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야도는 면적 3.08㎢의 비교적 작은 섬으로, 정상인 백호산(白虎山) 은 3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고 남해의 다도해를 한 눈에 관망할 수 있다.
백호산은 산의 형태가 호랑이의 형태를 하고 있고 돌의 색이 흰 이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정상에선 멀리 금호도와 여천, 여수시가지의 모습, 돌산 방향과 우주 발사대인 나라도, 사도와 팔영산까지 조망된다.
산정에는 산성터와 봉수대 흔적이 남아 있으며 편백나무 숲을 위시하여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
백야산 성터의 축조연대는 확실치 않지만 성벽둘레는 약 3km에 달했다고 한다.
다만 1592년 이순신 장군이 전라좌수사로 임명받고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을 예상하여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았다고 전해진다.
현재는 성벽 기단부 일부만 남아 있다.
백야등대 가는 길목의 몽돌해변엔 몽돌에 부딪히는 파도소리가 시원함을 느끼게 한다.
백야등대는 푸른 잔디와 함께 조각품들이 잘 정돈되어 있고,해안으로 내려가면 갯바위는 낚시 포인터.
최근에 접근성이 용이해지면서 관광객들이 늘어나고 있는 곳이 바로 백야도이다.
2005년 4월에 백야대교가 설치되어 차량운행이 가능해졌으며, 여수시내에서 시내버스를 통해서도 섬까지 들어갈 수 있다.
이것만 같고는 아무래도 10% 부족함을 느낀다.
산행거리와 시간이 짧기 때문.
그래서 백호산행의 전단계로 여수지맥의 끝자락인 고봉산과 봉화산을 거치기로 하였다.
여수지맥(麗水枝脈)은 호남정맥의 미사치에서 동쪽 백운산쪽으로 2.2km 떨어진 3면경계봉 (약 820m.순천시 서면과 황전면, 광양시 봉강면)에서
호남정맥은 북으로 올라가고, 남으로 한줄기 가지를 쳐 서로는 순천동천, 동으로는 광양서천으로 물길을 가르면서 여수반도의 끝단인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 힛도마을까지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 8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우리는 원포재 고개마루에 차를 댔다. * 조금 더 내려가면 우측으로 안내판이 있는 반듯한 들머리가 있음.

<엄산님의 사진을 빌려 옴> 원포마을 방향의 반듯한 들머리에 있는 안내판.

그리고는 임도급 넓은 산길을 올랐는데...

마지막 무덤에서 길은 끊기고 무덤 뒤로 마루금을 따라 희미한 묵은 길을 긁혀가며 올랐는데,

20여분 만에 만난 무덤의 좌측에서 올라오는 반듯한 산길을 만난다.

알고보니 원포재 고개마루에서 원포마을쪽으로 조금만 내려가면 안내판이 있는 반듯한 들머리가 있고,그곳에서 올라오는 등로와 만나게 된 것.

이 이정표는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 *현위치는 하시루봉이고 원포재는 500m,중시루봉은 800m,봉화산 정상은 5.2km 남았다는 말.

조망이 열리면서 여수 땅끝으로 내달리는 백야도 방향이 올망졸망하다.

돌아본 하시루봉 너머로 돌산도의 모습

백야도와 금오도까지 가늠된다.

이제 이정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은 없다. * 현위치인 중시루봉에서 하시루봉은 800m,상시루봉은 650m,봉화산은 4.4km이라는 말.

다시 허리를 펴니 나뭇가지 사이로 백야도와 금오열도가 아슴하다.

좌측으로 눈을 돌리니 봉화산이 가늠되는데...

살짝 당겨보니 봉화대와 뾰족한 시설물이 보인다.

다시 돌아본 중시루봉.

이제 상시루봉이다.

수더분한 숲길을 따라 걷다가 숲그늘에서 점심보따리를 풀었다.

그리고 얼마안가 원포마을에서 올라오는 갈림길을 만난다. * 빨간 화살표 방향이 원포마을

빨간 동그라미 표시는 원포리사무소 푯말

이후 다소 갑갑한 잡목 숲그늘을 따라...

임도를 건너고...

여수지맥에 올라서서...

산전뒤재에 닿는다. 산전뒤재는 이제 아스팔트 포장도로가 깔렸다.
조선시대 조씨 성을 가진 사람이 귀양살이 와서 살면서 산속의 밭을 일구어 살았다고 해서 산전마을이라고 하였단다.
산속에 있어서 산전(山田)이라는 말.
산전마을 남쪽에 있는 고봉산(高峰山)은 높이가 363m으로 화양면에서 제일 높은 산이라 고봉산이다.
산이 높아 하천과 지류가 발달하여 화동제, 원포제, 안정제 등 저수지가 발달하였다.
이들 상수원은 원포마을, 안정마을, 화동마을의 농업용수로 이용된다고...
처음에는 고봉산에 봉화대가 있었으나 잘 보이지 않아서 현재의 봉화산으로 옮겼다고 한다.

도로를 건너 좌측 능선으로 다시 붙는다.

다시 능선으로 올라서서...

뒤돌아본 모습.

숲속엔 발갛게 세콤하게 익은 수줍은 산딸기가...

다시 임도를 건너...

숲속길로 이어가면 만나는 'T'자 갈림길.

어라~ 고봉산이 우측으로 300m라니... 그렇다면 개념도와 달리 고봉산 좌측사면으로 비잉 둘러 올라온 셈이다.

오늘 메인 산행은 백야도의 백호산이라 여수지맥상의 고봉산은 곁눈질만하고 패스다.
봉화산으로 가면서 좌측으론 임도가 계속 따르고...

이윽고 활공장이 이른다. 탁 트인 활공장에선...

가슴터지게 시원함이 밀려온다.
가까이에 마치 옥천의 '부소담악'처럼 육지가 바다로 돌출해 나간 부분이 보이는데,이러한 지형을 곶(串) 또는 갑(岬)이라 하고, 보다 규모가 크면 반도라 부른다.
육지가 침강하면 골짜기는 만이되고 산줄기가 반도나 곶이 된다.
그 뒤로 삼각 뾰족한 섬은 이리를 닮았다고 낭도(狼島)이고, 섬의 최고봉은 상산(上山 283m)이다.
낭도와 화양면 장수리岬 사이의 길쭉한 섬은 아침일찍 해가 비춘다고 조발도(早發島). 조발도 뒤 낭도 사이엔 나즈막한 둔병도(屯兵島 114m)가 보인다.

뒤늦게 도착한 미옥씨의 감탄마저 트인 조망에 묻혀 버린다.

징검다리를 건너듯 폴삭폴싹 건너뛰면 저 뒤로 보이는 여덟봉우리 고흥 팔영산에 닿을 것만 같다.
그래서 조발대교~둔병대교~낭도대교~적금대교가 곧 건설될 것이라하니 여수와 고흥이 바다로 연결되는 셈이다.

그런데 이 활공장에서 만난 여수시민 두 분. 시원한 그늘에서 부부동반 피서를 즐기다 우리에게 볼락회를 떠 주신다.
산 중에서 맛보는 이 귀한 맛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다음 카페'부산 한마음산악회' 를 가르쳐 드리고 사진을 찍자고 하였다. 인심 좋은 후덕한 인상의 남도 사람들이다.

그 새 옥분씨와 미옥씨는 먼저 떠나고,나는 뒤따라 봉화산을 오른다.

가는 중 우측으로 백야대교 건너로 백야도와 그 우측 길쭉한 섬이 일명 꽃섬인 '하화도'와 그 우측으로 '상화도', 백야도 뒤 덩치큰 섬은 개도(蓋島).

꽃섬과 낭도 사이엔 조그만 사도가...

봉화산으로 오르며 좌측으로 눈 가는 곳에 우리가 올라왔던 세 시루봉이 나란히 보인다. 우측부터 1,2,3시루봉이다.

돌아보면 여수지맥이 이어져 있고...

아래론 여수 땅끝의 푸른 물결이 잔잔하고...

올려다 보면 봉화산이 눈앞이다.

백야도 꽃섬쪽 하얀 포말을 가르며 작은 배가 떠간다.

작은 안부.

사거리이다.

.

장등 가는 길과 원포리쪽 데크 계단길도 있다.

새로 복원된 백야곶 봉수대

백야도 백호산과 마주하는 화양면 봉화산(317m)에 있는 봉수대.
위치상으로 동쪽 돌산 방답진 봉수대와 연결되었을 것으로 본다.
돌산 방답진 봉수대는 서울 남산을 종점으로 하는 우리나라 봉수 제5거에 해당하는 봉수대로 백야곶봉수대를 거쳐 남해안을 따라 서해로 이어져 서울 목멱산,
지금의 남산으로 이어지는 직봉 코스이다.
봉수대는 군사상 목적으로 설치된 통신 수단으로 적이 침입했을 때 현지에서 직접 전투를 담당하는 군사적 고지이다.
백야곶 봉수대에는 '승평지'와 ‘동국여지승람' 등에 봉군 6명, 오장 2명이 배치된 것으로 전한다.
처음엔 고봉산에 봉수대가 있었지만 조망이 좋지않아 봉화산으로 옮겼다.
저 멀리 소호동과 신월동, 가막만, 돌산도, 금오열도가 다 보인다.
백야대교 가까이에 삼섬과 목섬이 보이고, 장수만쪽으로는 하화도와 상화도, 사도, 낭도 등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다.
어느 곳으로 왜적이 쳐들어오는지 다 보이니 봉수대로 적합하다 하겠다.

안내판

여수와 고흥이 연육교로 연결된다는 청사진.

봉화산에선 사통팔달 뻥 뚫렸다.

여수 땅끝은 백야도 방면 힛도리로 내리닿고...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방향으론 원포리마을로 가는 산길이 나있다.

원포마을회관 원점회귀 이정표.

화양 곡화목장(曲華牧場)은 조선시대 가장 규모가 큰 호국군마(護國軍馬)를 길렀다는 곳.
그 곡화목장을 따라 여러 코스의 걷기 길이 정비되어 있다.

봉화산에서 머문 시간도 잠시 갈 길을 재촉한다. 여성회원분들은 바로 내려 갔나보다. 갈 길은 운동기구 우측 아래로 내려선다.

얼마안가 만나는 임도에서 골프장(디오션 CC)으로 건너 오르지 않고 우측 임도를 따라 장등으로 내려선다. 우리의 목적은 지맥타기가 아니기 때문.

삼각 낭도가 우뚝 솟은 바다쪽 장등으로 내려선다.

우리 버스는 세포삼거리에 대기하라 하였는데,시간상 장등으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장등교회 골목으로 나왔다.)

장등마을에서 뒤돌아보니 잘록한 고개가 임도를 만난 지점. 조금 늦게사 버스가 도착하여 탑승.

버스안에서 세포삼거리를 살펴본다. (왼쪽이 장등,우측 아래가 백야도,직진 방향은 여수시청)

백야대교를 건너...

백호산 등산로 앞(백야산 등산로 정류장)에서 차를 멈춘다.

컨테이너 건물 좌측으로 안내판과 이정표가 설치된 들머리

백호산 등산로 안내판.

이정표 (등산로와 탐방로가 함께 있다.)

얼마안가 등산로(↑)와 탐방로(↗)가 갈라진다.

편백숲을 지나...

돌아보니 백야대교가 내려다 보인다.

밧줄이 걸린 슬랩지구를 올라...

너럭바위가 펼쳐지는 제1봉에 닿는다. 1봉에서 바라보이는 2봉과 3봉.

.

2봉을 향하여 길을 재촉.

돌아본 제1봉의 모습.

섬에서 섬을 바라보다.

눈은 호사를 사양하지 않고...

끝간 데 없고,머물 데 역시 없다. 제2봉에서 바라보는 저 끄트머리 하얀 백야등대.

제3봉은 개구멍치기가 기다리고...

개인사유지라고 하네.

보이는 섬은 하화도와 우측 상화도.

제3봉이 실질적 정상으로 백호산(282.5m)

끝간 데없는 바다와 하화도.

철조망을 밟고...

또 바다 한 번 쳐다보고...

백야도에선 꽃섬이 늘 눈아래 있었다.

다시 염소 철망.

산사면에서 탐방길을 만나고...

다시 내려다 보이는 바다와 그 島島한 섬들.

돌담이 있는 갈림길에서...

이정표와...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리는 좌측 돌담을 따라 백야선착장(백야항)으로 간다.

좌측 어깨에 돌담을 짊어졌다.

오른쪽으로 백야등대가 보이고...

폐가를 지나...

백호산 등산로 안내판을 지나고...

(이정표0

도로 아래 우리 버스가 대있다는 백야선착장(백야항)에 여객선이 정박해 있다.

도로에 내려서서 돌아본 백호산 등산로 입구

.

우측 길가의 이정표를 살짝 당겨보니...

이정표는 '백야삼거리'다.
도로를 가로질러 골목길을 내려서면 백야항.
이제 막 땅거미가 내려앉는 귀퉁이 그늘에서 시원한 막걸리로 목부터 축인다.
참 바쁜 일정이였다.

백야항을 둘러보면 28번 여수시내버스가 들어오고...


가까운 여러 섬으로 떠나는 선착장이 있다.

금오도 비렁길도 직항으로 출발하고...

버스는 백야리가 종점인 갑다.
귀갓길에 오늘 대차한 버스 기사님이 이순신대교 전망대를 구경시켜준단다.

'이순신 대교'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대교의 모습.

이순신 대교가 개통되면서 교통이 훨씬 수월해졌다. 다 '여수 엑스포' 덕분이다.

전망대에서 바라본 자료사진.

멀리 희미하게 시설물이 보이길래 살짝 당겨보니 광양의 구봉산 전망대이다.

<자료 사진> 광양시가 총 사업비 116억여원을 들여 백운산을 비롯해 중마·광양읍 시가지, 광양만 등 시의 동서남북 전체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구봉산 전망대와
봉수대(烽燧臺)'를 준공했다.

막걸리 몇 잔과 지친 심신,
축 늘어진 몸에 오히려 맑아진 영혼.
-견디다-
울대가 없어 울지 못하는 황새와
눈이 늘 젖어 있어 따로 울지 않는 낙타와
일생에 단 한 번 울다 죽는 가시나무새와
백년에 단 한 번 피우는 용설란과
한 꽃대에 삼천 송이 꽃을 피우다
하루만에 죽는 호텔펠리니아 꽃과
물 속에서 천 일을 견디다 스물 다섯 번 허물 벗고
성충이 된 뒤 하루만에 죽는 하루살이와
울지 않는 흰띠거품벌레에게
나는 말하네
견디는 자만이 살 수 있다
그러나 누가 그토록 견디는가
<천 양 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