘의 은혜를 천혜(天惠), 은혜를 입음을 몽혜(蒙惠), 말로만 베푸는 은혜로 말만하고 실지가 없어서 남의 미움을 받는 일을 구혜(口惠), 인자하게 돌보아 주는 은혜를 자혜(慈惠), 사사로이 입은 은혜로 한 쪽으로만 치우친 불공평한 은혜를 사혜(私惠), 위정자는 백성에게 은혜를 베풀되 낭비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을 혜이불비(惠而不費),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 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를 이르는 말을 불비지혜(不費之惠)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