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데로 옳다고 생각하는일에서 열심히 일 할 때 제 주변의 사람들은 사뭇 걱정하며 미래를 준비하라하셨습니다.
무슨 미래냐고 물으면 만일의 일에대한 대비였죠.
@니가 결혼하면 살림은 무엇으로 할래?
- 농사철에 농사짓고, 농한기에는 막노동을 비롯해 품을 팔면서 조금씩만 먹으면서 살죠.
@집은 어떻게 할래? 어디서 살거야?
시골에 빈집들이 많으니 고쳐서 살면 되지요.
@애를 낳아서 교육은 어떻게 할래?
- 의무교육이니 따로 교육비가 필요한가요? 그리고 꼭 공교육이 아리라도 부부가 아이의 알아감에 함께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등등의 많은 걱정석인 질문속에 꼭 끼어있는 질문이 있습니다.
@만약에 니 아내가, 그리고 네 자식이 아프면 어떻할래, 세금 및 보험은 않들꺼야?
(이 질문에서 저는 더 열심히 잘 살아야 한다는 것을 알아차립니다.)
- 제가 잘 살면 저의 지인들이 서로에게 보험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리석은 대답들이 많지만 이렇게 말해 왔습니다.
저는 생각합니다. 무소유의 힘... 그것은 옳바른 삶에서 온다고.
한국의 이 시대를 무소유의 힘으로, 오로지 헌신으로 살아오신 두분이 계십니다.
"허병섭, 이정진."
이제 이분들이 무소유의 힘을 필요로 합니다.
이것은 더 많은 무소유의 꿈나무들을 키우기 위함입니다.
님들의 마음의 기도를 부탁드리며 이글을 올립니다.
- 허병섭 목사, 이정진 선생의 삶을 되돌아 보며... -
허병섭 목사는 1941년 경남 김해에서 출생. 한국신학대학과 동대학원을 졸업,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수도권 특수지역선교위원회 총무를 맡아 활동하였다.
청계천 꼬방동네에서 중랑천 뚝방의 도시빈민들과 어울리며 가난한 자의 벗과 형제가 되어 무료 진료를 알선하고,
당국의 무자비한 철거정책에는 몸으로 맞서 싸우는 주민운동(CO) 조직가로 활동했다.
유신체제 아래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20여 차례 연행, 구금, 고문을 받아야 했고, 도피생활을 반복했다.
1976년 하월곡동에 동월교회를 설립하여 민족적, 민주적, 민중적 교회를 지향하며 국악찬송과 판소리 설교 등을 통해 예배의 한국화를 시도하였다.
교회가 단순히 예배드리는 곳, 자선을 베푸는 곳이 아니라 지역주민들 스스로 참여하고 깨닫고 자립할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였다.
1982년 가난한 맞벌이 부부들의 보육의 짐을 덜어주고 방치되는 아이들을 모아 교회안에 똘배의 집이라는 탁아소를 세웠으며 이는 1987년 탁아소 입법화의 기반이 되었다.
1988년 소속 교단에 목사직을 반납하고 성직자가 가지는 권위, 사회적 위상 등을 벗고 진정한 빈민으로 살기 위해 막노동판에서 미장공으로 노동을 시작하였다.
1990년 하월곡동 노동자 15명과 최초의 건설노동자생산협동조합 '건축일꾼 두레'라는 공동체 조직을 만들었다.
노동의 주체가 되어 공동체의 자립과 자활을 위해 스스로 노동을 통해 천대와 자기멸시를 떨쳐 낼 수 있게 했다.
이러한 허병섭 목사의 실천적인 활동을 모형으로 현재의 자활지원센터의 제도화가 행해졌다.
또한 가난한 사람들의 생활정치를 위해 생활경제연구소를 만들었다.
1996년 무주 안성면 진도리로 귀농,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파괴하는 소비의 근원지인 도시에는 더 이상 희망이 없고, 나눔과 섬김, 공생의 가치가 담긴 생태적 관점으로의 전환 없이는 점점 더 강력해지는 자본주의의 벽을 무너뜨릴 수 없다고 보고 생태 생명운동을 전개하며 골프장 등 무주지역 개발에 맞서 주민과 함께 싸웠다.
1998년 민중 교육을 실천으로 옮겼던 그는 생태주의에 근거한 교육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 진도리 근처에 푸른꿈 고등학교가 들어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003년 생명평화를 기원하는 많은 이들의 마음이 모여 설립된 최초 대안대학 녹색대학교(現, 온 배움터)가 문을 여는데 큰 역할을 한다.
개교 이후로도 학교와 물(학생)들과 함께 하며 학교가 안정화 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였다. 생태적 삶의 방식을 알고 익히기 위해서, 왜곡된 문화를 생태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생태문화 공간을 창조하는 일꾼을 양성하는 생태적 교육을 실현하고자 했다.
현재 온 배움터 공동대표와 생태교육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2008년도에는 두 분 명의의 땅과 산 등을 자연환경국민신탁에 증여하면서 무분별한 개발경영의 사회에 아름다운 귀감이 되었다.
이정진 선생은 1947년 서울에서 출생1970년 고려대 법대를 졸업하고, 72년까지 The Stuendet Times 기자 활동을 하였다.
1990년 해직교사 후원회, 참교육 학부모회 자원활동을 하다, 1993년 참교육 시민모임 사무처장으로 활동하였다.
1996년, 허병섭 목사와 뜻을 같이 하여 무주로 귀농, 땅을 일구며 생활하며 지역 어르신들께 한글 등 공부를 가르치며 봉사하였다.
2007년 만나지역아동센터에서 교사로 근무하며 지역의 아이들을 돌보았다.
2008년 주민들의 권유로 지방선거에 민주 노동당 후보로 군 의원에 출마하였다.
두 분의 밀알노동을 통해 경험한 삶을 엮어 「허병섭 이정진의 넘치는 생명세상 이야기」(함께 읽는 책, 2001)을 출판하였다.
두 분은 평생 이름 없이 빛도 없이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하며, 민중교육과 생태생명운동에 헌신하시다 지금은 두 분 모두 힘겨운 투병 중에 있습니다.
-허병섭 목사, 이정진 선생 투병 근황 -
이정진 선생이 2009년 1월 6일 강남성모병원에 입원, 간병중이던 허병섭 목사도 1월 12일 갑작스레 병증이 생겨 입원하였습니다.
강남성모병원에서 두 분이 모두 '상세불명 뇌손상'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두 번의 MRI 촬영 결과 뇌 전반에 뇌백질이 끼었고 치매, 일산화탄소가스 중독 증상과 비슷하나 확증을 내릴 수는 없습니다.
현재 이정진 선생은 미소들병원에, 허병섭 목사는 애린실버요양병원에서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양방, 한방, 대체의학 등 적극적인 치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정진 선생은 사람을 알아보고 간단한 말씀과 의사표현은 가능하지만 스스로 거동이 불가능한 상태이며, 허병섭 목사는 사람을 못 알아보고, 말씀도 못하시며 거동 또한 불편한 상태입니다.
다시한번 마음과 정성을 모아 두 분의 쾌유를 위하여 관심과 기도를 부탁드린다는 말씀을 감히 올립니다.
첫댓글 달리 보면 가장 많이 가지고 계신 분이지요 ^^// 보이지 않는 걸 만들어 내는 좋은 분이니 ^^// 작은 마음 보태어 봅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