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복권설명해 주실때,

a. 부하가 증가 -> I상승 -> Ia상승 -> Ra와 Rs에 의한 전압강하 상승 + 직권계자의 자속증가로 E=k*자속*N에서 기전력 상승
b. 그 다음엔 직권계자의 자속증가로 E가증가하면, V=E-Ia(Ra+Rs)에서 (V=E아니고) V>E가 된다.( Ia(Ra+Rs)도 상승하는데 이건 고려안하시고 그대로인듯하게 말씀하심) (전기기기 5강 19:00쯤)
질문1
이 과복권의 발생 원인을 부하증가 로 알고있어야할까요
Ia의 증가로 알고 있어야할까요
직권계자 자속의 증가로 알고 있어야할까요
자속이 증가해서 E가 증가해 V>E가 된다하시면서 Ia증가에 의한 전압강하는 언급안하시길래 헷갈려서 물어봅니다.
질문2
V=E-Ia(Ra+Rs)인데 어떻게 V>E 관계가 나올수 있나요?? 동영상 몇번 돌려봐도 잘 정리가 안되네요ㅠ
최소 V=E 라고 생각하는데
질문3
과복권 평복권 따질때 비교하는 대상이, Ia(Ra+Rs) vs 직권계자의 자속증가에 의한 전압상승 이라고 하셨는데요
직권계자의 자속증가에 의한 전압상승을 위의 회로의 변수로 표현하면 어떻게 되나요??
제가 이해하기로는
처음에 복권발전기 회로가 있는 상태에서 이때의 E1가 있고 (이때도 전압강하 Ia(Ra+Rs)도 있고)
직권계자 자속증가 후 E2가 있으면 (이때 전압강하는 Ia(Ra+Rs)' <<' 표시 있습니다 )
자속증가에의한 전압상승의 수식표현은 (E2-E1) 이렇게 되는거 같습니다..
근데 직권계자 자속증가로 E2증가때 Ia증가가 원인일 것이므로
Ia(Ra+Rs) vs (E2-E1) // Ia(Ra+Rs)' vs (E2-E1) << '표시 하나 있어요
어느것인가요??
첫댓글 안녕하세요..답변드립니다.
1. 복권 발전기에는 과복권, 평복권, 부족복권 발전기가 있습니다.
이들의 차이는 계자 자속의 크기에 의한 자속의 크기입니다
즉, 이 자속이 얼마만큼 커져서 유기기전력을 크게 하느냐에 따라 과, 평, 부족으로 나누어집니다.
따라서 연결되는 직권 계자의 특성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 E는 정격상태에서의 유기기전력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정격상태의 전압에 비해서 부하를 증가했을 때, 단자전압이 더 커질수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