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b9Umjnwvn4g?si=Bzn0gRL6vEJuVtvJ
(Haydn - Symphony No. 94 in G Major "Surprise” - Leonard Bernstein, Vienna Philharmonic)
하이든 - 놀람 교향곡 Symphony No.94 in G Surprise
하이든의 음악적 기지가 넘치는 이 교향곡은 제93번 교향곡과 함께 1791년 가을 영국에서 작곡되었다.
그리고 1792년 제6회 잘로몬 음악회에서 초연하여 절찬을 받은 교향곡이다.
이 교향곡은 하이든의 여느 교향곡 처럼 간결하고 깔끔한 습을 볼 수 있는데, <놀람>이란 표제가 붙은데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해내려오고 있다
당시의 음악은 귀족들의 전유물이라 해도 맞는 말이다.
하이든도 귀족들을 위해 음악을 작곡하고 연주하는
일을 하였는데 대 음악가 하이든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일도 많았다. 그 중에서도 귀족들의 부인들은
더 꼴불견이었다. 음악회가 열리면 멋진 드레스를 걸치고
거들먹거리지만 막상 음악이 시작되면 꾸벅꾸벅 졸고 있는 여자들이 있었다.
더구나 힘찬 1악장이 끝나고 조용하고 느린 2악장에 들어가면 그 모습은 더 가관이었다.
하이든은 이 교향곡 제2악장에서 피아니시모(pp)로 조용히
진행하다 갑자기 모든악기가 팀파니와 함께 포르티시모(ff)를
내어 졸고 있는 여자들을 깜짝 놀라게 해주었다 한다.
그리하여 <놀람>이란 표제가 붙게 된 것이다.
초기 교향곡은 ‘신포니아’라고도 불리는 이태리 서곡으로부터 탄생했다. 이태리의 작곡가 알렉산드로 스카를라티에 의해 확립된 이태리 서곡은 빠름-느림-빠름의 3부분으로 되어있으며, 각 부분들이 선명한 대조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태리 서곡을 뜻하는 신포니아라는 말은 다양한 음이 서로 어울려서 울린다.라는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로서 음악 자체의 개념을 포괄하는 뜻을 지닌다. 교향곡(심포니)이라는 용어는 우연히 창안된 것이 아니라 바로 신포니아라는 이태리 말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또한 교향곡이라는 장르의 발생 자체도 신포니아의 음악적 구조로부터 파생되었다.
신포니아로부터 교향곡이 탄생하게 되는 과정은 아주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주로 오페라의 도입 음악으로 사용되었던 신포니아에는 청중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매우 효과적인 작곡기법이 사용되었다. 당시 인기 있었던 희극 오페라의 흥미 있는 내용을 암시하듯, 강약의 대비를 극대화하여 변화를 주고, 템포를 고조시키고 생동감 있는 리듬을 사용하여 활기 찬 느낌을 주었다. 그리고 빠름-느림-빠름-의 세 부분은 템포 뿐만 아니라 음악적 내용 면에서도 강하게 대비되었고 독립되어 있었다. 이렇듯 음악적 내용이 충실해진 신포니아는 오페라로부터 떨어져나와 연주회에서 단독으로 연주되기도 했다. 그래서 오페라의 도입 음악이 아닌 독립된 하나의 악곡으로서의 신포니아, 즉 연주회용 신포니아가 작곡되기 시작했다. 연주회용 신포니아는 음악적으로 충실하고 독립성 지닌 각 분분들이 여러 개의 악장으로 나누어지면서 점차 교향곡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초기의 교향곡은 연주회용 신포니아로부터 서서히 발전되어, 독일 만하임 악파의 중심 인물인 슈타미츠가 마지막 악장으로 넘어가기 전에 미뉴에트를 첨가하게 되면서부터 교향곡의 4악장제가 확립되고, 18세기의 로코코 양식과 감정 양식을 거쳐 하이든과 모짜르트에 이르러 고전주의 교향곡의 완성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740년 이후부터 독일 교향곡 작곡의 중심지는 만하임과 비엔나, 그리고 베를린이었다. 만하임 악파의 창시자는 슈타미츠로서 그가 지휘하는 만하임 관현악단은 가장 여린 pp로부터 가장 큰 ff에 이르는 강약의 넓은 영역과 급격한 크레센도로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음향으로 인해 전 유럽에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비엔나 악파는 하이든, 모짜르트, 베토벤의 작품들의 직접적인 배경을 이룬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몬과 바겐자일이 대표적인 작곡가들로, 그들의 음악은 전형적인 비엔나풍의 유모를 지니며 유쾌하다. 베를린 또는 북독일에서 주로 활동한 교향곡 작곡가들은 교향곡에 있어서 3악장 구조를 고집하고 한 악장 안에 날카롭게 대조되는 주제들을 도입하기를 꺼렸다는 점에서 보수적이었다. 반면 대위법적 요소로 교향곡의 텍스추어를 풍부하게 하고 진지하며 극적인 양식을 발전시켰다.
고전주의 교향곡은 하이든, 모짜르트, 베토벤에 의해 완성된다. 하이든의 교향곡은 매우 독창적인 것으로, 느린 서주부 도입, 참신한 선율과 혁신적인 전조등이 사용되었으면서도 고전적인 논리성과 통일성을 갖추고 있다. 그가 남긴 104 개의 교향곡들 중 초기의 40개 교향곡들은 바로크적인 콘체르탄테 양식을 보여준다. 1770년대에 작곡된 교향곡들 중에는 단조가 많이 포함되어 질풍노도의 시대 사조가 반영되었다. 80년대에는 6개의 파리 교향곡(82-87)이 작곡되었고, 90년대에는 하이든 교향곡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12개의 런던 교향곡(93-104)이 작곡되었다. 하이든의 런던 교향곡의 악곡구조, 악기편성, 표현 및 내용은 전성기 고전 기악적 성격을 절정에 도달케 했으며 동시에 베토벤 교향곡의 출발점이 되었다. 모짜르트의 초기 교향곡들은 하이든의 것들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짧고 단순하지만 그의 후기 교향곡들은 매우 길고 복잡해진다. 1788년 여름 동안 작곡된 마지막 세 개의 교향곡들은 모짜르트가 이룩해놓은 업적의 절정을 장식하는 곡들로, 특히 40번은 낭만주의적 성격의 감정적 긴박감을 포함하고 있다.
베토벤의 교향곡들은 그의 개성적 양식의 발달과정을 잘 보여주는 곡들이다. 베토벤의 양식적 발달의 핵심에는 한 악장의 구조를 외적인 형식으로 보기보다는 내용을 구성하는 하나의 원리로 보는 견해가 깔려 있다. 베토벤은 작품 전체에 새로운 통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 악장의 단일한 동기를 다른 악장에도 재출현시키는 방법으로 교향곡을 쓴 최초의 작곡가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제 5번 교향곡으로 동기의 재출현과 다양한 발전기법에 의해 순수음악적 통일성을 얻은 작품이다. 반면에 제 6번 교향곡은 주제의 내용으로 얻어지는 일관성으로 작품 전체가 유기적 통일성을 이룬 작품이다. 마지막 제 9번 교향곡은 당대의 다른 교향곡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혁신적인 낭만주의 교향곡들과는 여러 면에서 유사하며 특히 브루크너와 말러와 같은 19세기말의 작곡가에게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한 곡이다.
교향곡은 고전시대에 이어 19세기 지속적으로 청중과 작곡가의 애호를 받던 장르였다. 19세기 교향곡(교향적 작품) 작곡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겠지만 베토벤이 제시한 두 가지 길을 따라 발전해 나간 것으로 보는 학자가 많다. 하나는 4번, 7번, 8번 교향곡에서 시작되어 표준적 고전 형식에 의한 절대음악의 방향이요, 다른 하나는 5번, 6번, 9번 교향곡에서 시작되어 관습적 형식을 벗어나는 여러 가지 형식의 표제음악의 방향이다. 19세기 교향곡은 전통적 양식에 따른 순수 음악적 교향곡과 음악외적 아이디어를 접목한 표제교향곡으로 이분화되었다.
고전적 전통을 이어받은 슈베르트는 서정적 선율과 독창적 화성으로 초기 낭만주의 교향곡의 전형을 보여준다. 그는 총 8 개의 교향곡을 썼다. 멘델스죤은 초기에 11개의 현악교향곡을 썼고, 그 후 5개의 서정적인 교향곡을 발표했다. 슈만은 서정적 성격을 지닌 4개의 교향곡을 썼는데, 이 작품들에는 낭만적 관현악 음향과 고전적 장르의 전통을 화합하려는 슈만의 개성적 양식이 잘 드러나며 새로운 악장구조도 보인다. 브람스는 고전적 전통과 접목한 4개의 교향곡을 통해, 50년대 이후 끊어진 교향곡 장르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브람스와 더불어 19세기말 교향곡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브루크너는 그의 9개 교향곡을 통해 절대음악적 태도와 주관적 표현의지를 보여주면서, 진보파(바그너, 리스트)와 낭만적 고전파(브람스)의 중간적 위치를 차지한다. 한편 차이코프스키는 유럽의 교향곡 전통과 러시아의 색채감을 결합시킨 감상적인 6개의 교향곡을 남겼다.
음악 외적 아이디어를 작품에 도입하는 표제교향곡, 교향시, 음악회용서곡 등의 표제음악은 과거의 어느 때보다 19세기에 발전되었다. 그 중에서도 표제교향곡은 전통적 순수 교향곡의 반대 경향으로, 19세기 교향곡의 흐름을 주도했으며, 베를리오즈와 리스트에 의해 발전되었다. 표제교향곡의 대표적인 작품은 베를리오즈의 <환상교향곡>으로 전통적 형식을 바탕으로 고정상념 기법과 새로운 관협악법을 사용하여 실연한 젊은 예술가의 정신적 방황을 음악적으로 묘사했다.
정리해보면, 슈베르트는 본질적으로 고전적이며 내면적 갈등에 시달리지 않은 사람이고, 멘델스존은 성격적으로 고전적이며 차분하지만 낭만적 장면묘사에 특별한 재능을 가졌던 사람이고, 슈만은 보수적 경향과 혁신적 경향을 다 가지면서 이들을 조정하려고 애썼던 사람이며, 베를리오즈와 리스트는 각자 다른 면으로 혁신적이었던 사람들이다. 브람스는 낭만적 고전주의자 바그너는 낭만적 혁신주의로 불릴 수 있다.
한편 이탈리아와 독일의 음악에서 탈피하여 자기 주체적인 음악을 작곡하려는 움직임이 체코,핀란드,러시아 등에서 소위 말하는 국민주의 음악가들이 교향곡을 작곡하기도 하였다. 이중 대표적인 작곡가는 체코의 드보르작으로 9곡의 교향곡을 작곡하였고,핀란드의 시벨리우스도 7편의 교향곡을 작곡하였다.
세기 전환기의 대표적인 작곡가 말러는 장대하고 형식이 복잡한 표제적인 교향곡을 통해 고전, 낭만 교향곡의 전통을 극대화시켰으며, 동시에 개성적인 형식과 기법으로 교향곡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말러 교향곡에 나타난 대규모 편성과 악장의 확대는 전통적 교향곡의 대형화를 보여준다. 또한 그의 교향곡에는 가곡의 서정성이 반영된 것이 특징이며, 집단적인 소리보다는 선율의 명료함 속에서 색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대조를 강조한다. 그리고 그는 ‘대지의 노래’를 통해 가곡과 교향곡의 두 장르를 혼합하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교향곡의 아버지 Joseph Haydn (1732 -1805)
교향곡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하이든은 기악곡의 발전에 결정적인 많은 공헌을 햇다
따라서 후세들의 음악가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기초를 단단하게 해주었고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는 화성적인 단선율 음악구성에 크게 이바지 하였고 2개의 대립되는 테마를 제시하여 그것을 발전 시켰고 다시 테마를 반복하는 소나타 형식을 완성 시켰다
어린시절 8세때부터 빈 소년 합창단원으로 부터 그의 음악 활동은 시작되어 항가리의 귀족 에스테르하지(P.A.Esterhazy) 공작가의 악장으로 30년 간이나 있으면서 작곡에 전념 하였다.
하이든은 귀족들의 궁정악장으로 생계를 바탕을둔 생활에서 자유로이 벗어난후 58세때 도이치의 태생인 바이올린니스트이자 영국에서 메니져를 하고있는 잘로몬(J.P.Salomon 1745~1815)의 초청을 받아 영국을 방문 하였다.
그는 그곳에서 6곡의 신작 교향곡을 발표했고 옥스포드 대학에서 음악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때 G장조 교향곡을 연주했는데 그후 이것을 옥스포드 교향곡이라 부르게 되었다.
하이든은 제차 영국을 방문하여 6곡의 새로운 교향곡을 발표하였다.앞서의 작품과 합쳐 모두12곡의 교향곡을 "잘로몬 교향곡이라 하며 그중에도 "놀람"군대"시계"큰북연타"등이 유명하다.
영국에서의 성공은 대단했으며 이름도 이로인해 전유럽에 알려지게 되었으며 수입도 많아 여생을 여유롭게 지낼수 있었다.
그는 오스트리아의 국가를 작곡했고 헨델의 오라토리오"메시아"에 감명을받아 그도 오라토리오"천지 창조" "사계"등 명작을 만들어 냈다.
하이든은 모짜르트 베토벤과 함께 빈 고전파의 황금시대를 이룩하였다.그는 기악의 여러분야에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교향곡만도 104곡이나 된다.관현악 편성과 실내악에 있어서 오늘날의 형식과 내용으로 가꾸어낸 사람은 하이든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지금 든는 곡은 하이든의 교향곡 제101번 시계이다. 1794년 작품으로 제 2악장이 똑같이 반복되며 나타나는 주제가 8분 음표 음형의 기계적인 리듬으로 반주되는 외형적인 이유에서 시계라 불리운다.전곡은 제 1악장 아다지오의 서주를 가잔 프레스토, 2악장 안단테 3악장알레그레토(미뉴에트) ,비바체의 4악장...위의 글을 읽고 들어보면 교향곡의 아버지 하이든이 작곡한 전형적인 구성을 느낄 수 있으리라 믿는다. 제 2악장 Andante의 리듬이 마치 시계의 리듬과 같은 반복적인 곡으로< 시계>란 이름으로 불리웁니다.
https://youtu.be/jK9EPZ3qdgU?si=2hthT58ONqm-gPDz
(Haydn Symphony No 101 D major „Die Uhr“ The clock The New Dutch Academy)
음악가중 드보르작과 함께 가장 건전하고 순수한 음악가로 알려진 하이든...
원문 http://blog.naver.com/sikskku/120028375946
글쓴이: 베토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