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연인의 모습을 보면 떠오르는 그림이 있습니다.
우리 옛 그림 중 남녀가 밀회를 즐기는 그림은 그렇게 많지 않지만
유일하게 남녀의 솔직한 모습을 그린 화가가 한 명 있습니다.
바로 김홍도, 김득신과 더불어 조선 3대 풍속화가로 알려진 혜원 신윤복 입니다.
신윤복은 1758년에 태어났지만 언제 죽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본관은 고령이고 도화서 화원이었던 신한평의 아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뛰어난 작품을 남긴 훌륭한 화가임에도 불구하고
이상하리만치 거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도화서 화원이었고 첨절제사라는 직책까지 올랐으나
당시 사대부 취향에 반하는 그림을 그려 결국 도화서에서 쫓겨났다는 정도가 고작입니다.
그의 작품세계는 봉건사회가 몰락하고 근대적 기운이 싹트는 가운데
성문화가 개방화되는 도시의 분위기를 남녀의 솔직한 모습에 담아 김홍도와는 또 다른 회화사의 위업을 달성했습니다.
그의 그림은 조선인의 내면에 깔린 생활의 멋과 정서를 섬세한 인물묘사력과 세련된 색채감각으로
당시 무너져가는 사대부 지배층의 허위의식에 대한 통렬한 야유를 거침없이 그려냈습니다.
당시의 고루한 성리학적 사고에 젖은 양반들이 천한 그림을 그린다는 신랄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당당히 자신의 낙관을 작품마다 찍어놓아
세상의 비판에 대해 사실적 창작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자신의 그림에 대한 자부심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거리의 연인들을 보면서 요즘 부쩍 신윤복의 그림 중 <월하정인>이 생각납니다.
<월하정인>은 국보 135호로 지정된 [혜원풍속도첩](간송미술관)에 있는데
전체 30점의 도첩 그림은 대부분 남녀의 밀회가 중심인데
월하정인은 그 중 얌전한 그림중 하나입니다.
어스름한 달밤에 어느 낡은 집 담장 아래서 남녀가 서 있습니다.
호롱불을 들고 있는 남자는 마치 어디로 가자는 듯 얼굴을 여인을 보고 있지만
발은 이미 어디론가 향하고 있습니다.
쓰개치마를 쓴 여인은 부끄러운 듯 고개를 살짝 숙이고 있지만
빨간 입술과 홍조가 어린 볼에서 이미 마음은 남자에게 가 있는 듯싶습니다.
발을 보아도 오른쪽 발을 한발 앞으로 내민 폼이 곧 남자를 뒤따라 갈 것 같습니다.
초승달이 비친 어느 날 밤에 사랑하는 연인의 모습을
야릇하면서도 미묘한 시선으로 그려냈으며
특유의 고운 색채와 사실적인 얼굴묘사와 신발 표현 등은
전형적인 신윤복식 표현들로 그려져 있습니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넓은 갓을 쓰고 있지만 벼슬에 오르지 못한 선비가 즐겨 입던 중치막을 입은 남자는
갓끈을 멋들어지게 내리면서 뒤끝과 앞 끝을 옥색으로 덧씌운 고급 멋쟁이 고무신을 신고 있는 것으로 봐서
잘나가는 꽃 미남 한량임이 분명합니다.
야릇한 홍조를 띠고 있는 여인은
저고리 깃과 끝동은 붉은빛으로 치마와 쓰개치마는 고운 옥색으로,
신발은 자줏빛으로 여성 특유의 고운 빛깔로 깔끔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분명히 기생의 복장은 아닙니다.
그런데 조선시대 한밤중에 외간남자를 만나는 그녀는 누굴까요?
그 힌트는 담장에 낙서처럼 쓰여진 글귀에 있습니다.
“월하심 야삼경 양인심사양인지 月下沈 夜三更 兩人心事 兩人知”
달도 기운 밤 3경에 두 사람의 마음은 그들만이 알리라
삼경이라 하면 밤 11시부터 1시 사이인데
조선시대에는 밤10시부터 새벽 4시까지 통행금지가 있었고 이를 어길 시에는 곤장을 맞을 만큼 엄격했던 시대에
밤 3경에 남녀가 만난다는 말은 일단 정상적인 만남은 아니란 이야기입니다.
아무리 조선 후기 이러한 규율이 무너져 가던 시기였다고는 하나
평범한 남녀간의 만남이라고는 볼 수 없는 광경입니다.
이 화제는 신윤복의 자작 글이 아니고 선조 때 정승을 했던 김명원의 시에서 따온 글입니다.
窓外三更細雨時(창외삼경세우시)
창 밖은 야삼경 보슬비 내리는데
兩人心事兩人知(양인심사양인지)
두 사람 마음은 두 사람만 알리라
歡情未洽天將曉(환정미흡천장효)
나눈 정 미흡해서 날 먼저 새려 하니
更把羅衫問後期(경파라삼문후기)
나삼(羅衫)자락 부여잡고 뒷기약만 묻네
시를 쓴 김명원은 젊어서 놀기를 좋아했는데
그가 좋아했던 기생이 어느 양반집 후처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김명원은 그녀를 못 잊어 그 집 담장을 넘어 그녀를 만나다가 붙잡히고 맙니다.
큰 치도곤을 피할 수 없게 된 순간
그의 형인 김경원이 찾아와
“내 아우가 기운이 호탕하고 몸가짐은 거칠어 공께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그러나 아우는 평소 재주와 학문이 뛰어나 뒷날 크게 쓰일 인물입니다.
공께서는 아녀자 일로 나라의 인재를 정녕 죽이시렵니까?” 하고 선처를 부탁하니
그 주인이 너그럽게 용서해 주었다는 일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시 기생으로 있다가 남의 집 후처로 들어가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던 세월이었으니
이러한 김명원의 일화로 비추어 볼 때
결국 저 여인은 한때는 저 한량의 연인이었지만 이제는 남의 집 부녀자가 된 여성임을 암시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야간 통행금지를 어기며 곤장 맞을 것을 무릅쓰고 어두운 달빛아래
이제는 서로 잊어야 하는 하지만
여전히 서로를 잊지 못하는 연인이 만나 옛날 서로 뜨거웠던 모습으로 돌아가는 달뜬 모습이
바로 월하정인 의 숨은 내용인 것입니다.
당시에 이 그림이 그려진 후 첩 하나쯤은 품고 살던 사대부들이 얼마나 분노했을지 짐작이 가고도 남습니다.
천하고 속된 그림이라고 득달같이 공격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그림의 매력은 결코 속되지 않은데 있습니다.
왜 신윤복은 김명원의 글 귀중 “兩人心事兩人知(양인심사양인지) 두 사람 마음은 두 사람만 알리라” 부분만 추려 놓았을까요?
저는 처음에는 이 부분을 그 둘이 어딜 가서 무엇을 할 것인지는 두 사람만이 알 것이다 라는 식으로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그림을 한참 보고 있으면서 그 뜻은 단지 그들이 앞으로 할 행동을 이야기하기 보다는 그들의 앞으로의 관계,
즉 봉건적 유교에서는 용납될 수 없는 그들의 사랑을 어떻게 이어갈 지 암시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의 위치로 돌아갈 것 인가?
아니면 결국 사랑을 선택하여 그 결과물로 얻어질 파란만장한 미래를 선택 할 것인가?
그 선택은 결국 그 두 사람만이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세상에는 명백하게 흑백으로 가려지지 않는 문제가 많습니다.
모든 일을 도덕적 관점으로 판단 할 수도 없습니다.
도덕의 잣대로 모든 것을 판단하기에는 사람의 존재가 너무 넓고 변화무쌍하며 여린 존재들입니다.
더구나 남녀간의 문제는 도덕이전에 이성으로 통제하기 어려운 사랑이란 감정이 있습니다.
머리로 가슴을 움직이지 못 할 때도 있는 것입니다.
너무 진하지 않은 색채로 전체적으로 은밀한 분위기를 만들면서 쓰개치마를 잡고 있는
여인의 붉은 소매를 통해 여인의 얼굴로 시선이 모아지도록 유도하는 치밀한 구성을 통해
당당히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던 회화 속 주인공을 여성으로 바꿔 놓는 혁신적 화풍을 보여줍니다.
무릇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세계에 대해 확신이 있어야 합니다.
자신의 그림이 세상의 모습을 왜곡시킨다거나 시대를 꺼꾸로 되돌리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는 명작을 그려낼 수 없는 것입니다.
생산력의 발달로 상업이 발달하고 계급질서가 무너져가며 한양이 도시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도시남녀의 솔직함과 발랄함,
그 속에 감추어진 절망감을 남녀간의 정념으로 승화시켜 숨김없이 그대로 그려낸 신윤복의 작품 세계는
결국 근대회화의 여명을 알리는 신 새벽의 종소리 같은 그림들입니다.
그는 자신의 회화 관을 고수하고자 유교적 사회에서의 소외를 감수합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자신의 모든 것이나 다름없는 것을 지키기 위해서는 소외 아니 그 이상도 감수해야 하나 봅니다.
<월하정인>은 조선 후기 평민들의 숨길 수 없는 정염, 에로티시즘 그리고 서민적인 멋을 솔직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또 그림을 감상하는 사람들에게 이 부박한 사회에 목숨 걸고 지켜내고자 하는
그 무엇을 하나쯤은 품은 채 살아가고 있는지를 묻고 있습니다.
가난한 연인이든 풍족한 연인이든,
막 시작하는 연인이든
오랫동안 서로를 보듬어 온 연인이든 추운 거리의 모든 연인들의 앞날이 따뜻한 조명 불빛처럼 밝고 환하게 펼쳐지길 기대합니다.
그리고 혹여 예기치 못한 이별이 온다 해도 만남 자체를 후회하며 추억을 떠올릴 때 마다
송곳으로 가슴을 헤집을 만큼은 아니길 손 모아 기원합니다.
2006 . 12 . 17 금강안金剛眼
첫댓글 화사하면서도 은은한 색채 정말 멋있어요 .다시 보게 돼서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