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온(鄭蘊)-견신월(見新月)(초승달을 보며)(내 눈에 걸린 초승달)
來從何處來(내종하처래) 어디에서 나온 거니?
落向何處落(낙향하처락) 어디로 기우는 거니?
姸姸細如眉(연연세여미) 눈썹같이 가는 달 곱기도 한데
遍照天地廓(편조천지곽) 하늘과 땅 사이를 두루 비추네
*위 시는 “한시 감상 景경, 자연을 노래하다(한국고전번역원 엮음)”(동계집桐溪集)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입니다.
*하승현님은 “조선 중기 문신인 정온은 임진왜란, 정묘호란, 병자호란을 다 겪은 선비다. 남명 조식의 학맥을 이은 동계는 유학의 가르침에 따라 올곧게 살려고 노력한 인물이다.
이 시를 언제 지은 것인지는 모르지만 시가 참 아기자기하다.
어찌 보면 어린아이 때 지은 동시 같기도 하고, 어찌 보면 파란 많은 세월을 다 겪고 존재의 생성과 소멸에 대해 깊이 성찰한 시기에 지은 철학시 같기도 하다.
70세 때인 무인년1638년 봄, 병자호란을 겪으며 지친 그는 여생을초야에 숨어서 지내리라 마음먹는다. 그리고 덕유산 남쪽 골짜기인 모리某里로 들어간다. 모리란 이름은 예전 사람이 이곳에 어울리는 마땅한 이름을 찾지 못해 붙인 것이라고 한다. 골짜기가 깊지도 않고 산이 높지도 않아 밖에서 보면 골짜기가 있는 줄도 모르고, 볼만한 경치도 뚜렷한 방위도 말할 수 없어 그저 ‘어떤 마을’이라는 뜻의 모리라는 이름을 얻은 곳, 이 시는 어쩌면 이곳 모리에서 지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시인은 초승달을 보고 묻는다. 어디에서 왔느냐고, 또 지면 어디로 가느냐고, 그리고 가녀린 모습으로도 제 빛이 필요한 곳이면 구석진 곳까지 두루두루 빛을 전하는 것을 보고 흐뭇해한다.
달은 날마다 다른 얼굴을 하고 있는데, 모양에 따라 보는 사람이 받는 느낌은 다르다. 보름달을 볼 때면 마음이 원만해지고 넉넉해지면서 둥근달처럼 모든 것이 원만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도하게 된다. 하지만 초승달을 보면서 소원을 빌게 되지는 않는 듯 하다. 어쩌면 기도할 마음을 준비하기도 전헤 그 고운 모습에 매료되어 버리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낚싯바늘 같은 모양새를 하고 가만히 하늘 한편에 걸려 있다가 저녁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이의 눈길을 한 번에 낚아채곤 하는, 초승달,
덜어낼 것을 다 덜어낸 후 아직도 세상에 웃을 일은 많이 남았다는 듯 실눈을 뜨고 웃는 모습은 보름달만큼이나 여유롭다.
처음 생겨난 것은 풀이건, 동물이건, 사람이건 마음을 간질간질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시인이 본 그 초승달이 오늘 나의 마음을 간지럽힌다”라고 감상평을 하셨습니다.
*정온[鄭蘊, 1569 ~ 1641, 본관 초계(草溪), 자 휘원(輝遠), 호 동계(桐溪) ·고고자(鼓鼓子), 시호 문간(文簡)]-조선 중기 문신. 남명 조식의 학맥을 이었으며 절개와 충절이 높은 선비로 평가된다. 1569년(선조2년) 경남 거창군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부친은 진사 정유명(鄭惟明)이었으며 어려서 부친에게 글공부를 익혔다. 남명 조식의 학맥을 이었고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10년(광해군 2) 진사로서 문과에 급제하여 설서(說書)·사서·정언 등을 역임하였고, 1614년 부사직(副司直)으로 재임하던 중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죽음이 부당함을 상소하였고, 가해자인 강화부사 정항(鄭沆)의 참수(斬首)를 주장하다가 광해군의 노여움을 사 제주도 대정(大靜)에서 10년간 위리안치 유배생활을 하였다. 그 동안 《덕변록(德辨錄)》과 《망북두시(望北斗詩)》 《망백운가(望白雲歌)》를 지어 애군우국(愛君憂國)의 뜻을 토로하였고 자신을 고고자(鼓鼓子)로 불렀다. 그는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제주 사람들에게 글공부를 가르치는 일에도 노력하였다. 이때문에 제주에서는 정온을 제주오현 중 한사람으로 추앙했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석방되어 헌납에 등용되었다. 이어 사간·이조참의·대사간·경상도관찰사·부제학 등을 역임하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이조참판으로서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였다. 결국 청나라에 굴복하는 화의가 이루어지자 칼로 자신의 배를 찌르며 자결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하였다. 모든 관직을 사직하고 경남 거창군 북상면으로 낙향하여 은거하다가 5년 만에 죽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광주(廣州)의 현절사(顯節祠), 제주의 귤림(橘林)서원, 함양(咸陽)의 남계(藍溪)서원에 제향되었다. 그가 마지막까지 은거했던 곳에는 그를 기리는 사당 모리재(某里齋)가 있다. 문집에 《동계문집(桐溪文集)》이 있다.
*新月(신월) : 초승달.
*姸(연) : 고울 연, 1.곱다, 2.아름답다, 3.예쁘다
*遍(편) : 두루 편, 두루 변, 1. (두루 편), 2.두루, 3.모든, 전면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