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www.fmkorea.com/7541688206
------------------------------
1. 정자은행의 주 이용고객은 결혼하고 싶진 않지만 아이는 갖고 싶은 미혼 여성들이다?
아무래도 국내에서 가장 잘 알려진 혼외출산 사례가 이 분이다보니 많이 퍼진 이야기로 보이는데, 정자은행 고객들 중에서 비혼 여성의 비중은 상당히 낮음.
미국 최대의 상업 정자은행인 'CALIFORNIA cryobank'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고객은 레즈비언 커플이며, 그 다음이 불임/난임 부부고 비혼 여성의 비중은 생각보다 굉장히 낮다고 밝혔음.
타국에서의 통계도 마찬가지로, 스웨덴의 통계에 따르면 이용고객의 절반 이상이 레즈비언 커플이었다고 함.
2. 국내에는 정자은행이 없나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은행으로 부산대병원에서 설립했음. 공공이라는 이름이 붙어는 있지만 여기서 공공은 개방되어있다는 뜻이지 정부나 지자체에서 운영한다는 이야기가 아님)
국내에는 주로 난임치료병원 차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정자병원들이 있음. 다만 현재 국내에서 정자기증은 오로지 난임부부에게만 허용되어있으며, 제공되는 기증자의 정보도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용하는 사람들은 적은 실정임.
이는 중국, 일본도 마찬가지로 두 나라 전부 자국 내 정자은행은 난임부부에게만 허용되고 있음.
따라서 사유리처럼 비혼 출산을 하고 싶다면 여성 본인이 직접 자비를 들여 미혼에게도 정자기증이 허용되는 미국이나 덴마크 등의 국가로 가야 정자를 제공받을수 있음.
3. 서구권에서는 정자 기증자가 흔할까?
세계에서 가장 큰 정자은행인 덴마크의 'Cryos International'은 현재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정자의 기증자 수가 수백명이라고 밝혔음. 세계에서 가장 큰 정자은행조차 수백명의 정자밖에 안 갖고 있다는 것.
(이 책의 내용은 정자은행과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알 권리' 때문임. 정자를 제공받아 낳은 아이가 크면, 자연스레 생물학적 아버지가 누군지에 대해 알고 싶은 욕구가 생길수밖에 없는데 만약 이런 상황에서 법원이 정자은행에 정보를 공개하라라고 판결한다면 아이한테 자신의 신상이 그대로 노출될수밖에 없기 때문.
실제로 영국의 정자은행은 영국 법이 아이가 만 18세가 된 후 아이가 생물학적 아버지에 대한 정보공개를 요구시 기증자의 신상을 공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기증자 수가 10명이 될까말까 할 정도로 매우 적다고 함.
일본의 경우에도 이 문제로 초기에 비해서 기증자 수가 많이 줄어 정자기증을 취급하던 병원들 중 절반 가량이 관련 업무를 중단했다고.
4. 난자은행은 없을까?
현재 국내에서는 흔히 생각하는 제3자의 난자를 받아서 임신할수 있는 난자은행은 전면 금지되어있음. 국내에서 난자은행이라 하는 곳들은 전부 본인의 난자를 냉동해서 보관해주는 곳들 뿐임.
(※ 이 글에서는 대리모와 난자은행을 구분하고 있음. 왜냐면 난자는 정상인데 자궁에 착상이 안되어서 임신이 안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 이 경우 난자가 필요없고 말 그대로 아이를 대신 낳아줄 사람만이 필요한 것.)
사실 수요가 없고, 설사 있어도 정자보다 훨씬 비싼 가격이 형성될수밖에 없음. 기본적으로 하루에 1억개 넘게 만들어지는 정자와는 다르게 난자는 한달에 1번만 배출되기 때문에 채취 과정이 훨씬 어렵기 때문. 실제로 난자 냉동 서비스의 경우 약을 통해 과배란을 유도하여 보관하는 방식이라고 하며, 난자 채취에만 수백만원의 비용이 들어감.
국내에서는 대리모조차도 불법이기 때문에 만약 불임 원인이 아내 쪽에 있다면 입양 외에 국내에서 아이를 가질수 있는 방법은 없음. 입양 외의 방법으로 아이를 갖고 싶다면 대리모가 허용되는 외국에 가는 방법밖엔 없다고 봐도 되지만, 한국에서는 속인주의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을 이용한다고 해도 국내에 들어오면 부모는 처벌을 면할수가 없음.
첫댓글 되게 많은것처럼 보였는데 진짜 극소수네
우리나라는 OECD 유일하게 공공정자은행이 없음
알 권리 솔직히 진짜 중요한 듯.. 빠지면 안됨 자연선택에서 암컷이 하는 직관적인 판단이 정자은행은 생략되 있는거잖아.. 실제로 개또라이들이 정자 몇백회씩 기증해서 문제가 되기도 했고 ㅠ ㅋㅋ
션오프리를 공공재로 만들면 해결
와 진짜 흥미돋는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