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 | ⇒ | 통계청 통계대행과 | ⇒ | 지방청/사무소 | ⇒ | 조사원 | ⇒ | 조사대상 가구 |
토지주택연구원 한국도시연구소 | ||||||||
지역통게과 |
* 조사원 면접조사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시 자기기입 방법 병행
<주택이외의 거처 주거실태조사 주요 결과>
① 일반특성
ㅇ (가구수) 고시원 거주 비중이 가장 높고(15.2만, 41.0%), 일터의 일부 공간과 다중이용업소 14.4만(39.0%), 숙박업소의 객실 3만(8.2%), 판잣집‧비닐하우스 0.7만(1.8%)으로 추정
구분 | 가구수(가구) | 구성비(%) | |
전체 | 369,501 | 100.0 | |
거처 | 고시원·고시텔 | 151,553 | 41.0 |
숙박업소의 객실 | 30,411 | 8.2 | |
판잣집·비닐하우스 | 6,601 | 1.8 | |
일터의 일부 공간과 다중이용업소 | 144,130 | 39.0 | |
기타 | 36,806 | 10.0 |
* 일터의 일부 공간과 PC방 등 다중이용업소는 상대표준오차가 커서 세부 분석에서는 기타와 묶어 분석 결과를 제시함
ㅇ (가구원수) 1인가구가 71.9%(26.6만 가구), 평균 가구원수는 1.4명
ㅇ (가구주 연령) 연령대는 60세 이상(28.4%), 30세 미만(23.9%) 비율이 높음
ㅇ (가구소득 등) 대부분이 근로 중(79.2%), 월소득은 200만원 미만이 51.3%
ㅇ (거주기간) 1년 미만(27.1%) 비율이 가장 높음, 20년 이상 10.7%
ㅇ (주거면적) 최저주거기준(1인 기준 14m2) 미달가구 비율이 49.2%
ㅇ (주거 생활의 어려움) 열악한 주거환경(42.3%), 열악한 시설(40.6%), 외로움·고립감(27.8%), 주거비부담(26.5%) 순임
② 유형별 특성
ㅇ (고시원‧고시텔) 미혼 1인 청년층 위주(평균연령 34.6세)로 2년 이내 단기 거주, 근로 중 비율이 73.7%이며 상용 근로자 비율이 가장 높음(42.9%)
추정가구수 | 가구원수 | 평균연령 | 소득 | 임대료 | 전용면적 | 거주기간 |
151,553가구 | 1.0명 | 34.6세 | 180만원 | 33.4만원 | 13.5m2 | 1.8년 |
ㅇ (숙박업소의 객실) 미혼 및 중장년 1인 남성 위주로, 50대 이상 69.7%(평균연령 55.0세)
추정가구수 | 가구원수 | 평균연령 | 소득 | 임대료 | 면적 | 거주기간 |
30,411가구 | 1.1명 | 55.0세 | 134만원 | 30.6만원 | 11.7m2 | 4.1년 |
ㅇ (판잣집‧비닐하우스) 노년층 위주로 60세 이상이 71.2%(평균 65.6세), 2인 이상 가구 비율이 61.3%로 가족단위 거주 많음
추정가구수 | 가구원수 | 평균연령 | 소득 | 임대료 | 면적 | 거주기간 |
6,601가구 | 2.0 | 65.6세 | 138만 | 22.2만원 | 41.8m2 | 21.1년 |
조사결과(일반특성 및 유형별 특성)
① 일반특성
□ (총수) 거처 중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 비중은 감소, 주택이외의 거처에 거주하는 가구는 증가 추세(’05년 21.7만, 1.4% → ’16년 77만, 3.9%, 통계청)
ㅇ 시설이 양호한 오피스텔 등을 제외한 주택이외의 거처에 거주하는 가구 규모는 전체 37만 가구로 수도권 19만(51.5%), 비수도권 18만가구(48.5%)
ㅇ 고시원에 15.2만(41.0%), 숙박업소의 객실에 3만(8.2%), 판잣집‧비닐하우스에 0.7만(1.8%) 가구가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
구분 | 가구수(가구) | 구성비(%) | |
전체 | 369,501 | 100.0 | |
지역 | 수도권 | 190,186 | 51.5 |
비수도권 | 179,315 | 48.5 | |
거처 | 고시원·고시텔 | 151,553 | 41.0 |
숙박업소의 객실 | 30,411 | 8.2 | |
판잣집·비닐하우스 | 6,601 | 1.8 | |
일터의 일부 공간과 다중이용업소 | 144,130 | 39.0 | |
기타 | 36,806 | 10.0 |
* 일터의 일부공간과 PC방 등 다중이용업소는 상대표준오차가 커서 세부 분석에서는 기타와 묶어 분석 결과를 제시함
ㅇ 주택이외의 거처 거주 가구 중 소득 하위 20%(’16년 가계동향조사)인 1분위 가구(전체 5분위 중)는 12.3만 가구*로 40.7%를 차지
* ’16년 가계동향조사 전체 5분위 중 1분위 경계값은 136만원(1인가구 포함)
** 1분위 가구 중 타지주택 소유가구는 제외한 숫자
□ (가구형태) 1인가구가 71.9%(26.6만 가구)로 대부분을 차지, 평균 가구원수는 1.4명(`15년 전국 일반가구 평균가구원수 2.5명과 큰 차이)
ㅇ 1인가구 비율이 고시원(97.0%)과 숙박업소의 객실(92.1%)에서 높고, 기타(48.7%)와 판잣집․비닐하우스(38.7%)에서 낮음
【가구원수별 구분】 (단위 : 명, %)
| 평균 | 1인 | 2인 | 3인 | 4인이상 | |
전체 | 1.4 | 71.9 | 19.9 | 5.2 | 3.0 | |
거처유형 | 숙박업소의 객실 | 1.1 | 92.1 | 7.5 | 0.0 | 0.4 |
판잣집·비닐하우스 | 2.0 | 38.7 | 42.0 | 9.3 | 10.0 | |
고시원·고시텔 | 1.0 | 97.0 | 2.7 | 0.3 | 0.1 | |
기타 | 1.7 | 48.7 | 35.7 | 10.0 | 5.6 |
ㅇ (가구주 연령) 가구주 연령은 60세 이상(28.4%) 비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는 30세 미만(23.9%) 비율이 높음
【가구주 연령】
| 30세 미만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세 이상 |
가구수(명) | 88,140 | 49,450 | 49,071 | 78,073 | 104,766 |
구성비(%) | 23.9 | 13.4 | 13.3 | 21.1 | 28.4 |
* 성별 비율은 남성 73.5%, 여성 26.5%로 전체가구(인구주택총조사 70.4% : 29.6%)에 비해 남성 가구주 비율이 조금 높음
ㅇ (가구소득·근로현황) 가구주가 일을 하고 있는 비율(79.2%)은 높지만 월평균 소득은 200만원 미만 비율이 51.3%
【근로상황별 구분】 (단위 : 가구, %)
구 분 | 가구수 | 근로중 | 일하지 않음* | |||||
계 | 상용 근로자 | 임시/일용 근로자 | 자영업자 | 자활‧공공 근로자/ 무급가족 종사자 | ||||
전체 | 369,501 | 79.2 | 28.7 | 18.4 | 31.6 | 0.4 | 20.8 | |
지역 | 수도권 | 190,186 | 78.3 | 40.1 | 21.1 | 16.7 | 0.3 | 21.7 |
비수도권 | 179,315 | 80.2 | 16.7 | 15.5 | 47.5 | 0.5 | 19.8 | |
거처 유형 | 숙박업소 객실 | 30,411 | 62.7 | 12.9 | 38.2 | 10.5 | 1.2 | 37.3 |
판잣집·비닐하우스 | 6,601 | 57.1 | 7.6 | 14.9 | 33.7 | 1.0 | 42.9 | |
고시원·고시텔 | 151,553 | 73.7 | 42.9 | 25.4 | 5.2 | 0.2 | 26.3 | |
기타 | 180,936 | 87.4 | 20.3 | 9.4 | 57.3 | 0.5 | 12.6 |
* 가구주가 일하지 않는 주요 이유는 고령·질병·장애/육아‧간병‧가사가 44.7%로 가장 높고 그 외에 학업 및 취업준비(41.6%) 순
【가구소득별 구분】
| 100만원 미만 | 100~200만원 | 200~300만원 | 300~400만원 | 400만원 이상 |
가구수(가구) | 81,419 | 108,241 | 93,705 | 48,218 | 37,841 |
구성비(%) | 22.0 | 29.3 | 25.4 | 13.1 | 10.2 |
ㅇ (거주기간) 거주한 기간은 1년 미만 비율이 27.1%로 가장 높지만, 20년 이상 비율도 10.7%로 높음
【거주기간별 구분】 (단위 : 가구, %)
구 분 | 가구수 (가구) | 근로중(%) | ||||||||
1년 미만 | 1년이상 2년미만 | 2년이상 3년미만 | 3년이상 5년미만 | 5년이상 10년미만 | 10년이상 15년미만 | 15년이상 20년미만 | 20년 이상 | |||
전체 | 369,501 | 27.1 | 13.9 | 9.1 | 10.9 | 14.5 | 8.3 | 5.5 | 10.7 | |
지역 | 수도권 | 190,186 | 37.3 | 18.0 | 10.6 | 11.6 | 10.5 | 5.0 | 2.4 | 4.6 |
비수도권 | 179,315 | 16.3 | 9.5 | 7.6 | 10.2 | 18.7 | 11.8 | 8.7 | 17.2 | |
거처 유형 | 숙박업소 객실 | 30,411 | 28.8 | 17.9 | 12.0 | 11.7 | 16.2 | 7.8 | 4.9 | 0.8 |
판잣집·비닐하우스 | 6,601 | 1.8 | 1.2 | 2.6 | 6.5 | 15.9 | 14.3 | 11.0 | 46.6 | |
고시원·고시텔 | 151,553 | 46.9 | 21.0 | 12.4 | 11.2 | 6.9 | 1.3 | 0.3 | 0.0 | |
기타* | 180,936 | 11.2 | 7.6 | 6.1 | 10.7 | 20.5 | 14.1 | 9.7 | 20.1 |
* 주 : 기타에는 일터의 일부 공간이 포함됨
ㅇ (주거면적) 최저주거기준(1인 기준 14m2) 미달가구 비율이 49.2%
【주거면적별 구분】
| 6.5m2미만 | 6.5m2~14m2 | 14m2~26m2 | 26m2~36m2 | 36m2 이상 |
가구수(가구) | 35,453 | 75,228 | 85,790 | 16,798 | 11,685 |
구성비(%) | 15.8 | 33.4 | 38.1 | 7.5 | 5.2 |
- 현재 거주거처를 쪽방으로 인식하는 가구 비율은 20.1%(7만 가구)
ㅇ (주거 생활의 어려움) 열악한 주거환경(42.3%), 열악한 시설(40.6%), 외로움·고립감(27.8%), 주거비부담(26.5%) 순임
【주거 생활의 어려움별 구분】 (단위 : 가구, %)
구 분 | 가구수 | 주거비 부담 | 외로움 고립감 | 열악한 시설 | 사생활 침해 | 열악한 주변환경 | 통근‧ | 임대인 등과의 갈등 | 기타 | |
전체 | 369,501 | 26.5 | 27.8 | 40.6 | 12.4 | 42.3 | 1.6 | 1.5 | 0.7 | |
지역 | 수도권 | 190,186 | 38.3 | 25.8 | 29.7 | 9.8 | 26.1 | 1.9 | 1.6 | 0.9 |
비수도권 | 179,315 | 13.9 | 30.0 | 52.2 | 15.2 | 59.5 | 1.4 | 1.3 | 0.4 |
ㅇ (주거비 부담) 전체 가구 중 월세 가구가 75.2%로 다수를 차지
【현 거처의 점유형태】 (단위 : 가구, %)
| 가구수 | 자가 | 전세 | 보증금 있는 월세 | 보증금 없는 월세 | 사글세 /연세 | 무상 | |
전체 | 225,371 | 5.1 | 14.3 | 37.5 | 36.5 | 1.2 | 5.5 | |
거처 유형 | 숙박업소 객실 | 30,411 | 0.0 | 1.7 | 9.7 | 78.2 | 4.2 | 6.3 |
판잣집·비닐하우스 | 6,601 | 56.9 | 2.5 | 7.1 | 8.9 | 7.3 | 17.4 | |
고시원·고시텔 | 151,553 | 0.0 | 19.6 | 42.7 | 36.3 | 0.3 | 1.1 | |
기타 | 36,806 | 21.0 | 5.1 | 44.3 | 7.6 | 1.4 | 20.6 |
* ‘기타’에 포함되는 ‘일터의 일부공간’과 PC방 등은 점유형태 등을 조사하지 않아서 제외
(단위 : 가구, 만원, %)
구분 | 가구수 | 평균 월세 | 10만원 미만 | 10~20만원 미만 | 20~30만원 미만 | 30~40만원 미만 | 40만원 | |
전체 | 169,256 | 32.8 | 0.9 | 7.5 | 28.1 | 34.2 | 29.4 | |
| 1분위 | 71,165 | 30.2 | 0.8 | 8.5 | 35.4 | 32.0 | 23.3 |
지역 | 수도권 | 120,386 | 34.4 | 0.9 | 4.5 | 21.0 | 37.6 | 36.1 |
비수도권 | 48,871 | 28.7 | 1.2 | 14.8 | 45.7 | 25.6 | 12.9 | |
거처유형 | 숙박업소 객실 | 27,996 | 30.6 | 0.0 | 14.9 | 42.2 | 29.1 | 13.9 |
판잣집·비닐하우스 | 1,535 | 22.2 | 13.2 | 27.6 | 23.8 | 26.4 | 9.1 | |
고시원·고시텔 | 120,118 | 33.4 | 0.7 | 5.0 | 26.6 | 34.9 | 32.8 | |
기타 | 19,607 | 32.8 | 2.6 | 10.4 | 17.6 | 37.4 | 32.0 |
* ‘기타’에 포함되는 ‘일터의 일부공간’과 PC방 등은 점유형태 등을 조사하지 않아서 제외
- (월세가구의 월세) 평균 월세는 32.8만원으로 고시원·고시텔의 월세 부담이 가장 크고, 판잣집·비닐하우스의 월세가 가장 저렴
ㅇ (주거복지수혜) 공공지원 주거복지 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있다는 비율은 8.0%이며, 가장 비율이 높은 항목은 주택구입자금 대출 2.9%
(단위 : 가구, %)
구분 | 가구수 | 주택구입 | 전세자금 | 공공임대 | 월세 | 집수리 | 주거취약 주거지원 | 주거관련 정보 제공 | 없음 | |
전체 | 369,501 | 2.9 | 1.5 | 1.1 | 1.9 | 0.3 | 0.7 | 0.6 | 92.0 | |
거처유형 | 숙박업소의 객실 | 30,411 | 2.6 | 1.3 | 1.7 | 8.3 | 0.6 | 1.4 | 1.3 | 86.5 |
판잣집·비닐하우스 | 6,601 | 4.3 | 0.2 | 0.7 | 1.4 | 3.2 | 2.1 | 0.9 | 88.6 | |
고시원·고시텔 | 151,553 | 0.3 | 1.3 | 0.7 | 2.3 | 0.1 | 0.4 | 0.5 | 94.7 | |
기타 | 180,936 | 5.2 | 1.8 | 1.4 | 0.5 | 0.4 | 0.8 | 0.5 | 90.8 |
주 : 복수응답으로 비율의 합계가 100%가 아님
- 주거복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못하는 주요 이유는 ‘프로그램이 있는 것을 몰라서’와 ‘자격기준이 안될 것 같아서‘임
(단위 : 가구, %)
구분 | 가구수 | 프로그램 몰라서 | 신청방법· 절차를 몰라서 | 자격기준이 안될 것 | 관심이 | 원하는 조건에 맞지 않아서 | 나머지 비용이 | |
전체 | 194,868 | 28.3 | 22.8 | 28.2 | 5.0 | 6.3 | 8.9 | |
거처유형 | 숙박업소의 객실 | 17,130 | 24.0 | 36.0 | 15.7 | 1.9 | 5.0 | 17.5 |
판잣집·비닐하우스 | 3,629 | 22.1 | 24.9 | 20.4 | 0.4 | 12.1 | 18.7 | |
고시원·고시텔 | 103,662 | 30.8 | 19.3 | 31.0 | 6.3 | 5.4 | 6.4 | |
기타 | 70,447 | 26.0 | 24.5 | 27.7 | 4.0 | 7.7 | 10.0 |
- 현재 가장 필요한 주거복지 프로그램으로는 공공임대주택이 15.2%, 필요한 주거복지 프로그램이 없다는 응답이 47.3%
(단위 : 가구, %)
구분 | 가구수 | 주택 구입 대출 | 전세 | 공공 임대 | 월세 | 집 수리 | 주거 취약 주거 지원 | 주거 관련 정보 제공 | 없음 | |
전체 | 369,501 | 6.4 | 7.1 | 15.2 | 8.6 | 3.4 | 6.3 | 5.8 | 47.3 | |
거처유형 | 숙박업소의 객실 | 30,411 | 4.7 | 4.3 | 13.7 | 12.8 | 0.0 | 14.5 | 6.3 | 43.7 |
판잣집·비닐하우스 | 6,601 | 4.7 | 1.0 | 15.7 | 2.6 | 11.0 | 16.9 | 3.2 | 45.0 | |
고시원·고시텔 | 151,553 | 7.2 | 13.3 | 22.0 | 14.5 | 0.5 | 4.9 | 6.0 | 31.6 | |
기타 | 180,936 | 6.1 | 2.6 | 9.8 | 3.2 | 6.1 | 5.6 | 5.6 | 61.1 |
② 유형별 주요 특성
□ 고시원·고시텔
추정가구수 | 가구원수 | 평균연령 | 소득 | 임대료 | 전용면적 | 거주기간 |
151,553 가구 | 1.0명 | 34.6세 | 180만원 | 33.4만원 | 13.5m2 | 1.8년 |
ㅇ (거처특성) 통계청의 거처 분류 중 기타유형의 대부분을 차지(41%)하고 등록 건수도 계속 증가 추세(`04년 3,910건→`16년 11,800건, 소방청)이며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80.2%)되어 있음
* 주차장, 층수제한 등 주거용 건축규제가 적용되지 않으며, 1인 단기 거주자 대상의 고수익 임대사업장으로 선호되며 도시형 생활주택에 비해 이점 부각
ㅇ (거주자특성) 미혼 1인 청년층 위주로 2년 이내 단기 거주, 경제활동 가구 비율은 73.7%이며 상용 근로자 비율이 가장 높음(42.9%)
- 거주자의 72.9%는 이웃과 교류 없이 생활 중이며, 주거용 면적이 협소하며 쪽방이라고 인식하는 비율도 높은 편임(26.6%)
□ 숙박업소의 객실
추정가구수 | 가구원수 | 평균연령 | 소득 | 임대료 | 면적 | 거주기간 |
30,411가구 | 1.1명 | 55.0세 | 134만원 | 30.6만원 | 11.7m2 | 4.1년 |
ㅇ (거처특성) 주거용 면적이 협소, 가장 규모가 작은 거처이지만 임대료 부담은 크고 쪽방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27.6%로 가장 높음
ㅇ (거주자특성) 미혼 및 사별․이혼 상태인 중장년 1인 남성, 50세 이상 69.7%(평균연령 55.0세)
- 경제활동 가구 비율은 62.7%이고 대부분 임시 및 일용근로자이며, 월평균 소득이 가장 낮음
- 거주 가구의 34.1%는 도움 받을 곳 없이 고립된 채 생활
□ 판잣집‧비닐하우스
추정가구수 | 가구원수 | 평균연령 | 소득 | 임대료 | 면적 | 거주기간 |
6,601가구 | 2.0명 | 65.6세 | 138만원 | 22.2만원 | 41.8m2 | 21.1년 |
ㅇ (거처특성) 주택이외의 거처 중 월세가 가장 저렴(평균 22.2만원)
ㅇ (거주자특성) 노년층 위주로 60세 이상이 71.2%(평균 65.6세), 2인 이상 가구 비율이 61.3%로 가족단위 거주 많음
- 고령·질병·장애 등으로 경제활동 참여율이 57.1%(평균 79.2%)로 가장 낮고 장애인이 있는 가구 비율도 높음(19.2%)
- 평균 거주기간이 20년 이상으로 이웃과의 교류가 활발하고 상호 도움
□ 기타
추정가구수 | 가구원수 | 평균연령 | 소득 | 임대료 | 면적 | 거주기간 |
180,936가구 | 1.7명 | 56.1세 | 255만원 | 32.8만원 | 29.3m2 | 11.5년 |
ㅇ (거처특성) 일터의 일부 공간(공장, 상점, 농장 어장 등), 다중이용업소(PC방, 만화방, 기원, 찜질방), 기타(컨테이너, 조립식 건물, 창고, 마을회관, 종교시설 등)가 포함됨
ㅇ (거주자특성) 노년층 위주로 60세 이상이 43.3%(평균 56.1세), 1인가구(48.7%)와 함께 2인가구(35.7%) 비율도 높음. 일터와 주거가 일치되어 있어 다른 곳으로의 이주가 어려움
- 일터의 일부 공간이 포함되어 있어서 가구주가 일을 하고 있는 비율이 87.4%(평균 79.2%)로 가장 높으며, 평균 소득도 255만원으로 가장 높음. 자영업자 비율이 57.3%로 타 거처에 비해 높음
- 평균 거주기간이 11년 이상으로 긴 편임
붙임
자료 이용 시 주의사항
* 주택이외의 거처에 대한 주거실태조사는 전수조사가 아닌 표본조사의 특성상 조사 결과에는 통계적 오차가 존재함
* 본 주거실태조사는 주택이외의 거처 거주 가구의 주거실태 파악에 중점을 둔 조사로, 가구 특성 및 소득 등에 대한 조사 결과는 인구주택총조사, 가계동향조사 등의 결과와 차이를 보일 수 있음
* 본 보고서를 통해 공표된 결과는 등록기반 2016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자료를 기준으로 가중값을 보정하여 추정한 값이며, 거처 유형, 조사 시점 등의 차이로 인하여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본 조사는 조사 기준시점(2017.11.17.)과 사후보정을 위한 벤치마크 자료의 기준시점(2016.11.1.)과의 차이가 있고, 표본과 모집단 자료 간 분포의 차이도 존재하므로 상세 항목의 총수(total) 추정 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함
* 이에 따라 통계표 작성 및 공표 시 상대표준오차(Relative Standard Error : RSE) 허용범위 준수를 위해, 오차가 크거나 응답수가 적은 셀은 병합하여 통계를 작성함.
* 무응답, 반올림, 신뢰도가 낮아 공표되지 않는 항목의 존재 등으로 인해 전체와 하위 구성항목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본 보고서 상 비율의 합계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합계가 100.0%가 아닐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