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경덕박(材輕德薄)
자질은 가볍고 덕은 얇다는 뜻으로, 능력도 인격도 형편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材 : 재목 재(木/3)
輕 : 가벼울 경(車/7)
德 : 클 덕(彳/12)
薄 : 얇을 박(艹/13)
재성우덕(才盛于德), 위지소인(謂之小人)
덕성우재(德盛于才), 위지군자(謂之君子)
덕재겸비(德才兼備), 위지성인(謂之聖人)
재주가 덕보다 크면 소인이라 일컫고, 덕이 재주보다 크면 군자라 일컬으며, 덕과 재주를 함께 갖추고 있으면 성인이라 일컫는다. 송대의 문인이자 강직한 역사로 유명한 사마광(司馬光·1019~1086)이 편찬한 역사서 자치통감(資治通鑑)에 나오는 말이다.
우리들은 초등학교 중학교의 교과서를 통해서 국가가 삼권(三權)으로 분립되어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로 나뉘어져 있고, 그 수장(首長)은 국회의장 대법원장 대통령이고, 그 권리가 대등한 것으로 배워 알고 있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 때, 신문기자가 “호남 출신 인사들을 너무 많이 기용하는 것 같습니다”라고 질문을 하자, 김대통령은, “삼부요인 가운데 국회의장과 대법원장이 호남 출신이 아닌데, 무슨 소리냐?”라고 반박한 적이 있다.
우리나라 헌법정신에 삼권분립이 확립돼 있으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대통령이 삼부요인에 포함되지 않고 국무총리가 포함된 것도 국회의장과 대법원장과는 그 권한에 있어 많은 차이가 난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말해준다. 국회의장이나 대법원장은, 대통령이 어떤 사람을 시키겠다는 의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대통령은 국가를 대표하는 국가원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회의장이나 대법원장은 임명받기 위해서 대통령의 심기(心氣)를 살펴 거스르지 않으려고 애를 쓰고, 임명된 뒤에는 보은(報恩)의 차원에서 대통령의 뜻을 잘 받들어야 한다. 이런 실정이니 실제로 별 힘이 없게 되었다. 자기가 잘 처신하면 그래도 형식적인 권위는 지키지만, 잘못 처신하게 되면 국민들의 비웃음거리밖에 안 된다.
자유당 정권 때 45세의 나이로 국무총리를 지냈고, 또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국무총리를 한 번 더 지내고, 국회의장까지 지낸 백두진(白斗鎭)이라는 분이 있었는데, 유신 2기 국회에서 다시 국회의장을 하고 싶어, 비밀리에 대통령의 측근인 차지철(車智澈) 경호실장을 일곱 번이나 찾아가 결국 국회의장이 된 적이 있었다.
이러고서 국회의장의 권위가 어떻게 서겠는가? 청와대 경호실장이나 경호원들이 국회의장을 보면, 허수아비처럼 보이지 않겠는가? 그래도 이 분은 출중한 능력과 깔끔한 매너라도 있었다.
오늘날은 민주화니 발전이니 운운하지만, 더 퇴보가 된 것 같다. 국가가 법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김대중 당시 야당총재의 강력한 요구에 의하여 노태우(盧泰愚) 대통령 때 헌법재판소가 만들어졌다. 대법원은 사건 판결이 위주지만,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체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역사는 짧아도 그 위상은 대법원 못지 않다.
그 소장이 되려는 사람이 헌법재판관을 그만두면 헌법재판소장 임명 자격을 상실한다는 것도 모르고, “헌법재판소장에 임명하겠다”는 청와대 비서관의 전화 한 통에 너무 좋아서 덜컹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사퇴하고, 재판소장에 임명되기를 기다리는 행위 자체가 헌법재판소의 권위를 얼마나 실추시키겠는가?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부터 막말을 하고 다녀 지금 국민들이 정신적인 몸살이 너무나 심하다. 그런데 “천하에 짝이 없는 물건이 없다”는 속담처럼, 또 대법원장까지 나서서 여기저기 다니면서 막말을 하여, 지금 검찰과 변호사 단체가 들끓고 있다. 서로 손발을 맞추며 일해야 할 관계가 아닌가?
대한민국에는 곳곳에 뛰어난 인재들이 얼마든지 많이 있다. 대통령이 자기 잘 아는 사람만 골라 쓰다 보니, 자질도 시원찮고 인격도 안 되는 인물을 임명하여, 불필요한 소동을 야기하고 있다.
적절하지도 않은 사람을 어떤 자리에 임명하고서 누가 문제를 삼으면, “인사는 대통령의 고유한 권한인데, 무슨 소리냐?”라는 말로 방어하는데, 인사는 대통령의 고유한 권한이 아니고, 국민들이 5년 동안 잠시 위임한 것일 따름이다. 인사를 잘못한다고 국민들이 지적하면, 밀어붙일 것이 아니라, 수긍하고 검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재주가 덕을 넘어설수는 없다
천재불용(天才不用)
(재주가 덕을 넘어설수는 없다)
요즘 젊은 엄마들은 너 나 할것 없이 자식을 천재로 키우려고 합니다. 하지만 세상에 나가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은 천재가 아니라 덕이 있는 사람입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지도자의 위치에서 사회를 이끄는 사람은 천재가 아니라 덕이 높은 사람입니다.
사람들은 천재를 부러워하지만 천재는 오래가지 못합니다. 하지만 덕은 영원합니다. 그러므로 머리좋은 사람으로 키우기 전에 덕을 좋아하고 덕을 즐겨 베풀 줄 아는 사람으로 키워야 할 것입니다.
공자는 천재불용(天才不用)이라 하여 덕없이 머리만 좋은 사람은 아무 짝에도 소용이 없다고 했습니다. 이는 공자(孔子)와 황택(皇澤)의 이야기에서 잘 알수 있습니다
어느날 공자가 수레를 타고 길을 가는데 어떤 아이가 흙으로 성을 쌓고 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수레가 가까이 가도 아이는 비켜 줄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얘야 수레가 지나갈 수 있도록 길을 비켜주겠느냐?" 그런데도 아이는 쭈그리고 앉아 하던 놀이를 계속했습니다.
그러고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수레가 지나가도록 성이 비켜야 합니까? 아니면 수레가 성을 비켜 지나가야 합니까?" 아이의 말에 공자는 똑똑한 녀석이라고 생각하며 수레를 돌려 지나가려 했습니다. 그러다가 아이에게 이름과 나이를 물어 보았습니다. 그러자 이름은 황택이며 나이는 8살이라 했습니다.
이에 공자는 "한가지 물어 보아도 되겠느냐? 그러고는 바둑을 좋아하느냐?"고 물어 보았습니다. 그러자 황택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군주가 바둑을 좋아 하면 신하가 한가롭고, 선비가 바둑을 좋아하면 학문을 닦지 않고, 농사꾼이 바둑을 좋아하면 농사일을 못하니 먹을 것이 풍요롭지 못하게 되거늘 어찌 그런 바둑을 좋아 하겠습니까?"
아이의 대답에 놀란 공자는 한 가지 더 물어도 되겠냐고 하고는 "자식을 못 낳는 아비는 누구냐?"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아이는 허수아비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면 연기가 나지 않는 불은 무엇이냐? "반디불이입니다." 그러면 고기가 없는 물은 무엇이냐? "눈물입니다." 아이의 거침없는 대답에 놀란 공자는 입을 다물지 못했습니다.
그 순간 아이가 벌떡 일어서며 "제가 한 말씀 여쭤도 되겠습니까?" 하고 말했습니다. 공자가 그렇게 하라고 이르자 아이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아주 추운 겨울에 모든 나무잎들이 말라 버렸는데 어찌 소나무만 잎이 푸릅니까?" 공자는 잠시 생각하다가 "속이 꽉 차서 그럴것이다" 하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습니다. "그렇다면 속이 텅빈 저 대나무는 어찌하여 겨울에도 푸릅니까?" 그러자 공자는 "그런 사소한 것 말고 큰 것을 물어 보아라" 했습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습니다. "하늘에 별이 모두 몇 개 입니까? "그건 너무 크구나." 그럼 땅위의 사람은 모두 몇 명입니까?" "그것도 너무 크구나." "그럼 눈위의 눈썹은 모두 몇 개입니까?" 아이의 질문에 공자는 아무런 대답을 하지 못했습니다.
공자는 아이가 참 똑똑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하여 아이를 가르쳐 제자로 삼고 싶다는 생각을 잠시 했습니다. 하지만 공자는 아이가 머리는 좋으나 德이 부족해 궁극에 이르지는 못할 것이라는 사실을 내다 봤습니다. 그리하여 다시 수레에 올라 가던 길을 계속 갔습니다.
실제로 황택의 이름은 그 이후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의 천재성은 8살에서 끝이 나고 말았던 것입니다. 사람들은 머리로 세상을 산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머리가 세상에 미치는 영향보다 가슴에 미치는 영향이 휠씬 큽니다. 그러므로 머리에 앞서 덕을 쌓고 덕으로 세상을 살수 있도록 가르쳐야 할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상이 온갖 거짓과 모순이 악으로 넘쳐나는 것은 지식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덕이 모자라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은 천재교육이 아니라 "재주가 덕을 이겨서는 안된다"는 소박한 진리일 것 입니다.
▶️ 材(재목 재)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 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才(재; 잘라 내는 일)이 합(合)하여 재목을 뜻한다. 材(재)는 樹(수; 서 있는 나무)를 자른 材木(재목), 건물(建物)이나 도구(道具)의 재료가 되므로 사람의 素質(소질)이나 재능도 材(재)라 한다. ❷회의문자로 材자는 '재목'이나 '재료', '재능'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材자는 木(나무 목)자와 才(재주 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才자는 땅 위로 올라오는 새싹을 그린 것으로 '재능'이나 '재주'라는 뜻이 있다. 이렇게 '재능'을 뜻하는 才자에 木자가 더해진 材자는 상태나 재질이 좋은 나무라는 뜻이다. 材자는 나무의 '재목'이나 '재료'라는 뜻으로 쓰이지만, 사람에 비유할 때는 '재능'이나 '재주', '수완'과 같이 사람의 자질과 관련된 뜻을 갖는다. 그래서 材(재)는 ①재목(材木) ②재료(材料), 원료(原料) ③재능(才能), 재주, 수완(手腕) ④성질(性質) ⑤자질(資質), 바탕 ⑥도리(道理), 길 ⑦보물(寶物), 재화(財貨) ⑧가, 변두리 ⑨나무의 열매 ⑩헤아리다 ⑪사용하다, 쓰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물건을 만드는데 드는 원료를 재료(材料), 재목의 질을 재질(材質), 건축이나 토목 또는 기구 등의 재료로 쓰이는 나무를 재목(材木), 사람의 됨됨이와 쓸모 있는 바탕 또는 쓸모 있는 사람을 재국(材局), 예술 작품의 바탕이 되는 재료를 소재(素材), 어떤 사물에서 작품이나 기사의 재료 또는 제재를 얻음을 취재(取材), 학식과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인재(人材), 가르치고 배우는 데 쓰이는 재료를 교재(敎材), 건축이나 가구 그밖에 여러 가지로 쓰이는 나무로 된 재료를 목재(木材), 무엇을 만드는 기본이 되는 재료를 자재(資材), 시세를 하락시키는 사항을 악재(惡材), 예술 작품이나 학술 연구 등의 주제가 되는 재료를 제재(題材),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쓰이는 모래나 자갈 따위의 재료를 골재(骨材), 쓸모 없는 재목 또는 그런 사람을 산재(散材), 재목이 너무 커서 도리어 쓰기 어렵다는 말로 재주 있는 이가 불우한 처지에 있음을 이르는 말을 재대난용(材大難用), 들보로 쓸 만한 재목이라는 뜻으로 나라의 중임을 맡을 만한 큰 인재라는 말을 동량지재(棟梁之材), 방패와 성의 구실을 하는 인재란 뜻으로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인재를 이르는 말을 간성지재(干城之材), 영웅이 될 만한 자질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을 영웅지재(英雄之材), 여러 세대를 통하여 드물게 나는 뛰어난 인재를 이르는 말을 간세지재(間世之材), 참나무와 가죽나무의 재목이라는 뜻으로 쓸데없는 물건이나 무능한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을 저력지재(樗櫟之材), 큰 재목이 작게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사람을 부리는 데 있어서 제 능력을 다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이 안된다는 말을 대재소용(大材小用), 어떤 일에 적당한 재능을 가진 자에게 적합한 지위나 임무를 맡긴다는 말을 적재적소(適材適所) 등에 쓰인다.
▶️ 輕(가벼울 경)은 ❶형성문자로 軽(경)의 본자(本字), 䡖(경)은 통자(通字), 轻(경)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수레 거(車; 수레, 차)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巠(경; 세로로 곧게 뻗은 줄)로 이루어졌다. 곧장 적에게 돌진하는 전차, 경쾌한 일, 가벼움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輕자는 '가볍다'나 '가벼이 여기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輕자는 車(수레 차)자와 巠(물줄기 경)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巠자는 방직기 사이로 날실이 지나가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이렇게 방직기 사이로 실이 가볍게 지나가는 모습을 그린 巠자에 車자가 결합한 輕자는 '수레가 가볍게 지나가다'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니 輕자에서 말하는 '가볍다'라고 하는 것은 사실 마차의 중량이 '가볍다'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지금의 輕자는 단순히 '가볍다'라는 뜻으로만 쓰이고 있다. 그래서 輕(경)은 (1)가벼운 중량(重量)이 비교적 가벼운 육중하지 않은의 뜻 (2)경쾌(輕快)하고 간단한 등의 뜻으로 ①가볍다 ②가벼이 여기다 ③가벼이 하다 ④업신여기다 ⑤천(賤)하다 ⑥빠르다 ⑦성(姓)의 하나 ⑧가벼이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무거울 중(重)이다. 용례로는 죄인을 가볍게 처분함을 경감(輕勘), 가볍게 다침을 경상(輕傷), 가벼운 홀몸을 경단(輕單), 가벼운 정도를 경도(輕度), 언행이 가볍고 방정맞음을 경망(輕妄), 아주 작고 가벼움을 경미(輕微), 기분이 가볍하고 유쾌함을 경쾌(輕快), 경솔하게 행동함을 경거(輕擧), 움직임이 가뿐하고 날쌤을 경첩(輕捷), 덜어내어 가볍게 함을 경감(輕減), 가벼운 범죄 또는 그런 죄를 저지른 사람을 경범(輕犯), 언행이 진중하지 아니하고 가벼움경솔(輕率), 언행이 경솔하고 천박함을 경박(輕薄), 가볍게 봄을 경시(輕視), 가벼운 무게를 경량(輕量), 가벼움과 무거움을 경중(輕重), 하는 짓이나 태도가 들뜨고 경솔함을 부경(浮輕), 줄이어 가볍게 함이나 등급을 낮춤을 감경(減輕), 일이 가볍지 아니함을 비경(非輕), 남에게 경멸을 당함을 견경(見輕), 가볍지 아니함을 불경(不輕), 말이 가볍고 방정맞음을 언경(言輕), 말이나 몸가짐 따위가 방정맞고 독실하지 못한 사람을 일컫는 말을 경박자(輕薄子), 가볍고 망령되게 행동한다는 뜻으로 도리나 사정을 생각하지 아니하고 경솔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을 경거망동(輕擧妄動), 경쾌한 수레를 타고 익숙한 길을 간다는 뜻으로 일에 숙달되어 조금도 막힘이 없는 모양을 이르는 말을 경거숙로(輕車熟路), 적을 가볍게 보면 반드시 패배함을 일컫는 말을 경적필패(輕敵必敗), 가벼운 가죽옷과 살찐 말이라는 뜻으로 부귀영화를 형용해 이르는 말을 경구비마(輕裘肥馬), 마음이 침착하지 못하고 행동이 진중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경박부허(輕薄浮虛), 무슨 일에나 승낙을 잘 하는 사람은 믿음성이 적어 약속을 어기기 쉽다는 말을 경낙과신(輕諾寡信), 마음이 침착하지 못하고 행동이 신중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경조부박(輕佻浮薄), 경망하여 예의가 없음을 일컫는 말을 경이무례(輕而無禮), 제 것을 남에게 잘 주는 이는 무턱대고 남의 것을 탐낸다는 말을 경시호탈(輕施好奪), 재주는 있으나 경박한 사람을 일컫는 말을 경박재자(輕薄才子),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를 함을 이르는 말을 경사중보(輕事重報), 아무리 가벼운 것이라도 많이 모이면 수레의 굴대를 구부러뜨릴 수 있다는 뜻으로 아무리 적은 힘이라도 일치 협력하면 강적에 대항할 수 있다는 말을 군경절축(群輕折軸), 망치가 가벼우면 못이 도로 솟는다는 뜻으로 웃 사람이 엄하게 다스리지 않으면 아랫사람이 말을 듣지 않게 된다는 말을 퇴경정용(槌輕釘聳), 목숨을 의에 연연하여 가볍게 여기다는 뜻으로 의로움을 위해서는 생명도 아끼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명연의경(命緣義輕) 등에 쓰인다.
▶️ 德(큰 덕/덕 덕)은 ❶형성문자로 悳(덕)의 본자(本字), 徳(덕), 惪(덕)은 통자(通字), 㥀(덕), 恴(덕)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두인변(彳; 걷다, 자축거리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悳(덕)으로 이루어졌다. 悳(덕)은 바로 보다, 옳게 보는 일이고, 두인변(彳)部는 행동을 나타내고, 心(심)은 정신적인 사항임을 나타낸다. 그래서 德(덕)은 행실이 바른 일, 남이 보나 스스로 생각하나 바람직한 상태에 잘 부합하고 있는 일을 뜻한다. 본디 글자는 悳(덕)이었는데 나중에 德(덕)이 대신 쓰여졌다. ❷회의문자로 德자는 '은덕'이나 '선행'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德자는 彳(조금 걸을 척)자와 直(곧을 직)자, 心(마음 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금문에 나온 德자도 지금과 다르지 않았다. 德자는 사람의 '행실이 바르다'라는 뜻을 위해 만든 글자이다. 그래서 直자는 곧게 바라보는 눈빛을 그린 것이고 心자는 '곧은 마음가짐'이라는 뜻을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 길을 뜻하는 彳자가 있으니 德자는 '곧은 마음으로 길을 걷는 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길'이란 우리의 '삶'이나 '인생'을 비유한 것이다. 그러니 德자는 곧은 마음가짐을 가지고 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래서 德(덕)은 (1)공정하고 포용성 있는 마음이나 품성(品性) (2)도덕적(道德的) 이상(理想) 또는 법칙(法則)에 좇아 확실히 의지(意志)를 결정할 수 있는 인격적(人格的) 능력(能力). 의무적(義務的) 선(善) 행위를 선택(選擇), 실행(實行)하는 습관(習慣). 윤리학(倫理學) 상 가장 중요한 개념의 하나임 (3)덕분 (4)어떤 유리한 결과를 낳게 하는 원인(原因) (5)공덕(功德) 등의 뜻으로 ①크다 ②(덕으로)여기다 ③(덕을)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④고맙게 생각하다 ⑤오르다, 타다 ⑥덕(德), 도덕(道德) ⑦은덕(恩德) ⑧복(福), 행복(幸福) ⑨은혜(恩惠) ⑩선행(善行) ⑪행위(行爲), 절조(節操: 절개와 지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⑫능력(能力), 작용(作用) ⑬가르침 ⑭어진 이, 현자(賢者) ⑮정의(正義) ⑯목성(木星: 별의 이름) ⑰주역(周易) 건괘(乾卦)의 상,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클 태(太)이다. 용례로는 덕이 높고 인망이 있음을 덕망(德望), 어질고 너그러운 행실을 덕행(德行), 덕행과 선행을 덕선(德善), 좋은 평판을 덕용(德容), 착하고 어진 마음으로 사귀는 벗을 덕우(德友), 덕행으로써 교화함을 덕화(德化), 덕이 두터움을 덕후(德厚), 덕의를 갖춘 본성을 덕성(德性), 덕으로 다스림을 덕치(德治), 잘 되라고 비는 말을 덕담(德談), 남에게 미치는 은덕의 혜택을 덕택(德澤), 어질고 너그러운 마음씨를 덕량(德量), 도리에 닿은 착한 말을 덕음(德音),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를 도덕(道德), 아름다운 덕성을 미덕(美德), 여러 사람을 위하여 착한 일을 많이 한 힘을 공덕(功德), 집안을 망치는 못된 언동을 망덕(忘德), 사람이 갖춘 덕 또는 사귀어 서로 도움을 받는 복을 인덕(人德), 아름다운 덕행을 휴덕(休德), 이랬다저랬다 변하기를 잘하는 성질이나 태도를 변덕(變德), 착하고 바른 덕행을 선덕(善德), 항상 덕을 가지고 세상일을 행하면 자연스럽게 이름도 서게 됨을 이르는 말을 덕건명립(德建名立), 덕행이 높고 인망이 두터움을 일컫는 말을 덕륭망존(德隆望尊), 덕을 닦는 데는 일정한 스승이 없다는 뜻으로 마주치는 환경이나 마주치는 사람 모두가 수행에 도움이 됨을 이르는 말을 덕무상사(德無常師), 사람이 살아가는 데 덕이 뿌리가 되고 재물은 사소한 부분이라는 말을 덕본재말(德本財末), 덕이 있는 사람은 덕으로 다른 사람을 감화시켜 따르게 하므로 결코 외롭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덕불고(德不孤), 덕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으므로 외롭지 않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좋은 행실은 서로 권장하라는 말을 덕업상권(德業相勸), 덕망이 높아 세상 사람의 사표가 된다는 말을 덕위인표(德爲人表), 덕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어 외롭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덕필유린(德必有隣) 등에 쓰인다.
▶️ 薄(엷을 박, 동자기둥 벽, 풀 이름 보)은 ❶형성문자로 簿(박)의 속자(俗字)이다. 엷을 박, 동자기둥 벽, 풀 이름 보(薄)는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 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가까이 다다른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 溥(부, 박)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풀이 서로 가까이 모여 무더기로 더부룩하게 나다, 가까이 모인다는 뜻에서 '얇다'는 뜻으로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薄자는 '엷다'나 '얇다', '야박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薄자는 艹(풀 초)자와 溥(넓을 부)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溥자는 강 옆 넓은 논밭에 모종을 펼쳐 심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넓다'나 '펴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薄자는 이렇게 모종을 심는 모습을 그린 溥자에 艹자를 더한 것으로 '풀이 떼 지어 자라다'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후에 '얇다'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면서 본래의 의미는 더는 쓰이지 않고 있다. 그래서 薄(박)은 ①엷다, 얇다 ②적다 ③야박(野薄)하다 ④싱겁다 ⑤맛없다 ⑥깔보다, 업신여기다 ⑦척박(瘠薄)하다 ⑧가까워지다 ⑨숲 ⑩대그릇(대로 만든 그릇) 그리고 ⓐ동자기둥(들보 위에 세우는 짧은 기둥)(벽) ⓑ두공(枓栱: 기둥 위에 지붕을 받치며 차례로 짜올린 구조)(벽) 그리고 ㉠풀의 이름(보) ㉡박하(薄荷: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얕을 천(淺),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두터울 후(厚)이다. 용례로는 대나 갈대 따위로 만든 그릇을 박기(薄器), 적은 이익을 박리(薄利), 복이 없고 사나운 팔자를 박명(薄命), 많지 않은 봉급을 박봉(薄俸), 메마른 땅을 박토(薄土), 불친절한 대우를 박대(薄待), 얇은 심덕이나 적은 덕행을 박덕(薄德), 상냥하고 아담한 자태를 박미(薄媚), 적디 적음을 박소(薄少), 적은 수확을 박수(薄收), 됨됨이가 변변하지 못하고 아주 나쁨을 박악(薄惡), 굳세지 못하고 여림을 박약(薄弱), 변변하지 못한 재주를 박재(薄才), 인정이 적음을 박정(薄情), 어린 마음과 뜻을 박지(薄志), 아내에게 몹시 인정없이 굶을 박처(薄妻), 보잘 것 없는 학식을 박학(薄學), 볼품없는 예물이란 뜻으로 사례로 주는 약간의 돈이나 물품을 박례(薄禮), 적은 녹봉이라는 뜻으로 불행을 이르는 말을 박록(薄祿),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팔아 이문을 올림을 이르는 말을 박리다매(薄利多賣), 아주 자질구례하고 변변하지 못한 사물을 이르는 말을 박물세고(薄物細故), 엷은 얼음을 밟듯이 세상의 처세에 조심함을 이르는 말을 박빙여리(薄氷如履), 살얼음을 밟는 것처럼 위태로움을 이르는 말을 박빙여림(薄氷如臨), 더할 수 없이 박함을 이르는 말을 박지우박(薄之又薄), 메마른 밭과 논을 이르는 말을 박전박답(薄田薄畓), 맛이 변변하지 못한 술과 산나물이란 뜻으로 자기가 내는 술과 안주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을 박주산채(薄酒山菜)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