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주신계(米珠薪桂)
쌀은 주옥만큼 비싸고 땔나무는 계수나무 가격과 같다는 뜻으로, 물가가 매우 올라서 생활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米 : 쌀 미(米/0)
珠 : 구슬 주(玉/6)
薪 : 섶 신(艹/13)
桂 : 계수나무 계(木/6)
(유의어)
식옥취계(食玉炊桂)
출전 :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천정부지(天井不知)란 말이 있다. 하늘아래 우물이 아니라 천장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다. 별로 높지 않은 천장을 직접 비유한 말은 아니고 물가가 한없이 오르기만 하는 것을 가리켰다. 하루를 살아도 없어서는 안 되는 의식주(衣食住)의 물가가 비싸면 서민들에게 직접 타격을 준다.
맹자(孟子)는 정교하게 만든 신발과 대충 만든 것이 값이 같다면(巨屨小屨同賈/ 거구소구동가) 좋은 물건을 만들지 않는다고 했고 ‘물건을 모르거든 값을 더 주라’는 속담까지 있다. 값이 같을 수는 없지만 정도 문제이지, 쌀이 주옥만큼 비싸거나(米珠) 땔나무가 계수나무 값(薪桂)과 같이 치솟았다면 서민들이 생활하기는 어렵다.
이 성어는 전한(前漢)시대의 학자 유향(劉向)의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나온다. 쌀과 땔감이 그만큼 비쌌다는 이야기는 종횡가 소진(蘇秦)의 비유로 등장했다.
전국시대(戰國時代) 세력이 강성해지는 진(秦)나라에 위협을 느낀 주변의 여섯 나라는 소진의 유세로 합종책(合從策)을 채택하게 된다. 진나라와 침입에는 초연제한위조(楚燕齊韓魏趙)의 육국이 동맹관계를 맺어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주창한 것이 받아들여졌다.
소진이 초나라의 회왕(懷王)을 설득하기 위해 찾았을 때 일이다. 사흘을 기다린 끝에 겨우 왕을 만날 수 있었지만 소진은 회왕의 푸대접에 기분이 상해 떠나겠다며 작별인사를 했다. 왕이 천리를 멀다 않고 찾아왔다가 머물지 않고 떠나겠다니 어쩐 일이냐고 묻자 소진이 대답했다. "초나라의 식량은 주옥보다 더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보다 더 비쌉니다(楚國之食貴于玉 薪貴于桂/ 초국지식귀우옥 신귀우계)."
중간에 소개하는 사람은 귀신 만나기보다 어렵고, 왕을 뵙기는 천제 뵙기보다 어려우니, 어떻게 그 동안 비싼 비용을 치르며 기다릴 수 있겠는가고 빗대 말한 것이다. 회왕이 알아듣고 숙소에 유하도록 하며 귀빈으로 대접했다.
인문학 칼럼에서 박태일 교수가 소개한 "1956년 흉년" "어제는 십 환인데 오늘은 오십 환" "총알 같이 오른 쌀값" 같은 시 구절이 성어와 딱 떨어지는 표현이다. 6.25 한국전쟁 전후의 어려운 시기는 옛이야기가 되었다고 하지만 서민의 살림살이는 점점 옥죄어오는 것을 막을 수 없다. 김밥이나 소주 등 서민들의 먹거리 물가도 고공행진이라니 허리띠를 더 졸라매야 하나보다.
▶️ 米(쌀 미)는 ❶상형문자로 쌀이나 수수 따위 곡식의 낟알이나, 벼의 모양으로, 나중에 중국에서는 쌀을 대미(大米), 조를 소미(小米)라 일컬었고 우리는 보리, 수수, 조 따위에 대하여 쌀을 米(미)자로 나타낸다. 또 미터의 취음자(取音字)로서 百(백미터)를 백미(百米)로 쓰기도 한다. ❷상형문자로 米자는 벼의 낱알을 그린 것으로 ‘쌀’이나 ‘곡식의 낱알’이라는 뜻이 있다. 米자는 마치 木(나무 목)자에 점이 찍힌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十(열 십)자 주위로 낱알이 흩어져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米자를 보면 긴 막대기 주위로 6개의 낱알이 흩어져 있는데, 여기서 긴 막대기는 낱알을 펼쳐놓는 도구를 그린 것이다. 지금도 벼를 수확하면 탈곡한 낱알을 햇볕에 말리는데, 이때 낱알이 잘 건조되도록 펼치는 도구가 표현된 것이다. 米자는 벼의 낱알을 그린 것이기 때문에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쌀’이나 ‘곡식’ 또는 곡식을 가공한 제품이라는 뜻을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米(미)는 성(姓)의 하나로 ①쌀 ②미터(meter)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쌀 또는 쌀을 포함한 다른 곡식을 미곡(米穀), 쌀값으로 쌀을 팔고 사는 값을 미가(米價), 입쌀이나 좁쌀에 물을 넉넉하게 붓고 폭 끓이어 체에 받아 낸 걸쭉한 음식 또는 쌀을 묽게 쑨 죽을 미음(米飮), 벼농사를 미작(米作), 쌀로 담근 술을 미주(米酒), 쌀과 벼를 미속(米粟), 쌀과 보리를 미맥(米麥), 쌀밥으로 멥쌀로 지은 밥을 미반(米飯), 미터법에 따른 길이의 기본 단위를 미돌(米突), 흰 쌀을 백미(白米), 벼를 타서 왕겨만 벗기고 속겨는 벗기지 아니한 쌀을 현미(玄米), 그해에 난 것이 아닌 오래된 쌀을 고미(古米), 밥을 지을 쌀을 반미(飯米), 조세로 바치던 쌀을 세미(稅米), 쌀을 바침이나 바치는 쌀을 납미(納米), 품질이 가장 좋은 쌀을 상미(上米), 품질이 좋지 못한 쌀을 하미(下米), 굴에서 쌀이 매일 한 끼를 먹을 만큼씩 나오므로 한꺼번에 많이 거두려고 굴을 팠더니 쌀이 나오기를 그쳤다는 이야기를 미혈전설(米穴傳說), 쌀은 구슬 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 보다 비싸다는 뜻으로 물가가 치솟아 생활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을 미주신계(米珠薪桂), 닷 말의 쌀이라는 뜻으로 흔히 현령의 얼마 안 되는 봉급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오두미(五斗米), 곡식을 벨 때에 땅에 떨어진 곡식이라는 뜻으로 수고한 끝에 얻어 차지하게 되는 것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낙정미(落庭米), 얼마 안 되는 급료를 받기 위하여 관리가 되어 고향을 멀리 떠나 근무함을 일컫는 말을 두미관유(斗米官遊) 등에 쓰인다.
▶️ 珠(구슬 주)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구슬옥변(玉=玉, 玊; 구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朱(주)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형성문자로 珠자는 '구슬'이나 '진주'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珠자는 玉(구슬 옥)자와 朱(붉을 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朱(붉을 주)자는 '적심목(赤心木)'이라 부르는 나무를 뜻하지만, 여기에서는 발음 역할만을 하고 있다. 珠자는 둥근 형태의 보석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그래서 珠자는 진주(珍珠)나 구슬처럼 동그란 모양의 보석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珠(주)는 ①구슬 ②진주(眞珠) ③방울 ④붉은색 ⑤붉다 ⑥성(姓)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구슬 원(瑗), 구슬 경(瓊), 구슬 선(璿), 구슬 옥(玉), 구슬 벽(璧)이다. 용례로는 구슬과 옥을 주옥(珠玉), 주판으로 하는 셈을 주산(珠算), 구슬과 같이 아름다운 꽃봉오리를 주뢰(珠蕾), 오리 형상으로 만든 구슬을 주부(珠鳧), 구슬을 박아서 만든 비녀를 주전(珠鈿), 구슬로 꾸민 비녀를 주잠(珠簪), 구슬을 달아서 꾸며 만든 채찍을 주편(珠鞭), 구슬과 옥 따위로 아름답게 꾸민 옷을 주복(珠服), 구슬처럼 떨어지는 눈물을 주루(珠淚), 구슬땀으로 구슬처럼 방울방울 맺힌 땀을 주한(珠汗), 구슬이나 구슬 모양의 물건을 꿰어 만든 발을 주렴(珠簾), 구슬을 꿰어 만든 갓끈을 주영(珠纓), 고운 빛이 나는 아름다운 구슬을 명주(明珠), 보배로운 구슬을 보주(寶珠), 염불할 때에 손으로 돌려 그 수효를 세는 기구를 염주(念珠), 이슬 방울을 노주(露珠), 좋은 구슬과 옥을 상주(上珠), 깨어진 구슬 조각을 쇄주(碎珠), 신기한 구슬을 신주(神珠), 구슬을 꿰어 맴을 철주(綴珠), 관이나 갓의 끈에 꿴 구슬을 영주(纓珠), 수를 셈하는데 쓰는 구슬을 산주(算珠), 물 속에 들어가 진주를 캐냄을 채주(採珠), 구슬처럼 흘러나오는 눈물 방울을 누주(淚珠), 구슬을 뀀 또는 꿴 구슬을 연주(聯珠), 공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도 남에게 배울 점이 있다는 말을 공자천주(孔子穿珠), 수후의 구슬로 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을 수주탄작(隨珠彈雀), 쌀은 구슬 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 보다 비싸다는 뜻으로 물가가 치솟아 생활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을 미주신계(米珠薪桂), 보배로운 구슬을 어둠속에 던진다는 뜻으로 어떤 귀한 선물도 도리에 벗어난 방법으로 주면 도리어 원망을 산다는 말을 명주암투(明珠闇投), 늙은 방합에서 구슬이 나온다는 뜻으로 총명한 아들을 둔 사람에게 그를 기려 축하하는 말을 노방생주(老蚌生珠), 큰 바다에 남아 있는 진주라는 뜻으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현자나 명작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창해유주(滄海遺珠), 금을 산에 버리고 구슬을 못에 빠뜨린다는 뜻으로 재물을 가벼이 보고 부귀를 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연금침주(捐金沈珠), 금과 은과 구슬과 옥이라는 뜻으로 온갖 귀한 보물을 이르는 말을 금은주옥(金銀珠玉) 등에 쓰인다.
▶️ 薪(섶 신)은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 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베다의 뜻(剪; 전)을 나타내는 新(신)을 더하여 이루어졌다. 도끼(斤; 근)로 벤 나무, 곧 '땔나무'의 뜻이다. 그래서 薪(신)은 ①섶(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②잡초(雜草), 풀 ③봉급(俸給) ④땔감으로 만들다 ⑤나무를 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섶 시(柴), 나무할 초(樵)이다. 용례로는 땔나무와 숯을 신탄(薪炭), 땔나무를 신초(薪樵), 땔나무를 신목(薪木), 땔나무를 신채(薪採), 봉급을 신수(薪水), 와신상담을 줄여서 이르는 말을 신담(薪膽), 섶나무로 둘러 친 울타리를 신리(薪籬), 장작과 섶나무를 신시(薪柴), 땔나무를 시신(柴薪), 자기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을 채신(采薪), 나무를 많이 쌓아 올림을 적신(積薪), 땔나무를 등에 짐을 부신(負薪), 땔나무를 주워 모으고 먹을 물을 긷는 수고 곧 밥을 짓는 노고라는 뜻을 이르는 말을 신수지로(薪水之勞), 섶에 눕고 쓸개를 씹는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으려고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이르는 말을 와신상담(臥薪嘗膽), 굴뚝을 꼬불꼬불하게 만들고 아궁이 근처의 나무를 다른 곳으로 옮긴다는 뜻으로 화근을 미리 방지하라를 이르는 말을 곡돌사신(曲突徙薪), 한 잔의 물을 한 수레의 장작불에 끼얹는다는 뜻으로 아무 소용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배수거신(杯水車薪), 섶을 지고 불에 뛰어 듦 곧 자기가 짐짓 그릇된 짓을 하여 화를 더 얻음을 이르는 말을 부신입화(負薪入火), 병이 들어 나무를 할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을 채신지우(採薪之憂), 자식에게 땔나무 캐오는 법을 가르치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근본적인 처방에 힘씀을 이르는 말을 교자채신(敎子採薪), 쌀은 구슬 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 보다 비싸다는 뜻으로 물가가 치솟아 생활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을 미주신계(米珠薪桂), 땔나무를 안고 불을 끄러 간다는 뜻으로 재해를 방지하려다가 자기도 말려들어가 자멸하거나 도리어 크게 손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을 포신구화(抱薪救火), 섶나무 위에 앉고 쓸개를 걸어 두고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함을 이르는 말을 좌신현담(坐薪懸膽), 불을 안고 섶나무 위에 눕는다는 뜻으로 점점 더 위험한 짓을 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포화와신(抱火臥薪), 불타는 나무와 같이 정열로 도리를 닦으면 복을 얻음을 이르는 말을 지신수우(指薪修祐), 아주 천하고 보잘것없는 출신이나 자기의 타고난 자질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을 부신지자(負薪之資) 등에 쓰인다.
▶️ 桂(계수나무 계)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 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圭(규→계)로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桂자는 '계수나무'나 '월계수'를 뜻하는 글자이다. 桂자는 木(나무 목)자와 圭(홀 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圭자는 신하를 책봉할 때 하사하던 옥규(玉圭)를 그린 것으로 '상서로운 구슬'이라는 뜻이 있다. 계수나무는 먼 옛날부터 수많은 민속신앙을 만들어 냈던 나무이다. 특히 고대 중국의 설화에는 달 속에 계수나무가 있고, 그곳에서 토끼가 떡방아를 찧는다는 내용이 있다. 달을 대상으로 한 시나 노래에는 계수나무가 수없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기에 계수나무는 좋은 나무, 성스러운 나무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계수나무를 뜻하는 桂자에 '상서로움'을 뜻하는 圭자가 쓰인 것도 이 나무가 상서로움을 지닌 나무라는 것을 뜻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桂(계)는 ①계수나무(桂樹--) ②월계수(月桂樹) ③계적(桂籍: 과거 급제자의 명부) ④대나무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달 속에 산다는 선인을 계남(桂男), 달 속에 있다는 선녀를 계녀(桂女), 계수나무로 지은 다락집 또는 높고 훌륭하게 지은 요릿집을 계루(桂樓), 달을 운치 있게 일컫는 말 또는 음력 팔월의 별칭을 계월(桂月), 계수나무의 숲 또는 아름다운 숲을 계림(桂林), 계수나무의 향기를 계향(桂香), 계향을 넣고 빚은 술을 계주(桂酒), 땔나무는 계수나무 보다 귀하고 쌀은 옥보다 귀하다는 뜻으로 물가의 비쌈을 이름 또는 땔나무와 쌀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을 계옥(桂玉), 계수나무의 두꺼운 껍질을 육계(肉桂), 생강과 계피 또는 사람의 성품이 곧고 굳음을 강계(薑桂), 계수나무의 가느다란 가지의 껍질을 약재로 이르는 말을 박계(薄桂), 계수나무의 가지를 꺾었다는 뜻으로 과거에 급제함을 일컫는 말을 절계(折桂), 계수나무 숲의 한 가지라는 뜻으로 사람됨이 비범하면서도 겸손함의 비유 또는 대수롭지 않은 출세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계림일지(桂林一枝), 땔나무는 계수나무와 같고 쌀은 옥과 같이 귀해서 근심이라는 뜻으로 양식과 땔감이 매우 귀하여 생활이 빈곤함을 두고 이르는 말을 계옥지수(桂玉之愁), 남의 나라에 있으면서 계수나무 보다 비싼 땔감을 때고 옥보다 비싼 음식을 먹고 사는 괴로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시에서 고학하는 것을 이르는 말을 계옥지간(桂玉之艱), 식량으로 옥을 먹고 계수나무로 밥을 짓는다는 뜻으로 물가가 비싸 생활이 어려움을 이르는 말을 식옥취계(食玉炊桂), 식량 구하기가 계수나무 구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하기가 옥을 구하기 만큼이나 어려움을 이르는 말을 계옥지탄(桂玉之嘆), 오래될수록 매워지는 생강과 계수나무의 껍질이라는 뜻으로 늙을수록 더욱 강직해지는 성품을 이르는 말을 강계지성(薑桂之性), 계수나무로 만든 노와 목련으로 만든 삿대라는 뜻으로 노와 삿대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을 계도난장(桂櫂蘭槳)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