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기조화기 고장진단과 대책 |
박배규 |
Ⅰ. 개요 |
공기조화기(AHU)는 근래 우리나라 공업화에 따른 경제 수준의 향상과 아울러 삶의 질적 향상으로 인한 국민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공조설비로 취급되고 있다. |
Ⅱ. 공기조화기의 주요 부분별 분류는 [표1]과 같다. |
[표1] 공기조화기의 주요 부분별 분류 |
|
Ⅲ.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설계 제작되는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품과 부속 기기의 |
[표2]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품과 부속기기의 종류 |
|
Ⅳ. 공기조화기 부속기기의 실패사례 및 고장진단과 대책 |
1. 공기조화기 케이싱 부분의 사례 |
[사례] 서울 ○○기념관 지하에 설치된 다수의 공기조화기 케이싱이 심한 부식으로 인하여 전량 재도장한 경우 |
(1) 제조공장에서 제작한 공기조화기를 분해 운반하여 현장 조립하는 과정에서 케이싱과 부품들이 많은 손상이 발생하였다. |
[대책] 현장에서 재도장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부식된 부위를 사포(砂布)와 전동 공구를 사용하여 표면처리하였다. |
[해설] 위와 같은 사례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많은 현장에서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공정의 지연, 인력과 시간의 낭비 및 또한 경제적 손실도 크다 하겠다. |
(1) 케이싱의 원자재는 외부와 내부에 아연도강판 또는 칼라강판을 사용하여 판금가공과 보온처리 한 후 도장없이 직접 조립할 수 있게 한다. |
|
[사진1]은 외부는 칼라강판, 내부는 아연도강판을 사용하고 보온은 이중 케이싱 공간에 우레탄을 발포하여 외부와 바닥을 조립한 공기조화기를 보여준다. |
(2) 도장설비가 충분치 못한 경우 케이싱과 바닥, 드레인 팬의 원자재는 아연도강판을 사용하게 한다. |
[사진2]는 외부 케이싱은 아연도강판을 사용하고 내부에 유리섬유를 보온한 후 사각관 후레임에 외부에서 스크류(Screw)로 조립한 공기조화기를 보여준다. |
(3) 제조공장에서 조립된 공기조화기는 가급적 완제품 형태나 부분별로 분할되어 운반 조립, 설치 될 수 있도록 인양장비(Tower Crane)를 건축공정과 협의하여 사전에 확보하게 한다. |
|
(4) 현장조립 설치 후 전기, 배관, 덕트 연결 공사 중에 손상이 없도록 공기조화기 외부를 보양 조치하게 한다. |
2. 공기조화기 베이스, 후레임의 사례 |
[사례] 경기도 ○○ 제약단지內 ○○제약의 공기조화기 베이스 바닥판 외부에 응결수 발생으로 인하여 별도의 물받이(Sump)를 설치하고 부식된 내부 후레임을 재도장한 경우 |
(1) 제조공장에서 부품별로 제작하여 현장 조립 과정에서 베이스 하부의 보온작업이 누락되어 외부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였다. |
[대책] 현장에서 처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공조설비공사가 이미 완결되어 있고 공기조화기 바닥면을 보온할 수 없으므로 공기조화기의 바닥 면적보다 더 큰 물받이(아연도강판 1.6t)를 제작하여 하부에 보온한 후 [그림1]과 같이 설치하였다. |
|
(2) 후레임은 내부에서 재도장하였다. |
[해설] 냉방운전을 하게되는 여름철 특히 습도가 높은 공조실에서 운전하는 공기조화기의 냉각된 공기가 접하게 되는 하부 베이스에서 많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드레인 팬과 베이스가 함께 부착, 제작된 경우 보온이 안된 형강류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공기조화기 밑면을 전체보온하고 별도의 드레인 팬을 제작하여 바닥면 위에 설치하게 하여 베이스의 결로를 방지하고 후레임도 부식에 강한 아연도강재 또는 알루미늄 압출물을 사용하여 장비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여야 하겠다. |
[대책] 공기조화기 베이스부분의 결로 방지에 대한 근원적 대책은 다음과 같다. |
(1) 베이스는 형강 또는 C형강의 구조에 부식방지를 위한 전착도장 또는 분체도장을 하거나 아연도강판을 사용하여 가공하게 한다. |
[사진3]은 냉각 코일하부에 이중 바닥판(스테인레스 스틸강판 + 우레탄 발포보온재 + 아연도강판)과 스테인레스 스틸강판으로 제작한 드레인 팬을 설치한 예를 보여준다. |
|
(4) [사진4]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부식을 고려한 알루미늄 후레임을 설치하고 휠터 레일을 부착하여 Pre Filter와 Medium Filter를 설치한 단면을 보여준다. |
[그림2]는 [사진3]의 드레인 팬을 설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
|
3. 공기조화기용 송풍기의 사례 |
[사례] 대전 ○○기술 연구소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용 송풍기의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여 완전 분해하여 보수한 경우 |
(1) 송풍기의 회전익은 익형(Air Foil)이었고 고속 회전에서 송풍기의 회전체는 불균형 (Unblancing)으로 운전 초기부터 약간의 진동이 있었다. |
[대책] 송풍기의 보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송풍기의 축을 같은 규격의 크기로 가공하여 교환하였다. |
[해설] 송풍기는 공기를 이송하는 기능과 아울러 전동기와 같은 회전체로써 공기조화기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또한 회전체인 관계로 고장의 발생이 제일 많은 부분이기도 하다. 고장발생의 주요 부품은 다음과 같다. |
(1) 벨트의 장력조절 불량과 마모로 수명 단축 |
위의 송풍기 사례와 같이 사용 후 몇 개월이 지나서나 발생하는 경우에는 회전익과 풀리만 균형조정 (Blancing)한 후 송풍기 케이싱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Key의 조임에 의한 편심, 균형의 변형 (Unblancing),수평과 중심의 어긋남, 윤활유의 주입불량으로 인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도표1]은 KSB6311 송풍기의 시험 및 검사방법에서 진동의 허용값(참고)이다. |
|
송풍기의 균형 상태가 양호하고 고속회전이며 진동이 우수할 경우에는 고무계열 방진 장치로 충분하지만 저속이고 진동폭이 클수록 정적변위량이 큰 스프링 계열 방진장치를 사용한다. 송풍기를 공기조화기 베이스 형강에 방진장치와 함께 고정할 때는 [사진5]와 같이 방진장치(방진고무)와 베이스 바닥판 사이에 별도의 C형강을 삽입하여 장착하면 송풍기의 진동전달을 일부 감소시키고 송풍기의 중량이 분산되고 바닥판과 방진장치를 격리시켜 철판의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
|
전동기에 가변풀리(Adjustable pitch pulley)를 장착하면 송풍기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정풍량 방식(CAV)의 풍량조절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풍량조절의 범위를 정하고 가변풀리의 최대피치경과 최소피치경을 구하여 가변풀리의 기종을 선정하게 된다. |
|
|
[사진6]은 전동기에 가변풀기가 장착된 송풍기를 보여준다. |
|
4. 공기조화기용 냉수코일의 동파사례 |
[사례] 서울 ○○공사 신축건물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이 동파되어 전면 재보수한 경우 |
(1) 공기조화기에 배관을 연결하고 배관과 코일을 수압시험한 후 코일내부의 물이 완전 배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축물의 외부 마감이 안된 동절기에 코일의 동관이 코일 상단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동관이 동파되었다. |
[대책] 현장에서 코일을 보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냉수코일이 대형이고 고층빌딩의 내부에서는 운반통로를 확보할 수 없는 관계로 기존의 코일을 제거하거나 교체할 수 없었다. |
[해설] 냉수코일은 햇더, 동관, 휜(Fin)과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있고 냉수입출구의 햇더에는 다수의 냉수 회로(Circuit)가 연결되어 있다. 보통 1개의 냉수회로가 6열~8열로 되어있고 다수의 냉수회로를 적층하여 적층단수(Step)가 코일의 높이를 결정하게 되며 간격은 동관의 피치(Pitch)가 된다. |
[사진8]은 냉수 코일의 햇더와 동관의 연결부위의 단면을 보여준다. |
[사진9]는 부동 코일의 이중 햇더와 동관의 연결부위의 단면을 보여준다. |
|
사용중인 건물에서 동파가 발생하게 되면 배관이 연결된 상태에서 코일의 보수작업은 공기조화기의 케이싱과 연결된 배관을 일부 해체하고 누수부분을 조사하여 숙련된 용접 기능사를 동원하여 용접한 후 재수압시험을 실시하고 냉방운전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은 경제적인 손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코일의 수명단축으로 공조설비 자산(資産) 손실도 크다 하겠다. |
(1) 냉수코일은 수평상태로 설치되게 한다. |
[사진10]은 기밀형 댐퍼가 장착된 단면을 보여준다. |
|
5. 공기조화기의 직팽 코일(DX Coil)과 공냉식 응축기의 사례 |
[사례] 경기도 ○○공사 신축건물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직팽코일(증발기)과 공냉식 응축기를 장착하여 냉방과 제습의 목적으로 사용하던 중 제습이 안되고 냉동계통의 고장으로 재 보수한 경우 [내용] 운전중 제습능력이 저하되고 분리설치된 공냉식 응축기에 내장된 냉매 가스 압축용 압축기 (Compressor)가 소손(燒損)되어 압축기를 교체하고 냉동싸이클과 자동제어 및 냉매 배관을 보수한 후 냉방운전을 하였다. |
(1) 공칭 20냉동톤(RT)의 용량으로 압축기 10마력 2대를 분리된 공냉식 응축에 내장하여 독립된 냉동싸이클(Dual Cycle)로 운전하는 방식으로 냉방운전은 압축기 2대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며 제습운전은 선택된 1개의 압축기로 제습운전하는 방식이다. |
[대책] 제습능력 회복과 냉동싸이클의 복구는 아래와 같다. |
(1) 제습운전은 직팽코일(증발기)의 하단에 분담되도록 제어 회로를 수정보완하여 응결수가 곧바로 드레인 팬에 모아져 배수되게 하였다. |
[해설] 건축물의 크기가 5층 내외이고 냉매 배관거리가 60m 이내의 경우에는 공기조화에 직팽 코일과 공냉식 응축기를 분리 설치하여 냉방을 하게 함으로써 별도로 냉동기(Water Chiller)와 냉각탑 (Cooling Tower), 냉수냉각수의 배관, 냉수냉각수용 펌프와 같은 장비없이 냉매의 배관으로도 간편하게 냉방을 할 수 있는 간편성 때문에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
(1) 냉동유의 회수가 원활하게 하여야 한다. |
[표3] 압축기 기준 : M사, 냉매 : R-22기준, 냉동유 : SNISO 4GS기준 |
|
※ 제조사에서 압축기에 기본적으로 충진한 충진량임. |
6. 송풍기용 전동기의 사례 |
[사례] 천안 ○○사옥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소손으로 전동기를 교체한 경우 |
(1) 20마력 전동기는 과부하로 소손되었다. 380볼트전용 Y-△ 결선 방식의 전동기를 결선착오로 직기동식 Y상태로 연속 운전으로 전동기의 코일 전체가 과열되어 소손되었다. |
[대책] 전동기 교체와 전기부분의 보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20마력 전동기는 전기결선공사를 시공한 업체의 주선으로 수리하여 교체하였고 전기결선을 △상태로 하고 전자개폐기와 과전류계전기(Thermal Relay)를 교체하고 전동기와 매립된 전선 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1메가옴 이상을 확인하고 직기둥 운전을 시작하였다. |
|
[해설] 공기조화기를 설치하여 시운전과 연속운전하는 과정에서 전동기가 소손하는 경우가 있다. 소손의 원인을 정확하게 조사하여 조치하여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기와 전기동력을 취급 하는 전문인의 기술 협조가 필요하다. 소손의 원인에 따라 문제가 발생한 부분의 보수와 전동기의 수리 비용을 분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전동기의 소손의 원인은 전동기 자체의 절연불 량 또는 기계적인 구조결함과 과부하 운전, 단상운전, 주위의 온도(40℃이상) 상승으로 이한 과열 운전 및 노후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절연불량과 과전류에 의한 소손이 대부분이다. |
[그림4] 전동기의 Y-△ 결선도이다. |
|
[표4]는 KSC 4202의 삼상전동기 특성중 전압을 220V와 380V로 환산한 전동기의 전부하 전류(참고) 이다. |
[표4] (참고)전동기의 전부하전류(A) (B종, 밀폐형 4극전동기 기준) |
|
참고문헌
|
1. 송풍기의 시험 및 검사 방법(KSB 6311) |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함니다.
유용한 자료 감사히 담아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