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 학이편 7장
논어집주 학이편 7장
子夏曰(자하왈) 賢賢(현현)호되 易色(역색)하며 事父母(사부모)호되 能竭其力(능갈기력)하며 事君(사군)호되 能致其身(능치기신)하며 與朋友交(여붕우교)호되 言而有信(언이유신)이면 雖曰未學(수왈미학)이라도 吾必謂之學矣(오필위지학의)라호리라
子夏가 말하였다. “어진 이를 어질게 여기되(존경하되) 女色을 좋아하는 마음과 바꿔서 하며, 父母를 섬기되 능히 그 힘을 다하며, 君主를 섬기되 능히 그 몸을 바치며, 朋友와 더불어 사귀되 말함에 성실함이 있으면, 비록 배우지 못했다고 말하더라도 나는 반드시 그를 배웠다고 이르겠다.”
子夏는 孔子弟子니 姓卜이요 名商이라 賢人之賢而易其好色之心이면 好善有誠也라 致는 猶委也니 委致其身은 謂不有其身1)也라 四者는 皆人倫之大者요 而行之必盡其誠이니 學求如是而已라 故로 子夏言 有能如是之人이면 苟非生質之美인댄 必其務學之至니 雖或以爲未嘗爲學이라도 我必謂之已學也라하니라
자하는 공자의 제자이니, 성은 卜(복)이요 이름은 商(상)이다. 남의 어짊을 어질게 여기되 여색을 좋아하는 마음과 바꾸어서 한다면 선을 좋아함이 성실함이 있는 것이다. ‘致(치)’는 委(위)와 같으니, 그 몸을 委致(위치)한다(바친다)는 것은 그 몸을 두지 않음을 이른다. 이 네 가지는 모두 인륜의 큰 것이요, 이것을 행함에 반드시 그 정성을 다해야 하니, 배우는 것은 이와 같음을 구할 뿐이다. 그러므로 자하가 “능히 이와 같은 사람이 있다면, 만일 타고난 자질이 아름다운 것이 아니면 반드시 학문에 힘쓰기를 지극히 해서일 것이니, 비록 혹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일찍이 배우지 못했다고 말하더라도 나는 반드시 그를 이미 배웠다고 이르겠다.”고 말한 것이다.
☉ 游氏曰 三代之學이 皆所以明人倫也니 能是四者면 則於人倫에 厚矣니 學之爲道 何以加此리오 子夏以文學名2)이로되 而其言이 如此하니 則古人之所謂學者를 可知矣라 故로 學而一篇은 大抵皆在於務本하니라
吳氏曰 子夏之言이 其意善矣라 然이나 詞氣之間에 抑揚大(太)過하여 其流之弊가 將或至於廢學이니 必若上章夫子之言然後에 爲無弊也니라
☉ 유씨(游酢(유초))가 말하였다. “삼대의 학문은 모두 인륜을 밝힌 것이었으니, 이 네 가지에 능하다면 인륜에 두터우니, 배우는 도가 어찌 이보다 더한 것이 있겠는가. 자하는 문학으로 알려졌는데도 그 말이 이와 같았으니, 그렇다면 옛사람들의 이른바 ‘배움’이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學而(학이)〉 한 편은 대체로 모두 근본을 힘씀에 있다.”
오씨(吳棫(오역))가 말하였다. “자하의 말은 그 뜻이 좋다. 그러나 말하는 사이에 抑揚(억양, 억제하고 찬양함)이 너무 지나쳐서 그 말류의 폐단이 장차 혹 학문을 폐지하는 데에 이를 수 있으니, 반드시 앞 6장의 〈여력이 있으면 글을 배우라는〉 夫子(부자)의 말씀과 같이 한 뒤에야 폐단이 없게 될 것이다.”
출처 논어집주 학이편 7장 역자 성백효
[출처] 논어집주 학이편 7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