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도상금(操刀傷錦)
칼을 다루다가 비단을 상하게 한다는 뜻으로, 무능한 자에게 중요한 일을 맡기면 일을 그르치게 됨을 비유하는 말이다.
操 : 잡을 조(扌/13)
刀 : 칼 도(刀/0)
傷 : 다칠 상(亻/11)
錦 : 비단 금(金/8)
칼을 다루다가 비단을 상하게 하다'라는 뜻으로, 무능한 자에게 중요한 일을 맡기면 일을 그르치게 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춘추시대 정(鄭)나라의 명신(名臣) 자산(子産)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미금학제(美錦學制: 훌륭한 비단을 가지고 재단하는 법을 배움. 制는 製라고도 씀)라고도 한다. 춘추시대 정나라의 권력자인 자피(子皮)가 그의 가신인 윤하(尹何)를 자기 봉읍지의 관리로 삼으려고 하였다. 자산은 윤하가 나이가 어리고 그 일을 감당할 경험과 능력도 없다고 생각하여 반대하였다.
자피가 배워 가면서 하면 충분하다며 뜻을 굽히지 않자, 자산은 이렇게 설득하였다. "사람이 누군가를 좋아하면 그에게 이로운 일을 해주고 싶어하기 마련입니다. 지금 그대는 누군가를 좋아하여 정치를 맡기려 하는데, 이는 칼을 다룰 줄 모르는 사람에게 고기를 자르게 하는 것과 같아서, 그 사람은 그 칼에 먼저 자신을 베게 될 것입니다. 만약 그대에게 훌륭한 비단이 있다면 그것을 남에게 주어 재단하는 법을 배우게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子有美錦, 不使人學製焉).
대관(大官)과 대읍(大邑)은 많은 백성을 관리하여야 하는 것이니 비단보다 훨씬 귀중합니다. 비단일지라도 재단할 줄 모르는 사람에게는 맡기지 않는 법인데, 어찌하여 대관과 대읍을 관리경험도 없는 사람에게 맡기시려 합니까.
배우고 나서 정사(政事)에 입문한다는 말을 들어보았어도 정사에 입문하여 배운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하였습니다. 만약 이렇게 한다면 반드시 해로움이 있을 것입니다. 마차를 몰 줄도 모르고 활시위를 당길 줄도 모르는 사람에게 사냥을 하라고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 아니겠습니까?"
이 고사는 '좌씨전(左氏傳)'의 '양공(襄公) 31년'조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조도상금(操刀傷錦)은 칼을 다룰 줄 모르는 사람에게 비단을 자르게 하면 비단이 상하게 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능한 자에게 중대한 일을 맡기면 일을 그르치게 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조도상금(操刀傷錦)
가지 않았던 길에는 뛰어난 아이디어와 창의력이 빛을 발한다. 일상의 생활을 영위하는 대부분의 일에는 노하우, 경험이 중요할 때가 더 많다. 우리들의 지식은 모두 경험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한 철학자도 있다. 경험이 풍부할 것으로 보고 ‘구관이 명관’이란 속담이 콕 집어 표현한다.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말라고 不踏覆轍(부답복철)이란 말로 가르치기도 한다. 그런데도 경험을 중시하지 않다가 일을 그르치는 경우는 많다. 칼을 다루는 재주도 없이 잘못 잡아(操刀) 귀한 비단만 못쓰게 한다(傷錦)는 이 말이 그런 경우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는 속담대로 능력이 못 따라 제구실을 못하면서 함부로 하다가 큰일을 저지르게 되는 것과 같다.
春秋時代(춘추시대) 때 조그만 鄭(정)나라는 대국인 楚(초)와 晉(진) 사이에 끼여 기를 펴지 못했지만 公孫僑(공손교)라 불린 子産(자산)이 집정했을 때 정치가 안정되고 대외적으로도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 어느 때 재상 子皮(자피)가 젊은 사람에게 자신의 영지를 봉하려 했다. 나이는 어리지만 성실하고 곧 다스리는 법을 알게 될 것이라며 맡기려 하자 그 젊은이가 너무 어리고 능력도 없음을 안 자산이 반대했다.
‘이는 칼질이 서투른 사람에게 물건을 자르게 하는 것과 같아 다치게만 할 뿐입니다(猶未能操刀而使割也 其傷實多/ 유미능조도이사할야 기상실다).’ 그러면서 ‘고운 비단이 있다면 경험이 없는 사람에게 배우라고 재단을 시키지 않을 것(子有美錦 不使人學製焉/ 자유미금 불사인학제언)‘인데 나라는 비단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자피는 이 말이 옳다고 여겨 임명을 중단하는 한편, 자산이 현명하고 원대한 식견을 가진 것을 알고 집정 자리를 양보했다. 左丘明(좌구명)이 쓴 ’左傳(좌전)‘의 襄公(양공)전에 실려 있다. 美錦學制(미금학제)도 같은 뜻으로 쓴다.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낙하산 인사가 곳곳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전문지식도 없이 큰 자리에 덥석 앉는 것도 문제지만 그런 사람을 앉히는 것이 더 큰 문제다.
▶️ 操(잡을 조)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재방변(扌=手; 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喿(조)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喿(조, 소)는 많은 새들이 나무 위에 떼지어 시끄럽게 지저귀는 일, 여기에서는 많은 자잘한 일을 나타낸다. 재방변(扌)部는 손, 가지는 일, 이것저것을 솜씨 좋게 다루다, 손에 꽉 쥐다, 굳게 지키다, 지조의 뜻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操자는 '잡다'나 '조심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操자는 手(손 수)자와 喿(울 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喿자는 나무 위에 새들이 떼 지어 지저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이렇게 새들이 앉아있는 모습을 그린 喿자에 手자를 결합한 操자는 손으로 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새들은 사람의 인기척에 쉽게 날아가곤 하니 잡을 때는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 그래서 操자는 '잡다'라는 뜻 외에도 '조심하다'는 뜻도 파생되어 있다. 그래서 操(조)는 깨끗이 가지는 몸과 굳게 잡은 마음의 뜻으로 ①잡다, 손에 쥐다 ②부리다, 다루다, 조종하다 ③장악하다 ④단련하다 ⑤운동하다 ⑥훈련하다 ⑦급박하다, 절박하다 ⑧지조(志操), 절조(節操), 절개(節槪) ⑨풍치(風致), 운치(韻致) ⑩곡조(曲調)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잡을 집(執), 잡을 액(扼), 잡을 파(把), 잡을 구(拘), 잡을 착(捉), 잡을 포(捕), 잡을 나(拏), 잡을 나(拿), 잡을 지(摯), 잡을 체(逮), 잡을 병(秉)이다. 용례로는 실수가 없도록 마음을 삼가서 경계함을 조심(操心), 마음대로 다루어 움직임을 조종(操縱), 기계 등을 움직이어 작업함을 조작(操作), 공장 등에서 기계를 움직이어 작업을 실시함을 조업(操業), 못되게 굴어 남을 몹시 괴롭힘을 조련(操鍊), 붓을 잡아 글을 씀을 조고(操觚), 물건을 싣고 다니는 배를 부림을 조선(操船), 태도나 행동이 침착하고 얌전함을 조신(操身), 지조가 깨끗함을 조결(操潔), 지조나 정조 따위를 굳건히 지킴을 조수(操守), 마음대로 다루면서 데리고 놂을 조롱(操弄), 안석을 잡는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이 어른을 가까이서 모심을 조궤(操几), 남을 조종하여 헤살을 부림을 조당(操搪), 일을 못하게 뒤에서 조종하여 가로막음을 조색(操塞), 군사를 조련하는 방식을 조식(操式), 마음을 다잡아 가짐을 조존(操存), 곧은 뜻과 절조를 지조(志操), 무엇을 잘하는 소질과 타고난 슬기를 재조(才操), 굳게 지키는 지조를 절조(節操), 정신의 활동에 따라 일어나는 복잡하고 고상한 감정을 정조(情操), 절조를 장려함을 여조(勵操), 여자의 깨끗하고 곧은 절개를 정조(貞操), 변함없는 굳은 절조를 덕조(德操), 선비의 절조를 사조(士操), 깨끗한 정조나 결백한 지조를 청조(淸操), 늘 변함이 없는 지조를 항조(恒操), 깨끗하지 못한 지조를 탁조(濁操), 전투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치는 훈련을 연조(演操), 성을 중심으로 하여 군사를 조련하는 일을 성조(城操), 넓은 마당에서 하는 군사 조련을 장조(場操), 각처의 군영을 순회하며 행하는 조련을 순조(巡操), 몹시 조심스럽게 행동하는 모양을 일컫는 말을 조심조심(操心操心), 백주라는 시를 지어 맹세하고 절개를 지킨다는 뜻으로 남편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를 지키는 것을 이르는 말을 백주지조(栢舟之操), 남의 방안에 들어가 창을 휘두른다는 뜻으로 그 사람의 학설을 가지고 그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입실조과(入室操戈), 한겨울에도 시들지 않는 소나무와 잣나무의 지조라는 뜻으로 굳은 절개를 이르는 말을 송백지조(松柏之操), 맑은 절조를 굳게 가지고 있으면 나의 도리를 극진히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을 견지아조(堅持雅操) 등에 쓰인다.
▶️ 刀(칼 도)는 ❶상형문자로 칼을 본뜬 글자로 옛 자형(字形)은 사람인(人=亻; 사람)部와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웠다. ❷상형문자로 刀자는 '칼'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칼을 뜻하기에는 다소 모양이 이상하지만, 이것은 고대에 사용하던 칼의 일종을 그린 것이다. 이 칼에는 굽은 칼날 위로 뾰족한 날이 하나 더 있었는데, 이것은 적의 칼날을 부러뜨리거나 밀어내는 역할을 했었다. 刀자는 그러한 형태가 변화된 것이다. 칼은 물건을 자르거나 베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刀자 부수로 쓰인 글자들은 대부분이 사물이 갈라지거나 '공격하다'라는 뜻을 전달하게 된다. 참고로 刀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刂자 형태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刀(도)는 ①칼 ②화폐(貨幣)의 이름 ③거룻배(돛이 없는 작은 배) ④종이 100장 ⑤무게의 단위 ⑥갈치(갈칫과의 바닷물고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칼 검(劍)이다. 용례로는 칼로 이마에 입묵하던 형벌을 도묵(刀墨), 작은 칼을 도자(刀子), 칼을 만드는 사람을 도공(刀工), 칼과 검을 도검(刀劍), 칼의 몸을 도신(刀身), 칼집을 도실(刀室), 포목을 마르고 재는 일을 도척(刀尺), 종이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히 베는 일을 도련(刀鍊), 도검에게 새긴 명을 도명(刀銘), 칼의 배면을 도배(刀背), 썩 잘 드는 칼을 쾌도(快刀), 옛날에 만든 칼을 고도(古刀), 과실 깎는 칼을 과도(果刀), 긴 칼을 장도(長刀), 짧은 칼을 단도(短刀), 보배로운 칼을 보도(寶刀), 새김칼로 글씨나 형상을 나무나 돌 따위에 파는 데 쓰는 칼을 각도(刻刀), 칼날에 베인 흔적을 도흔(刀痕), 얼굴에 있는 잔털이나 수염을 깎는 일을 면도(面刀), 의사가 수술을 하기 위해 메스를 잡음을 집도(執刀), 아주 험하고 위험한 지경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도산검수(刀山劍水), 칼은 부러지고 화살은 다 써서 없어짐 곧 싸울 대로 싸워 다시 더 싸워 나갈 도리가 없음을 이르는 말을 도절시진(刀折矢盡), 혀는 몸을 베는 칼이다는 뜻으로 항상 말조심을 해야함을 이르는 말을 설참신도(舌斬身刀), 혼자서 칼을 휘두르고 거침없이 적진으로 쳐들어간다는 뜻으로 문장이나 언론의 너절한 허두를 빼고 바로 그 요점으로 풀이하여 들어감 또는 생각과 분별과 말에 거리끼지 아니하고 진경계로 바로 들어감을 이르는 말을 단도직입(單刀直入), 한칼로 쳐서 두 동강이를 낸다는 뜻으로 머뭇거리지 않고 일이나 행동을 선뜻 결정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일도양단(一刀兩斷), 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큰 일을 처리할 기능을 작은 일을 처리하는 데 씀을 이르는 말을 우도할계(牛刀割鷄), 칼 세 자루의 꿈이라는 뜻으로 영전함을 이르는 말을 삼도지몽(三刀之夢), 칼을 빌려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 남을 이용하여 사람을 해치는 음험한 수단을 이르는 말을 차도살인(借刀殺人), 납을 가지고 만든 칼 곧 잘 안 드는 칼이라도 한 번 자를 힘이 있다는 뜻으로 자기 힘이 미약하다고 겸손하게 하는 말 또는 두 번 다시 쓰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연도일할(鉛刀一割) 등에 쓰인다.
▶️ 傷(상처 상)은 ❶형성문자로 伤(상)의 본자(本字), 伤(상)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상)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부수를 제외한 글자의 본디 글자는 (창)으로 이루어진 상(화살 상처)이다. 사람의 몸에 상처가 나는 것을 傷(상), 마음에 상처 나는 것은 심방변(忄=心, 㣺)部를 쓴다. ❷회의문자로 傷자는 '상처'나 '다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傷자는 人(사람 인)자와 昜(볕 양)자, 矢(화살 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傷자의 상단에 있는 것은 화살을 뜻하는 矢자가 변형된 것이다. 昜(볕 양)자는 태양이 제단 위를 비추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볕'이나 '양지'라는 뜻이 있다. 傷자는 본래 화살에 맞아 다친 사람을 뜻했던 글자였다. 화살을 맞아 치명상을 입게 되면 몸에 열이 나며 고통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傷자는 화살과 昜자를 결합해 상처로 인해 몸에 열이 나고 있음을 표현했다. 그래서 傷(상)은 ①다치다 ②해치다 ③애태우다 ④근심하다 ⑤불쌍히 여기다 ⑥상하다 ⑦상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다칠 창(刱)이다. 용례로는 속을 썩임 또는 마음을 상함을 상심(傷心), 받은 은정을 상하게 함을 상은(傷恩), 남의 몸에 상처를 내어 해를 입힘을 상해(傷害), 상처로 인하여 몸이 야위어짐을 상고(傷枯), 마음을 상하게 하고 슬프게 함을 상기(傷氣), 마음이 아프도록 몹시 슬퍼함을 상도(傷悼), 부상과 질병을 상병(傷病), 몹시 분하고 억울하게 여기어 한탄함을 상분(傷憤), 정분을 상함을 상정(傷情), 근심하고 슬퍼함을 상참(傷慘), 마음 아파하고 슬퍼함을 상탄(傷歎), 마음속으로 애통히 여김을 상회(傷懷), 상처가 난 흔적을 상흔(傷痕), 가난에 쪼들려서 마음을 상함을 상빈(傷貧), 죽음을 슬퍼함을 상서(傷逝), 정신을 상함을 상신(傷神), 몸의 다친 자리를 상처(傷處), 활에 놀란 새 즉 활에 상처를 입은 새는 굽은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번 놀란 사람이 조그만 일에도 겁을 내어 위축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상궁지조(傷弓之鳥), 살림이 군색하고 가난함에 대한 한탄을 일컫는 말을 상재지탄(傷哉之歎), 풍속을 상하게 하고 썩게 한다는 뜻으로 풍속을 문란하게 함 또는 부패하고 문란한 풍속을 일컫는 말을 상풍패속(傷風敗俗), 터무니없는 말로 헐뜯거나 남을 해치려고 속임수를 써서 일을 꾸밈을 이르는 말을 중상모략(中傷謀略), 부모에서 받은 몸을 깨끗하고 온전하게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을 불감훼상(不敢毁傷), 부모께서 낳아 길러 주신 이 몸을 어찌 감히 훼상할 수 없다는 말을 기감훼상(豈敢毁傷), 바람에 병들고 더위에 상함이라는 뜻으로 고생스러운 세상살이에 쪼들림이라는 말을 병풍상서(病風傷暑), 효자가 죽은 부모를 너무 슬피 사모하여 병이 나고 혹은 죽는다는 말을 이효상효(以孝傷孝), 사물이 눈에 보이는 것마다 슬픔을 자아 내어 마음이 아프다는 말을 촉목상심(觸目傷心) 등에 쓰인다.
▶️ 錦(비단 금)은 ❶형성문자로 锦(금)은 간자(簡字)이다. 번쩍번쩍 빛난다는 뜻을 나타내는 동시에 음(音)을 나타내는 쇠 금(金; 광물, 금속, 날붙이)部와 비단을 뜻하는 帛(백)으로 이루어졌다. 오색이 빛나는 비단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錦자는 '비단'을 뜻하는 글자이다. 비단은 고대 중국의 주요 무역품으로 황실에서는 직조법을 극비로 삼을 만큼 귀한 제품이었다. 錦자는 그 비단 중에서도 가장 좋은 비단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錦자는 金(쇠 금)자와 帛(비단 백)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이미 帛자가 '비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金(쇠 금)자를 넣은 錦자를 따로 만든 것일까?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순수한 비단을 뜻하는 帛자에 金자를 결합한 것은 비단에 수를 넣고 금박을 붙였다는 뜻이다. 그래서 사전적으로는 帛자나 錦자 모두 '비단'이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 錦자는 이보다는 더 좋은 '고급 비단'을 뜻한다. 그래서 錦(금)은 단청(丹靑)하는 그림의 한 가지(여러 가지 무늬가 있음)의 뜻으로 ①비단(緋緞) ②비단옷 ③아름다운 사물 ④아름답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비단 능(綾), 비단 사(紗), 명주 주(紬), 비단 견(絹), 비단 기(綺), 비단 비(緋), 비단 채(綵), 비단 단(緞), 비단 증(繒)이다. 용례로는 비단 옷을 금의(錦衣), 수를 놓은 비단 또는 화려한 옷이나 직물을 금수(錦繡), 비단으로 만든 가사를 금가(錦袈), 빛깔이 누런 호박의 한가지를 금패(錦貝), 비단 바탕에 아름다운 무늬를 수놓은 관을 금관(錦冠), 비단으로 만든 깃발을 금기(錦旗),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금귀(錦歸), 남이 선사한 물건을 되돌려 보냄을 반금(反錦), 담쟁이 덩굴을 지금(地錦), 과꽃을 추금(秋錦), 자줏빛 비단을 자금(紫錦), 붉은빛의 비단을 홍금(紅錦), 비단 옷을 입고 낮에 다닌다는 주금(晝錦),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금상첨화(錦上添花), 비단 옷을 입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아무 보람없는 행동을 금의야행(錦衣夜行), 비단 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옴을 이르는 말을 금의환향(錦衣還鄕), 비단에 수를 놓은 듯이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강산을 이르는 말을 금수강산(錦繡江山), 비단옷과 밥을 바꾼다는 뜻으로 호화로운 비단 옷보다 한 그릇의 밥이 더 필요하다를 이르는 말을 금의일식(錦衣一食), 훌륭한 착상과 아름다운 말 또는 시나 문장에 재능이 뛰어남을 이르는 말을 금심수구(錦心繡口)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