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 구성: upper airway system + lower airway system
1) Upper respiratory tract
● Nose+pharynx(naso, oro, hypopharynx)+larynx ● Larynx: 기관의 일부. 기도 중 가장 좁은 곳으로 후두성 호흡장애 빈도가 가장 잦음. 2) Lower respiratory tract
● Trachea+main stem bronchi, lobar bronchus, segmental bronchus+bronchiole+alveolar ducts, alveolus
● 폐실질: alveolar ducts+alveoli가 epithelium, interstitium, endothelium 조직으로 구성되어 respiratory membrane(폐포-모세혈관 사이의 가스교환이 이루어지는 막)을 이룸 ☞ Epithelium(폐포상피세포): type I(폐포 표면적의 90%), type II(surfactant 분비) ***surfactant: 계면활성제. 지단백질로 구성, 폐포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폐 팽창 시 필요한 압력을 감소(compliance 증가)시키고, 폐포의 허탈 경향을 감소시킴. ☞ Endothelium(모세혈관 내피세포): barrier의 기능 및 대사기능(Angiotensin I의 II로의 활성화, serotonin, norepinephrine 등의 혈관작동물질 분해) ☞ Interstitium(간질): alveola와 capillary 사이의 공간. 폐 모세혈관 내의 정수압(hydrostatic pressure)이 높거나 염증 시 혈장이 이곳으로 이동, interstitial edema(간질부종)이 발생하여 가스교환을 방해할 수 있음.
● air-blood barrier(폐포-모세혈관막): gas 교환 ● 흉강(thoracic cavity): 두 개의 흉막(pleura), 즉 parietal pleura와 visceral pleura 사이의 공간. pleural fluid로 채워져 있음. ● 방어기전: 공기여과+점액섬모성 청소체계+기침반사+반사성 기관지 수축(reflux bronchoconstriction)+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
※ 호흡의 과정:
1) 대기와 폐포의 공기교환(폐포환기, ventilation) - 환기ventilation: 공기가 외부로부터 폐로 드나드는 작용 - 환기 과정: 홉기+호기
(▲흡기 시 늑골 및 흉골의 움직임) - 환기 생리: diaphragm, intercostal muscles의 수축과 이완에 의한 폐포내압과 흉막강압 사이의 차이, 즉 폐포내압과 폐포외압 사이의 차이(=transpulmonary pressure, 경폐압)에 의해 발생. 즉, 호흡에서의 환기는 pressure gradients에 의해 발생. ※ Transpulmonary pressure(경폐압): 폐포내압과 흉막강압 사이의 차이, 즉 폐포내압과 폐포외압 사이의 차이. 호흡에서의 환기는 pressure gradients에 의해 발생.
☞ Ptp = Palv - Pip. Where Ptp is transpulmonary pressure, Palv is alveolar pressure, and Pip is intrapleural pressure. ☞ Ptp is always positive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Pip is always negative and relatively large, while Palv moves from slightly positive to slightly negative as a person breathes. ☞ Ptp = 0 (Palv=Pip) : the lungs collapse as a result of their inherent elastic recoil. / such as when air enters the intrapleural space (a pneumothorax). ☞ Elastic recoil pressure(탄성 반동 압력): 허탈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힘. 흡기 말에는 transpulmonary pressure가 커져 호기로 돌아가고자 함. ☞ Measurement of transpulmonary pressure assists in spirometry in availing for calculation of static lung compliance. ☞ transpulmonary pressure가 1cmH2O 증가하면 TV 200ml 증가함. (compliance(폐 확장의 용이성 정도)에 따라 차이 발생)
- 총 환기량=alveolar ventilation+dead space ventilation - 폐포 환기량(alveolar ventilation): 분당 5L(350ml*15회=5250ml) - 사강 환기량(dead space ventilation): 가스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환기. 해부학적 사강, 생리학적 사강, 기계적 사강이 존재. - 해부학적 사강+생리학적 사강= 정상 환기량의 20-30%
- 사강율은 PaO2 감소 시, PaCO2 증가 시 증가함. - 환기의 영향요인 ① 호흡수, 호흡 깊이 ② 기도저항: 압력차/유속, airway의 diameter(특히 bronchioles) ③ compliance ④ 표면장력(surface tension), 폐조직 탄성 ① 호흡수, 호흡깊이: hypoventilation, hyperventilation
※ Sympathetic,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과 환기 - Medullary oblongata(연수)→ 교감/부교감 신경 조절 ∴ 연수▶호흡중추(respiratory control center: RCC)
※ 화학적 호흡 조절 중추: Arterial pH, CO2, O2의 농도변화를 감시 ● 중추화학 감수체- 연수복측 표면에 위치, CSF 또는 조직의 pH와 pCO2 감지 ● 말초화학 감수체- 좌우 경동맥궁, 대동맥궁에 위치, pO2, pH의 감소와 pCO2의 증가를 감지 ※ 신경성 조절 : 수의적 조절(대뇌피질에서 호흡근의 운동뉴런 조절) : 자율 조절(연수 및 뇌교)
● 연수(medulla)- 흡기중추를 가지고 있으며, 호기는 흡기중추를 억제함으로써 일어남 ● 뇌교(pons)- 정상적인 호흡리듬을 위해 흡기 중추와 연계 ② 기도저항(airway resistance) - 기도저항: 폐포와 구강사이의 압력차이를 유속(flow rate)으로 나눔 - 기도저항의 증가: ☞ 기관지 수축: smooth muscle of bronchioles ☞ 만성 염증 ☞ 탄력성의 감소
cf) 억제성(restrictive) 폐질환: 순응도compliace의 감소와 관련
③ compliance(surface tension), 순응도 - 폐확장의 용이성 (cf. 탄성반동 elastic recoil: 확장된 폐가 반동작용으로 용적이 들어드는 것으로 폐포벽, 주위의 세기관지, 모세혈관의 탄력섬유에 의해 발생). 순응도 감소 시 폐 확장이 힘들어짐을 의미. - 순응도는 경폐압(transpulmonary pressure, cmH2O) 변화 1cm마다 얼마나 많은 공기(L, ml)를 폐가 수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함.
ex. if a patient inhales 500 mL of air from a spirometer with an intrapleural pressure before inspiration of – 5 cm H2O and -10 cm H2O at the end of inspiration. C= ☞ transpulmonary pressure가 1cmH2O 증가하면 TV 200ml 증가함. (compliance(폐 확장의 용이성 정도)에 따라 차이 발생) - Static compliance, dynamic compliance ● Static compliance: 가스의 이동이 없을 때의 유순도.
● Dynamic compliance: 가스의 이동이 일어날 때의 유순도.
- complianc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surface tension, 흉벽관련 요인, 흉막질환, 폐실질의 문제 ***Surface tension(표면 장력) - 표면장력이 높을수록, 폐포의 확장이 어려움(complince 감소) - 표면장력이 높으면 폐허탈(lung collapse)을 유발 - 계면활성제(pulmonary surfactant)는 표면장력 감소
***흉벽 관련 요인: 흉부손상(연가양 흉부, 늑골 골절), 비만(흉벽과 횡격막 운동을 방해), 후측만증(흉곽의 편위로 인해 환기가 제한) 등은 compliance를 감소시킴 ***흉막질환: 늑막강의 염증, 상흔, 체액은 compliance를 감소시킴. - 예: 흉막삼출증, 흉막염, 기흉 ***폐실질: 폐 조직의 염증, 허탈, 상흔은 compliance를 감소시킴 - 예: 무기폐, 폐렴, 간질성 폐질환, 급성 호흡곤란증후군(ARDS)
2) 폐포와 혈액간의 O2 및 CO2의 교환(diffusion, 확산) : 외호흡 ※ 외호흡: 폐포-폐모세혈관 사이의 가스교환 내호흡: 순환혈액과 조직세포간의 가스교환 확산(diffusion) - 폐포의 가스교환 원리 - 가스의 압력차에 의한 확산이동
-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 ● 가스 분압차 ● 폐포 모세혈관막의 두께: 막의 섬유화는 가스이동을 방해 ● 이용가능한 표면적의 변화: 폐절제술, 폐기종은 폐포막의 면적을 감소시킴 ● 가스의 확산속도: 확산계수(CO2>O2) ● 폐포모세혈관의 혈액량: 빈혈, 폐색전증은 확산을 방해 ※ 환기 – 관류 비(V/Q) ● 관류(perfusion, Q)량에 따른 환기(ventilation, V)량의 비율 ● V/Q=1이 가장 이상적 (V/Q matching) ● V/Q mismatch 시 O2, CO2 이동장애 발생 - shunt(V/Q<1, no ventilation): 무기폐, 폐렴 등 - dead space(V/Q=∞, no perfusion): PE(pulmonary embolism) - silent unit(환기, 관류 모두 제한) ● Ventilation/perfusion scan으로 측정가능
3) 혈액을 통한 O2 및 CO2의 운반(gas transport) (1) 산소의 운반: hemoglobin으로 운반(heme group과 결합)
※ hemoglobin은 4개의 heme group이 있어 O2 4개의 분자를 옮길 수 있다. 각 heme group에는 Fe가 결합되어 있음. (따라서 Fe deficiency는 빈혈을 유발) - 정산적 산소운반에 필요한 요소 ☞ Hb이 대부분 포화될 수 있는 PaO2 ☞ 충분한 Hb ☞ 정상적 산소해리 기전(pH, PaCO2, 체온) ☞ 산화혈색소를 운반하기 충분한 심박출량 - pO2: O2와 Hb이 결합할 것인지 분리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 <O2-Hb dissociation curve/산소-혈색소 해리곡선>
※ 독립변수: pO2 종속변수: SaO2 조절변수: pH, pCO2, 온도 ※ pO2가 40mmHg보다 낮아지면 Saturation은 급격히 감소함(pO2=44mmHg일 때 SaO2=75%, 이후 pO2의 감소에 따라 saturation은 급격히 감소) ① pH↓, pCO2↑, 온도↑: 산소-Hb 친화력 감소(saturation이 금방 떨어짐, 산소-혈색소 해리곡선의 우측으로의 이동) ② pH↑, pCO2↓, 온도↓: 산소-Hb 친화력 증가(saturation이 보다 잘 유지됨, 산소-혈색소 해리곡선의 좌측으로의 이동) (2) 이산화탄소의 운반 - 60-65%: 중탄산이온(bicarbonate, HCO3-)의 형태 - 30%: Hb과 결합(carbamino compounds) - 7%: in plasma
- RBC 내의 효소 carbonic anhydrase에 의해 촉진 - Cl-의 이동: 중탄산이온의 RBC 내외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일어남 (보상작용) - CO2가 증가하면 H가 증가→pH 감소(산성) - HCO3가 증가하면 H가 감소→ pH 증가(알칼리)
4) 혈액과 조직 간의 O2 및 CO2의 교환(diffusion) : 내호흡 ※
5) 폐기능: 폐용량(lung volume), 폐용적(capacities)
(1) 폐용량(lung volume) ① 1회 호흡량(TV: tidal volume) : 평상시 1회 호흡 시 들이마시거나 내쉬는 공기의 양 ② 흡기예비용량(IRV: inspiratory reserve volume) : 최대한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량 - 평소 1회 흡기량 ③ 호기예비용량(ERV: expiratory reserve volume) : 최대한 내뱉을 수 있는 공기량 - 평소 1회 호기량 ④ 잔기량(RV: residual volume) : 가능한 한 폐 내의 공기를 모두 배출한 이후에도 폐 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량 (2) 폐용적(lung capacities) ① 흡기용량(IC: inspiratory capacity) - 정상호흡에서 최대한 흡입할 수 있는 공기의 양 - IC = TV + IRV ② 기능적 잔기용량(FRC: functional residual capacity) - 정상 호기 후 폐 내에 남아있는 공기량 - FRC = ERV + RV ③ 폐활량(VC: vital capacity) - 최대한 공기를 들이마신 후 최대한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의 양 - VC = (TV + IRV) + ERV ④ 총 폐용량(TLC: total lung capacity) - 최대한 공기를 흡입하였을 때 폐 내에 있는 공기의 양 - TLC = (TV + IRV) + (ERV + RV) - Inspiratory Reserve Volume (3000, 2100mls) - Inspiratory Capacity (TV + IRV) - RR X (TV-DAV) = Alveolar Ventilation = 4200 mls/min - If double RR: AV = 8400 mls/min - If double TV: AV = 10200 mls/min
1) 문진: cough, sputum, hemoptysis, dyspnea, chest pain 등 사정 2) 시진 3) 촉진 4) 타진 5) 청진 6) 진단검사 1) 문진 호흡기 질환의 주 호소 ① Cough - 이물질을 배출하는 생체 방어 반사 중 하나 - 의학적으로 의미 있는 기칭: 일주일 이상 지속 또는 멈춤 없이 지속되는 경우,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심한 경우, 객담이나 흉통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 - 분류
② Sputum - 기도 분비물이나 염증으로 인한 삼출물 등이 입밖으로 나오는 것 - 색, 양, 점도, 양상, 냄새, 생기는 시기 등을 확인
③ Hemoptysis - 객담에 혈액이 섞이거나 혈액 그 자체가 배출되는 것 - 흔한 원인: 폐암, 결핵 - 50cc 이상인 경우 기도 폐쇄의 위험 있음 - 객혈, 토혈의 비교
④ Dyspnea - 주관적 증상. 호흡 시 노력을 요구하는 불쾌한 느낌을 의식하는 것 - 폐질환/심장질환 시 나타날 수 있음. 폐질환이 원인인 경우, 일반적으로 기침, 가래를 동반. - 원인: 늑막염(흡기 시 호흡곤란), 기흉(호기 시 호흡곤란) ⑤ Chest pain - 폐 자체에는 통증 신경이 없으나, 폐의 병변이 늑막을 자극하거나 늑막 병변 시 통증 호소할 수 있음
- 감별해야 하는 흉통
2) 시진 - 호흡양상, 호흡수, 깊이, 규칙성 및 흉곽모양, 움직임, 대칭성, 늑간 변화, 전반적 순환상태, 입술 및 손톱의 순환상태 사정 - 비정상 징후 ① 호흡 보조근 사용 ② 늑간퇴축, 늑간돌출 ③ 곤봉형 손가락 - 호흡의 양상
3) 촉진 - 압통 여부, 진탕음(대상자의 흉벽에 양 손바닥을 놓고 대상자에게 아아 소리를 하도록 함) 사정
4) 타진 - 흡기, 호기에 견갑골 하부부터 각각 타진을 통해 공명음이 들리는 경계를 사정함으로써 횡경막 확장 범위를 알 수 있음 - 정상길이: 3-5cm 5) 청진 - 청진기의 diaphragm 사용 - 청진기가 환자 몸에 닿았을 때 차갑지 않게 함 - 청진하는 동안 환자에게 정상 호흡 또는 심호흡 요청 - 흉부의 전면과 후면을 폐첨에서부터 좌우 대칭적으로 청진하여 내려옴 - 한 부위에서 완전한 호흡주기를 1-2회 들은 후 다른 부위로 옮겨 감 - 전면은 심장음으로 인하여 소리 식별이 어려우무르 후면청진을 먼저 실시 - 정상 호흡음과 비정상적 호흡음 http://www.practicalclinicalskills.com/auscultation-course-contents.aspx?courseid=201
6) 진단적 검사 ① CBC(Complete Blood Count) : RBC, Hb, Hct의 감소는 O2 및 CO2의 운반능력의 감소를 의미
② ABGA(Aterial Blood Gas Analysis)
● PH: 수소이온(H+) 농도를 측정 ● 정상 pH가 유지되려면 HCO3-와 H+ 20 : 1 ● PaO2 : 혈액내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 측정 ● SaO2 : Hemoglobin에 결합된 O2 비율 ● PaCO2: 환기의 적절성 결정, CO2 의 양을 제거하는 폐의 능력 ③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
- 혈액 내 산소포화도를 모니터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비침습적, 경피적인 기계장치 - 적외선을 방출하여, 헤모글로빈에 의해 흡수된 빛의 양을 반대편 감지기에서 감지함 - 적용부위: 귓볼, 손가락, 발가락, 코 - 정상: SpO2 = 95~100% ④ 객담검사 - 검체(specimen): 밤사이에 고여 있던 객담을 검출하기 위해 아침에 일어나서 밥을 먹거나 물을 마시기 전에 수집. 구강 내 세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로 입을 한 번 헹군 후 받을 것(치약사용 금지).
⑤ 폐기능검사(PFT: pulmonary function test)
- 폐활량계(incentive spirometer) 이용 - 폐용량, 폐용적, 유량 등을 측정 - 예측되는 값의 50% 이하: 폐기능이 나쁜 것으로 평가
⑥ 기관지경 검사(bronchoscopy) - 후두, 기관, 기관지를 직접 관찰 가능한 내시경 검사 - 검사 전날 밤 자정부터 금식 - 시술 1시간 전 진정제 투여, 분무요법으로 국소마취 - 검사 후 구개반사(gag reflex) 돌아올 때까지 음식, 물 섭취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