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견풍전타(見風轉舵)
바람을 보고 배의 키를 돌려야 한다
見 : 볼 견(見/0)
風 : 바람 풍(風/0)
轉 : 구를 전(車/11)
舵 : 키 타(舟/5)
중국에 있는 어떤 기업체의 사장이 중요한 일을 맡길 사람이 한 명 필요해서 모집 광고를 냈더니, 세 명이 응모하였다. 한 사람은 일류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강한 자존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었다.
두번째 사람은 괜찮은 대학을 졸업하고 여러 기업체에서 근무하면서 많은 경험을 쌓은 사람으로 현장업무능력을 자부하는 사람이었다.
세 번째 사람은 보통 정도의 대학을 졸업한 평범한 대학생이었다. 그렇게 넉넉하지 않은 가정에서 많은 가족 속에서 할아버지 할머니의 잔소리를 끊임없이 들어서 사람 사는 도리를 어느 정도 아는 성실한 청년이었다.
면접시험을 사장이 직접 보는데, 사장실에 있던 소파나 의자를 다 치워버리고, 의자 몇 개를 사장실에 들어오는 복도 옆에 놓아두었다. 주의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볼 수 있도록.
첫 번째 일류대학 졸업생이 들어왔다. 사장이 “앉으시지요”라고 권했다. 그러나 주위를 돌아보니 의자가 없었다. 그런데도 사장은 두 번 세 번 “앉으시지요”라고 하기에, 그는 “앉을 의자가 없는데, 어떻게 앉습니까?”라고 반문하였다. 사장은 몇 가지 물어보고 면접시험을 끝냈다.
다음에 경험 많은 사람이 들어왔다. 사장은 똑같이 “앉으시지요”라고 권했다. 그러자 그 사람은 “괜찮습니다”라고 세련된 말투로 대답했다. 계속해서 앉으라고 권하자, “저는 평소에 서 있는 것이 습관이 되어 다리가 튼튼합니다”라며 사장의 비위를 맞추기에 급급하였다.
마지막으로 평범한 대학 졸업생이 들어왔다. 사장이 여전히 “앉으시지요”라고 권했다. 이 사람이 주위를 둘러보니 의자가 없었다. 그러자 “잠깐 나가서 의자를 갖고 와도 되겠습니까?”라고 물었다. 사장이 허락하자, 밖에 나가서 아까 들어올 때 보아 두었던 의자를 들고 와 앉아서 사장과 여러 가지 이야기를 나누었다.
당연히 세 번째 사람이 채용되었다. 첫 번째 사람은 일류대학 우등졸업생이라는 자존심이 강했으므로 자기 실력에 대한 대접만 받을 생각으로 가득 차 있었다. 두 번째 사람은 연마한 현장경험이 진정한 경험이 아니고 윗사람 비위 맞추는 능력만 키운 것이다. 세 번째 평범한 대학 졸업생은 대가족 제도에서 많은 가족들과 생활하다 보니, 특별한 대우를 받을 수도 없었고 물질적으로 풍족하지도 못했을 것이기에, 현실대응 능력, 즉 융통성(融通性)이 뛰어났던 것이다.
유능한 선장은 배를 운항하는 원리에만 능한 것이 아니라, 돌변하는 위기상황에 잘 대처하여 언제나 배를 안전하게 운항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통령은 노릇을 잘하기는 정말 쉽지 않다. 5000만 국민마다 자기의 욕구가 있고 불만이 있기 때문이다. 다 들어주다가는 국가대사(國家大事)를 이끌어나갈 수 없다. 가장 합리적이고 적절한 방법으로 국가를 부강하게 하고 국민을 편안하게 해 주어야 하는 것이 대통령의 가장 큰 임무일 것이다.
예상하지 못한 난관에 봉착했을 때 그 해결 방법은 어떤 책에도 쓰여 있지 않고, 어떤 사람도 말해 주지 않는다. 자신의 사고와 경험과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대통령 자신이 종합적인 판단(判斷)을 해야 한다. 대통령은 판단을 잘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통령 노릇하기 어려운 것이다.
옛날 어른들은, “사람은 영대(靈臺)가 뚫려야 한다”라는 말을 자주 했는데, 영대란 곧 ‘마음’이다. ‘마음으로 원리를 통해야 무슨 일이든지 잘 처리해 나갈 수 있다’라는 뜻이다.
“국민들이 애를 먹여서 대통령 노릇 못하겠다”, “우리 나라는 강대국에 둘러싸여서 여러 가지로 불리하다”, “부존자원이 너무 없다” 등등의 핑계를 대는 사람은 이미 대통령 자격이 없는 것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국가를 가장 잘 이끌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견풍사타(見風使舵 : 바람을 보고 키를 부린다)라는 말도 같은 뜻이다.
▶️ 見(볼 견, 뵈올 현)은 ❶회의문자로 见(견)은 간자(簡字)이다. 안석궤(几; 책상)部는 사람을, 目(목)은 눈을 뜻한다. 見(견)은 눈의 기능으로, 보는 일을 말하는데, 이쪽으로 부터 보는 것을 視(시), 저쪽으로 부터 나타나 보이는 것을 見(견)으로 나누어 썼다. ❷회의문자로 見자는 '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見자는 目(눈 목)자와 儿(어진사람 인)자가 결합한 것이다. 見자의 갑골문을 보면 人(사람 인)자에 큰 눈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사물을 보는 눈을 강조해 그린 것으로 '보다'라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다만 한자에서는 目자가 주로 '눈'과 관련된 뜻으로 쓰이고 있다면 見자는 '보다'와 같이 보는 행위에 주로 쓰이고 있으니 차이점을 알아두는 것도 좋다. 또 예전에는 見자가 現(나타날 현)자 대신 쓰인 적이 있기에 '나타나다'나 '보이다'와 같은 의미도 있다. 이때는 '현'으로 발음한다. 다만 見자의 기본 의미는 '보다'이기 때문에 부수로 쓰일 때는 '보는 것'이나 '보이는 것'과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그래서 見(견, 현)은 ①보다 ②보이다 ③당하다 ④견해 그리고 ⓐ뵙다(현) ⓑ나타나다(현) ⓒ드러나다(현) ⓓ보이다(현) ⓔ소개하다(현) ⓕ만나다(현) ⓖ현재(현) ⓗ지금(현) 등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나타날 현(現), 볼 시(視), 뵐 근(覲), 볼 관(觀), 뵐 알(謁), 나타날 현(顯),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숨을 은(隱)이다. 용례로는 보고서 깨달아 앎을 견해(見解), 듣거나 보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을 견문(見聞), 남에게 거절을 당함을 견각(見却), 실지로 보고 학식을 넓힘을 견학(見學), 남의 일을 보고 배워서 실지로 연습하는 것을 견습(見習), 사물을 관찰하는 입장을 견지(見地), 남에게 미움을 받음을 견오(見忤), 얼른 스쳐 봄을 별견(瞥見), 분실이나 유실을 당함을 견실(見失), 책망을 당함을 견책(見責), 마음에 생각하는 점을 의견(意見), 미처 찾아내지 못하였거나 알려지지 아니한 것을 찾아냄을 발견(發見),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을 편견(偏見), 서로 다른 의견을 이견(異見), 남의 일에 간섭함을 참견(參見), 사물을 식별하고 관찰하는 능력을 식견(識見), 무슨 일이 있기 전에 미리 짐작함을 예견(豫見), 보고 헤아리는 생각이나 올바로 인식하거나 올바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견(所見), 신분이 높은 사람이 공식적으로 손님을 만남을 접견(接見), 지체 높은 사람을 찾아 뵙는 일을 알현(謁見), 임금께 나아가 뵈옴을 진현(進見),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한다는 뜻에서 지나친 욕심을 절제함 또는 대의를 위해서 부귀영화를 돌보지 않는다는 의미의 말을 견금여석(見金如石), 눈앞에 이익을 보거든 먼저 그것을 취함이 의리에 합당한 지를 생각하라는 말을 견리사의(見利思義),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작은 일에 지나치게 큰 대책을 세움 또는 조그만 일에 화를 내는 소견이 좁은 사람을 이르는 말을 견문발검(見蚊拔劍), 위험을 보면 목숨을 바친다는 뜻으로 나라의 위태로운 지경을 보고 목숨을 바쳐 나라를 위해 싸우는 것을 이르는 말을 견위수명(見危授命), 항상 잊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견요어장(見堯於墻), 물건을 보면 욕심이 생긴다는 말을 견물생심(見物生心), 나라의 위급함을 보고 몸을 바친다는 말을 견위치명(見危致命), 눈앞의 이익을 보면 탐내어 의리를 저버림을 일컫는 말을 견리망의(見利忘義), 보고 들은 바가 꼭 같음을 일컫는 말을 견문일치(見聞一致), 착한 일을 보기를 마치 목마른 것같이 하라는 뜻의 말을 견선여갈(見善如渴), 착한 일이나 착한 사람을 보면 그것을 따르라는 뜻의 말을 견선종지(見善從之), 토끼를 발견한 후에 사냥개를 놓아서 잡게 하여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사태의 진전을 관망한 후에 응하여도 좋다는 말을 견토방구(見兔放狗), 보고도 못 먹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탐나는 것이 있더라도 이용할 수 없거나 차지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을 견이불식(見而不食), 달걀을 보고 닭이 되어 울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지나치게 성급한 것을 이르는 말을 견란구계(見卵求鷄), 눈으로 직접 보니 들었던 것보다 못하다는 뜻으로 헛된 명성을 비유하는데 사용되는 말을 견불체문(見不逮聞), 보는 것이 탈이란 뜻으로 보지 않아서 모르고 있으면 그만인데 눈으로 보면 무엇인가 문제가 생겨 우환이 있게 됨을 이르는 말을 견물우환(見物憂患), 사냥하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기쁘다는 뜻으로 어렸을 때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비유하는 말을 견렵심희(見獵心喜) 등에 쓰인다.
▶️ 風(바람 풍)은 ❶회의문자로 风(풍)은 간자(簡字), 凨(풍), 凬(풍), 凮(풍)은 고자(古字)이다. 무릇(凡) 태풍이 지나간 다음에 병충(蟲)이 많이 번식한다는 뜻을 합(合)하여 바람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바람'을 뜻하는 風자는 본래 봉황새를 그린 것이었다. 갑골문에 나온 風자를 보면 큰 날개와 꼬리를 가진 봉황이 그려져 있었다. 봉황은 고대 중국의 전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새로 갑골문에 나온 風자는 바로 그 상상의 새를 그린 것이었다. 그러나 風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바람이라는 뜻으로 혼용되기 시작했다. 바람의 생성원리를 이해하지 못했던 고대인들은 봉황의 날갯짓으로 바람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에는 風자가 '봉황'과 '바람'으로 혼용되기도 했지만 이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凡(무릇 범)자에 鳥(새 조)자가 결합한 鳳자가 '봉황새'를 뜻하게 되었고 봉황이 몰고 왔던 바람은 凡자에 虫(벌레 충)자가 더해진 風자로 분리되었다. 그래서 風(풍)은 (1)허황하여 믿음성이 없 말이나 행동을 이르는 말. 허풍 (2)바람을 막으려고 둘러 치는 천 (3)정신 작용, 근육 신축, 감각 등에 고장이 생긴 병. 전풍(顚風), 중풍(中風), 비풍(痺風) 따위 (4)원인을 알기 어려운 살갗의 질환(疾患). 두풍(頭風). 피풍(皮風). 아장풍(鵝掌風) 따위 등의 뜻으로 ①바람 ②가르침 ③풍속(風俗), 습속(習俗) ④경치(景致), 경관(景觀) ⑤모습 ⑥기질(氣質) ⑦병(病)의 이름, 감기(感氣), 중풍(中風: 뇌혈관의 장애로 인한 병) ⑧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⑨절조(節操: 절개와 지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⑩노래, 악곡(樂曲), 여러 나라 민요(民謠) ⑪뜻, 낌새 ⑫풍도(風度: 풍채와 태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⑬소식(消息), 풍문(風聞) ⑭멋대로, 꺼리낌 없이 ⑮바람을 쐬다 ⑯바람이 불다 ⑰풍간(諷諫)하다(완곡한 표현으로 잘못을 고치도록 말하다) ⑱감화시키다, 교육하다 ⑲외우다, 암송하다 ⑳유전(流轉)하다(이리저리 떠돌다), 떠돌다 ㉑암수가 서로 꾀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옛적부터 행하여 온 모든 생활에 관한 습관을 풍속(風俗), 바람의 세력을 풍력(風力), 음식의 고상한 맛을 풍미(風味), 기후와 토지의 상태를 풍토(風土), 바람이 부는 방향을 풍향(風向), 어떤 상황이나 형편이나 분위기 가운데에 있는 어느 곳의 모습을 풍경(風景), 세찬 바람과 험한 물결을 풍파(風波), 속사를 떠나 풍치가 있고 멋들어지게 노는 일을 풍류(風流), 바람결에 들리는 소문을 풍문(風聞), 뜨거운 바람을 열풍(熱風), 몹시 세게 부는 바람을 폭풍(暴風), 자기가 가는 방향에서 마주 불어오는 바람을 역풍(逆風), 첫여름에 부는 훈훈한 바람을 훈풍(薰風), 갑자기 거세게 일어나는 바람을 돌풍(突風), 미친 듯이 사납게 부는 바람을 광풍(狂風), 바람 앞의 등불이란 뜻으로 사물이 오래 견디지 못하고 매우 위급한 자리에 놓여 있음을 가리키는 말 또는 사물이 덧없음을 가리키는 말을 풍전등화(風前燈火),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려고 생각할 때에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을 풍수지탄(風樹之歎), 바람에 불리면서 먹고 이슬을 맞으면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고생스러운 생활을 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풍찬노숙(風餐露宿), 효도하고자 하나 부모가 이미 돌아가셔서 효양할 길이 없어 한탄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풍목지비(風木之悲), 바람이 불어 우박이 이리 저리 흩어진다는 뜻으로 엉망으로 깨어져 흩어져 버림이나 사방으로 흩어짐을 이르는 말을 풍비박산(風飛雹散), 뚫어진 창과 헐린 담벼락이라는 뜻으로 무너져 가는 가난한 집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풍창파벽(風窓破壁), 태평한 시대에는 나뭇가지가 흔들려 울릴 정도의 큰 바람도 불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이 태평함을 이르는 말을 풍불명지(風不鳴枝), 바람 부는 대로 물결치는 대로라는 뜻으로 일정한 주의나 주장이 없이 그저 대세에 따라 행동함을 이르는 말을 풍타낭타(風打浪打), 구름과 용이 만나고 바람과 범이 만나듯이 밝은 임금과 어진 재상이 서로 만남을 이르는 말을 풍운지회(風雲之會), 바람이 불고 번개가 친다는 뜻으로 매우 빠름을 이르는 말을 풍치전체(風馳電掣), 맑은 바람과 밝은 달 등의 자연을 즐기는 사람을 이르는 말을 풍월주인(風月主人), 바람이 자고 파도가 잔잔해진다는 뜻으로 들떠서 어수선한 것이 가라앉음을 이르는 말을 풍정낭식(風定浪息), 바람이 불어 구름이 흩어진다는 뜻으로 자취도 없이 사라짐을 이르는 말을 풍류운산(風流雲散), 바람과 비가 순조롭다는 뜻으로 기후가 순조로워 곡식이 잘 됨 또는 천하가 태평함을 이르는 말을 풍조우순(風調雨順),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을 풍사재하(風斯在下), 바람과 구름 고기와 물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의 아주 가까운 사이를 비유하는 말을 풍운어수(風雲魚水), 바람 앞의 티끌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무상함을 이르는 말을 풍전지진(風前之塵), 바람에 머리를 빗고 비에 목욕한다는 뜻으로 외지에서 겪는 고생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풍즐우목(風櫛雨沐) 등에 쓰인다.
▶️ 轉(전)은 ❶형성문자로 転(전)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수레 거(車; 수레, 차)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專(전)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專(전)은 둥글다는 뜻을 나타내고, 車(거)는 수레바퀴나 수레바퀴 따위의, 둥근 것이 구르는 일을 말한다. ❷회의문자로 轉자는 '구르다'나 '회전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轉자는 車(수레 거)자와 專(오로지 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專자는 실을 감는 용도인 방추(紡錘)를 돌리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이전에는 專자가 '회전하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후에 專자가 오로지 한곳으로만 돈다 하여 '오로지'라는 뜻을 갖게 되자 여기에 車자가 더한 轉자가 뜻을 대신하게 되었다. 수레는 바퀴를 굴려 움직이는 것이니 오히려 본래의 의미를 더욱 잘 묘사하게 되었다 할 수 있다. 그래서 轉(전)은 ①구르다 ②회전하다(回轉ㆍ廻轉--) ③선회하다(旋回--) ④맴돌다 ⑤옮기다 ⑥바꾸다 ⑦부리다 ⑧조종하다(操縱--) ⑨깨닫다 ⑩알다 ⑪터득하다 ⑫넘어지다 ⑬다루다 ⑭나부끼다 ⑮오히려 ⑯더욱 더 ⑰한층 더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할 위(爲), 옮길 이(移)이다. 용례로는 여기저기로 떠돌아 다님을 전전(轉轉), 사물의 방침이나 성질이나 경향 등이 이리저리 바뀜 둘로 바뀜을 전환(轉換), 말이나 차나 배 따위를 다른 것으로 바꾸어 탐을 전승(轉乘), 위치가 바뀜을 전위(轉位), 다른 관직이나 임무로 옮김을 전임(轉任), 다른 곳이나 소속으로부터 옮기어 들어옴을 전입(轉入), 근무처를 옮김을 전근(轉勤), 방향을 바꿈을 전향(轉向), 허물이나 책임 따위를 남에게 넘겨 씌움을 전가(轉嫁), 다니던 학교에서 다른 학교로 옮겨가서 배움을 전학(轉學), 어떤 축을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를 도는 것을 회전(回轉), 형세가 뒤집힘 또는 형세를 뒤집음을 역전(逆轉), 사물의 소재나 주소를 다른 곳으로 옮김을 이전(移轉), 더 좋거나 높은 직위로 옮아감을 영전(榮轉), 위치나 방향이나 순서 등이 반대로 되는 일을 반전(反轉), 무슨 일이 잘 되어 가기 시작함을 호전(好轉), 직접 청하지 않고 여러 사람을 거쳐서 간접으로 청함을 이르는 말을 전지전청(轉之轉請), 여기저기로 돌아다니거나 옮겨 다니면서 삶을 이르는 말을 전전표박(轉轉漂泊), 해를 돌리고 하늘을 돌게 한다를 이르는 말을 전일회천(轉日回天), 정처도 없이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빌어먹음을 일컫는 말을 전전걸식(轉轉乞食), 실패를 거울삼아 성공하는 계기로 삼음을 이르는 말을 전패위공(轉敗爲功), 어떠한 동기에 의하여 이제까지의 먹었던 마음을 바꿈을 일컫는 말을 심기일전(心機一轉), 거듭나서 유전한다는 뜻으로 만물이 끊이지 않고 변해 감을 이르는 말을 생생유전(生生流轉), 이리 뒤척 저리 뒤척 한다는 뜻으로 걱정거리로 마음이 괴로워 잠을 이루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전전반측(輾轉反側),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는 뜻으로 어떤 불행한 일이라도 끊임없는 노력과 강인한 의지로 힘쓰면 불행을 행복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다를 일컫는 말을 전화위복(轉禍爲福) 등에 쓰인다.
▶️ 舵(키 타)는 형성문자로 䑨(타)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배 주(舟; 쪽배)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它(타)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용례로는 배의 키를 조종하는 장치를 타기(舵機), 손잡이가 달린 바퀴 모양의 장치를 타륜(舵輪), 선박의 키를 설치한 기둥을 타주(舵柱), 배의 키를 조종함으로 키를 써서 배의 방향을 바꾸거나 전환하는 일을 조타(操舵), 배의 키를 조종하는 사람을 조타수(操舵手), 조타기가 장치되어 있는 배 안의 방을 조타실(操舵室), 배의 균형을 잡아 주는 키를 균형타(均衡舵), 바람을 보고 배의 키를 돌려야 한다를 이르는 말을 견풍전타(見風轉舵)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