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임진왜란을 연구하는 모임. 원문보기 글쓴이: 고구려
부대 | 담당지역 | 병력 수 | 주요 지휘관 |
1번대 | 평안도 | 18,700 |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마츠우라 시게노부(松浦鎭信), 아리마 하로노부(有馬晴信), 오무라 요시하키(大村喜前), 고토 스미하루(五島純玄), 소오 요시토시(宗義智) |
2번대 | 함경도 | 22,800 |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나베시마 나오시게(鍋渡直茂), 사가라 요시후사(相良賴房) |
3번대 | 황해도 | 11,000 |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 오오토모 요시무네 (大友吉統) |
4번대 | 강원도 | 14,000 | 모리 요시나리(毛利吉成),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 다카하시 모토타네(高橋元種), 아키츠키 다네나가(秋月種長), 이토오 스케타카(伊東祐兵), 시마즈 타다토요(島津忠豊) |
5번대 | 충청도 | 25,000 |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正則), 도다 카츠타카 (戶田勝隆), 초소카베 모토치카(長宗我部元親), 구르지마 미치후사 (來島統總), 하치스카 이에마사(蜂須賀家政), 이코바 치카마사(生駒親正) |
6번대 | 전라도 | 15,700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 고바야카와 히데카네 (小早川秀包), 다치바나 무네토라(立花統虎), 다카하시 도소 (高橋統增), 츠쿠시 히로카도(筑紫廣門) |
7번대 | 경상도 | 30,000 | 모리 데루모토(毛利輝元) |
8번대 | 경기도 | 10,000 | 우키다 히데이에(宇喜多秀家) |
9번대 | 경상도 | 11,500 |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 하시바 히데카츠(羽柴秀勝) |
수군 | 해상 | 4,500 | 도도 다카토라(藤堂高虎), 호리노우치 우지요시(堀內氏善), 스기타니 덴사부로(杉谷氏宗), 구와야마 카즈하루(桑山一晴), 구와야마 사다하루(桑山貞晴) |
계 | 163,200 |
|
<표 1-4> 1차 출전 병력외 임진왜란 참전기록이 있는 일본군 수
부대 | 병력 수 | 주요 지휘관 | 비고 |
수군 | 3,980 | 와키사카 야스하루(脇坂安治), 가토 요시아키 (加藤嘉明), 간 미치나가(菅達長), 구키 오시타가 (九鬼嘉隆) | 일본전사 참전 기록 |
10번대 | 2,000 | 미야베 나가히로(宮部長熙) | 선산 주둔 |
10번대 | 850 | 기노시타 시게카타(水下勝俊) | 인동 주둔 |
10번대 | 6,000 | 난쵸 모토키요(南條元續), 가키야 츠네후사 (垣屋恒總), 마에노 나가야스(前野長康), 사이무라 히로히데(濟村廣英), 아카시 노리자네(明石則實), 벳쇼 오시하루(別所吉治) | 일본전사 참전 기록 |
11번대 | 7,000 | 기무라 시게코레(木村重茲), 하세가와 히데카즈(長谷川秀一) | 진주대첩 참여 |
11번대 | 10,680 | 아사노 나가요시(淺野長慶)*, 오오타니 요시츠쿠 (大谷吉繼)*, 오오다 카즈노리(太田一吉) | 일본전사 참전 기록 |
13번대 | 2,540 | 히토츠야나기 가유(一柳可遊)*, 하토리 가즈타나 (服部一忠), 미즈노 다다시게(水野忠重)* | 일본전사 참전 기록 |
14번대 | 1,400 | 기노시타 시게카타(水下勝俊) | 대구 주둔 |
15번대 | 1,747 | 가토 미츠야스(加藤光泰)* | 진주대첩 참여 |
16번대 | 4,280 | 다테 마사무네(佐竹義宜), 사노 료하쿠 (伊達政宗)* | 일본전사 참전 기록 |
번외2번 | 4,950 | 이시다 미츠나리(石田三成), 마시타 나가모리 (增田長盛)* | 일본전사 참전 기록 |
미상 | 11,047 | 벳쇼 요시하루(別所吉治), 가메이 코레노리 (龜井眞矩), 다니 모리토모(谷衛友), 昌原 11家 | 밀양, 기장, 양산, 창원 주둔 |
계 | 56,474 |
|
|
http://hbpark60.blog.me/220075467947에서 퍼왔습니다.
[출처] 임진왜란 출전 일본군 수|작성자 박희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