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되나 봅니다.
여기저기서 좋은 강좌들이 봄꽃 소식과 함께 피어납니다.
중앙문화재연구원( 주관)에서도 2017 역사문화강좌를 개설하였습니다.
"고고학자가 이야기하는 우리의 선사시대"라는 주제입니다.
수강장소는 대전역사박물관입니다.
학계의 최신 소식과 함께 궁금한 것들을 푸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 신청은 2017년 3월 08일 10시부터 선착순 접수합니다.
_ 자부리 드림 -

2017년 중앙문화재연구원 역사문화강좌
○ 주 제 : 고고학자가 얘기하는 ‘우리의 선사시대’
○ 기 간 : 2017. 03. 30 ∼ 2017. 09. 28 (총 4회-8강좌 진행)
○ 장 소 : 대전역사박물관 세미나실(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98)
○ 인 원 : 매회 50명(선착순 모집)
○ 문의 및 접수 : 042-270-8614, 042-933-2700
○ 일 정
1회 | 일시 | 2017. 03. 30 (목) 15:00~18:00 |
제1강좌 구석기시대 문화 Ⅰ ■ 우리나라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다. ■ 돌을 깨서 도구를 만들다. | 성춘택(경희대학교) |
제2강좌 청동기시대 문화 Ⅰ ■ 거칠지만 조리에 좋은 토기를 만들다. ■ 큰 마을이 나타나다. | 김범철(충북대학교) |
2회 | 일시 | 2017. 05. 25.(목) 15:00~18:00 |
제3강좌 구석기시대 문화 Ⅱ ■ 혹독한 기후에도 적응하며 살다. ■ 한반도 곳곳에 흔적을 남기다. | 성춘택(경희대학교) |
제4강좌 청동기시대 문화 Ⅱ ■ 돌로 무덤을 만들다. ■ 여기저기서 쌀농사를 짓다. | 김범철(충북대학교) |
3회 | 일시 | 2017. 07. 27.(목) 15:00~18:00 |
제5강좌 신석기시대 문화 Ⅰ ■ 한반도가 따뜻해지다. ■ 토기를 만들어 음식을 조리하고 저장하다. ■ 마을이 나타나다. | 신숙정(한강문화재연구원) |
제6강좌 청동기시대 문화 Ⅲ ■ 청동으로 단검을 만들다. ■ 마제석기가 더 발달하다. | 김범철(충북대학교) |
4회 | 일시 | 2017. 09. 28.(목) 15:00~18:00 |
제7강좌 신석기시대 문화 Ⅱ ■ 작물을 재배하다. ■ 무덤을 쓰다. ■ 여전히 타제석기를 쓰다. | 신숙정(한강문화재연구원) |
제8강좌 청동기시대 문화 Ⅳ ■ 우두머리가 나타나다. ■ 끝날 무렵 화려한 청동기문화가 꽃피다. | 김범철(충북대학교) |
첫댓글 첫 강좌가 3월 30일에 대전역사박물관에서 실시되었으나, 참석 인원이 예상보다 적었다.
장소가 접근성이 어렵다고 생각해서인지, 2차(5월) 강좌부터는 대전선사박물관에서 할예정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