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늑약에 죽음으로 항거한 민영환의 군복, 문화재 된다
문화재청, ‘민영환 서구식 군복’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은 문화재 등록 고시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이 예고된 ‘민영환 서구식 군복’. 문화재청 제공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개화 관료로 일제의 침략에 죽음으로 항거한 민영환(1861~1905)이 입었던 서구식 군복이 문화재가 된다. 또 지난달 등록이 예고됐던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은 국가등록문화재에 올랐다.
문화재청은 “민영환이 입었던 군복을 ‘민영환 서구식 군복’이란 명칭으로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을 예고하고,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은 등록을 고시했다”고 15일 밝혔다.
등록이 예고된 ‘민영환 서구식 군복’은 1897~1900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모자와 상의·하의 등 모두 14건 17점으로 구성돼 있다. 서구식 군복제도는 육군복의 종류와 복장별 구성 품목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는 1895년 ‘육군 복장규칙’에 따라 시행됐다. 문화재청은 “ ‘민영환 서구식 군복’은 1897년 및 1900년에 개정된 ‘육군장졸 복장제식’에 따라 예모(예복을 입을 때 격식에 맞춰 쓰는 모자)와 대례의(상의), 소례 견장(제복의 어깨에 부착하는 표장), 칼을 찰 때 필요한 도대와 육군 복장과 함께 단 훈장 품목인 대수 등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갖추고 있어 복식사적으로 가치가 높다”고 밝혔다.
이 유물들은 민영환의 후손이 2005년 민영환 순국 100주년을 맞아 고려대 박물관에 기증했다. 대한제국 내부대신·군법교정총재 등을 지낸 민영환은 일제가 대한제국 외교권을 박탈한 을사늑약이 체결된 직후인 1905년 11월 을사늑약의 부당함과 자유 독립을 강조하는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등록 예고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민영환 서구식 군복’의 등록 여부를 확정할 예정이다.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의 외부(왼쪽)와 내부 모습. 문화재청 제공
국가등록문화재가 된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은 한국인 최초의 천주교 사제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1821~1846)를 기념하기 위해 경기 안성시 천주교 미리내 성지에 세워진 성당과 성당 묘역이다. 문화재청은 “1928년 세워진 성당과 성당 묘역에서 한국 천주교의 발전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며 “기념 성당의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는데다 성당 앞에 자리한 묘역들이 성당의 상징성과 장소성을 더욱 잘 보여준다”고 밝혔다.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는 1821년 충남 당진 솔뫼의 천주교 가정에서 태어나 1845년 중국에서 신부 서품을 받아 한국의 첫 사제가 됐다. 활발한 사목활동을 하던 김 신부는 천주교 박해가 심하던 1846년 천주교인으로서 신앙을 지키다 서울 새남터에서 순교했다. 중국 상하이에서 페레올 주교에게 사제품을 받은 지 1년 째, 만 25세 나이였다. 김 신부는 1984년 전 세계 천주교 신자들의 공경 대상이자 세례명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성인품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