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환추기경사랑과 나눔공원
옹기장수의 아들
김수환 추기경
김수환 추기경이 한국 가톨릭 역사에서 큰 획을 그은 인물이 될 수 있었던 것은
하느님의 섭리로 이루어진 숙명이었는지도 모른다.
김 추기경의 가족사를 보면 그의 집안이
얼마나 독실한 천주교 집안이었는지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유복자로 태어난 아버지 김영석은 다른 신자들처럼
옹기를 팔며 이곳저곳 떠돌면서도 부모의 독실한 순교 신앙심을 이어나갔다.
1895년 경상도 칠곡의 한 신자촌에 정착한 아버지는 서중하 마르티나와 혼인했다.
김 추기경의 외가도 신앙심이 매우 깊었다.
외할아버지 역시 을해박해와 정해박해를 거치면서도
꿋꿋하게 대구 지역에 신앙을 전파한 분으로,
대구 교회 창립의 밑거름이 된 인물이었다.
외삼촌 또한 수도자도 아니면서 신앙을 위해 평생 동정으로 살아
'서동정'이라 불렸다.
이렇듯 친가와 외가의 뿌리깊은 신앙심 속에서 1922년 봄
'옹기장수의 아들'로 태어난 김추기경의 삶은
한국 천주교의 발전과 영광을 실현하는 주님의 도구로 예정돼 있었던 것이다.
. 1868무진박해 때 할아버지 김보현 요한 순교
. 1895아버지 김영석 요셉과 어머니 서중하 마르티나 결혼.
. 1922봄 5남3녀 중 막내로 김수환 추기경 태어남.
김수환 추기경의 학창시절
너는 커서 신부가 되거라
옹기장수로 떠돌면서도 깊은 신앙심을 지켜나갔던
김수환 추기경의 아버지 김영석 요셉이 돌아가신 뒤
어머니 서중하 마르티나는 포목 행상과 옹기를 팔며
집안의 생계를 꾸려나갔다.
등에 짊어진 옹기의 무게만큼 고단하고 힘든 삶을 산 아버지와
홀로 8남매를 키우며 세상사의 어려움을 겪어야 했던 어머니의 삶을 보면서
어린 김수환의 가슴엔 부모들이 힘든 삶 속에서도
끝끝내 지키고자 했던 신앙심이 깊게 뿌리내리고 있었다.
어머니는 어린 꼬마 수환에게 버릇처럼 말씀하셨다.
"너는 커서 신부가 되거라."
평범한 삶을 원했던 어린 아이에게 이 말은 늘 마음의 짐이 되곤 했다.
어려운 가운데에도 자식들을 살리기 위해
평생을 헌신한 어머니에게 효도도 하고 싶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차분하고도 단호한 말씀은 거역하기 힘든 것으로 다가왔다.
군위초등학교에서 5학년을 마친 학생 수환은
어머니의 간절한 염원에 따라 성유스티노 신학교 예비과정에 들어갔다.
신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로 올라와
소신학교인 동성상업학교 을조(乙組)에 입학했다.
5학년이 된 수환은 '조선반도의 청소년 학도에게 보내는
일본 천황의 칙유를 받은 황국신민으로서 그 소감을 쓰라'는
수신과목 시험문제를 받았다.
조선인으로서의 자존심이 상한 학생 수환은 이렇게 답안을 작성했다.
'나는 황국신민이 아님. 따라서 소감이 없음.'
정의 앞에서 굴종할 수 없었던 어린 학생 수환의 결기가 담긴 글이었다.
1941년 일본 도쿄 상지대학으로 유학을 떠난 청년 수환은
1944년 1월 학업을 앞두고 학병에 강제징집되어
다음해 1월 지치지마 섬으로 보내졌으며, 해방 후 전범재판 증인으로
1946년 3월 괌으로 갔다가 9월에 일본으로 돌아온 후 1947년 1월 귀국했다.
그리고 서울 성신대학(현 가톨릭대학) 신학부에 편입해
사제의 길로 들어서는 삶을 살게 되었다.
김수환 추기경의 사제서품
사제로 다시 태어나다
청년 김수환은 서울 성신대학(현 가톨릭대학) 신학부에 편입한 뒤
4년 후인 1951년 9월 대구 계산동 주교좌성당에서 사제로 서품되었다.
수환이 사제 서품을 앞두고 고른 성구는 시편 51장이었다.
"하느님,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
한 평생 착한 목자로 살고자, 생이 다하는 순간까지 스스로를 성찰하겠다는,
사제로서의 굳은 의지였다.
사제 서품을 받고 안동본당 주임신부로 사목의 첫발을 내디딘 김신부는
첫 소임지에 대한 애틋함이 많아서인지 생전에 그 시절을 자주 회상하곤 했다.
어려운 사람들을 예사로 넘기지 못한 사제 수환은
고해하러 온 신자들에게 몰래 돈을 나누어주곤 했다.
안동본당에서 사목생활을 한 김 신부는 1953년 4월부터
대구교구장 최덕홍 주교의 비서신부겸 교황청 피데스통신 대구교구 통신원을 겸임했으며,
1955년 5월부터 김천시성당 주임신부로 부임해서 성의중고등학교 교장신부를 겸임했다.
교육자로서 김 신부의 얼굴에는 늘 미소가 떠나지 않았는데,
웃을 때 코를 벌름거린다 하여 '인자하신 콧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권위와 격식을 내세우지 않고 늘 낮은 자세로 삶을 일관했던 그가
교장 시절 학생들과 장난도 많이 쳐 학생들이 스스럼없이 붙여준 것이었다.
김수환 추기경의 독일 유학시절
사회 속의 교회를 꿈꾸다
늘 배움에 대한 갈증을 느꼈던 김수환 신부는
김천본당을 떠나 1956년 독일로 유학의 길에 올랐다.
한국 천주교가 성장하고 발전하려면 그리스도교 전통이 깊은 나라에 가서
하나라도 더 배워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김 신부는 독일 뮌스터대학원에서 1956년부터 1963년
그리스도 사회학을 전공하면서 사회에 대한 시야를 넓혔다.
사회학을 접하게 된 김 신부는 이후 교회의 현실참여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됐고, 이는 한국 민주주의의 파수꾼으로서, 지성으로서,
어른으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계기가 됐다.
김 신부는 사랑하는 부모형제를 위해 돈을 벌러 이국만리 독일까지 가서
척박한 삶을 살아야 했던 파독광부와 간호사들의
고충을 해결하는 데에도 힘을 쏟았다.
광부와 간호사들은 미사와 고해성사때 뿐만 아니라
어려운 일만 생기면 그를 찾아와 도움을 요청하곤 했다.
아는 것은 행하라는 지행일치의 삶이었다.
8년간의 유학생활은 김 신부에게 변환기에 있는 세상과 한국에서
사회 속의 교회를 꿈꾸고 실현하게 만들어 주었다.
한국 천주교의
최고 지위에 오르다
1964년 귀국한 김수환 신부는 1966년까지
가톨릭시보사(현 가톨릭신문) 사장을 역임했다.
그리고 1966년 주교 수품을 하면서 마산교구의 초대 교구장에 임명됐다.
김 신부는 2년 뒤인 1968년 대주교로 승품하면서
제12대 서울대교구장에 착좌하게 된다.
'시골뜨기 주교'에서 한국 천주교의 중심 인물로 급부상한 김 대주교는
이후 30년동안 격랑의 한국사와 함께 하면서
한국 민주주의의 실현에 큰 영향을 끼쳤고,
명동성당은 한국 민주주의의 성지가 됐다.
1969년 3월29일 김수환 대주교는 한통의 전화를 받았다.
"우선축하해요, 김주교. 아니 김추기경!
교황님이 당신을 추기경으로 임명했어요."
당시 136명의 세계 추기경 가운데 김 추기경은 최연소였다.
게다가 그는 한국인 최초의 추기경으로 임명된 것이었다.
사제 서품을 받은 지 꼭 18년 만이었다.
그해 4월 30일 로마 베드로 대성전에서 교황 바오로 6세의 집전으로
거행된 서임식에서 김 추기경은 한국 교회가 인정받았다는 사실에 대해 감사했다.
1964가톨릭시보사(현 가톨릭신문) 사장
19665월 31일 주교 수품, 마산교구장 착좌
19685월 29일 대주교 승품, 제12대 서울대교국장 착좌
19694월 28일 ~ 5월1일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추기경 서임
김수환 추기경의 나눔의 삶
신과 인간을 향하여
'시골뜨기'에서 한국 가톨릭의 최고 지위에 오른 김수환 추기경은
교회의 현실 참여와 인간 존엄, 공동선에 대해 늘 한결같은 입장을 유지했다.
김수환 추기경이 서울대교구장에 착좌하면서 언급한 취임사에는
신을 향하고, 인간을 향한 그의 따뜻한 시선이 잘 나타나 있다.
"교회의 높은 담을 헐고 사회 속에 교회를 심어야 합니다.
가난하고 봉사하는 교회, 한국 역사 현실에 동참하는 교회가 돼야 합니다.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공동선을 사회 교리로 삼아야 합니다."
어렵고 질팍한 사회 속으로 들어가 소외받는 이들과
함께 하고자 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역설이었다.
격동의 현대사를 온몸으로 부딪히며 평생을
하느님과 인간을 향한 사랑과 나눔의 정신을 실천했던 김수환 추기경은
그런 신념들을 사목현장에서 하나씩 실천하며
소외된 이들에 대한 관심을 갖고자 노력했다.
절망적인 노동현실과 마주한 노동자들,
열악한 주거환경 속에서 어렵사리 살아가는 빈민들,
산업화와 이농현상에 따라 소외된 농민들,
한 때의 잘못을 뉘우치는 재소자들,
굶주림에 허덕이는 북녘동포들을 위해 김 추기경은 기도했다.
그들은 김 추기경의 가까운 이웃이자 함께 나누며 더불어 살아갈 이들이었다.
1970 ~ 1975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1차 역임)
1975 ~ 1998평양교구장 서리 겸임
1981 ~ 1987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2차 역임)
첫댓글 김수환 추기경님의 삶과 온기를 느낄 수 있는 뜻깊은 영상입니다.
성지 순례하는 남자 이 베드로 형제님께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추경님은 존재만으로도 큰 힘이 되셨던
이 시대의 큰 어른이셨지요.
격변의 시대에도 잃지 않았던 소탈한 웃음과 유머가 그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