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 전곡, 문산, 동두천, 의정부, 송탄, 포천, 화천, 양구, 인제, 논산, 진해.
멀리 보면 춘천, 홍천, 원주, 가평까지도 포함되는 이 지역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답은 전부 군부대를 끼고 있는 군사도시라는 점이다.
그 중에서도 전곡은 특히 군사기능이 강한 지역으로서,
읍내에 군인이 절반을 차지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군 기능이 중추를 이루는 곳이다.
해방 전까지만 해도 연천읍내와 비스무리한 규모의 고장이었지만,
연천읍보다 지리적으로 남쪽에 위치한 까닭에 현재는 단연코 연천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연천의 모든 중심기능이 몰린 까닭에,
휴가를 나온 군인들도 죄다 연천이 아닌 전곡으로 몰리고,
연천에 사는 사람들도 전곡에서 돌아다니는 등 나름대로 확고한 입지를 굳혔다.
경기도 최북단, 연천의 중심지 전곡.
그 때문에 연천에 유일하게 시외버스터미널이 존재하며
서울까지 운행하는 시내버스들의 종점으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말끔히 단장하여 새로운 모습을 선보이려는 전곡터미널의 내일은 밝다.
전곡터미널은 하나가 아닌 두 개다.
하나는 읍 중심부에 위치한 대양운수 차고지이며, 또 하나는 약간 외진 골목에 자리잡은 진짜 버스터미널이다.
명색이 전곡의 교통 중심기능을 하는 어엿한 버스터미널이지만,
골목길에 한참 들어가 있는데다 터미널에 대한 안내판조차 전혀 없어 찾기가 무척 힘들다.
그나마 건물 양 옆 골목길 사이에 얼핏 보이는 버스들로 터미널이 있음을 짐작할 뿐이다.
건물의 생김새는 영락없는 버스터미널의 모습이지만 간판들로 가려져 단순한 일반 상가로만 느껴지는데,
그 뒤에 불쑥 튀어나와 있는 아리송한 구조물이 있다.
바로 이 곳이 버스터미널 정문이라 하면 어느 누가 믿을까.
지역 주민들이나 이 곳에서 근무하는 군인들이야 익숙하겠지만,
그 외 지역에서 찾아온 외지인은 버스터미널 존재조차 모를 것이다.
그 정도로 전곡버스터미널은 깊은 베일에 꼭꼭 감춰져 있다.
아까 발견했던 툭 튀어나온 이상한 구조물이, 바로 대합실 역할을 하는 터미널 건물이다.
원래 쓰던 곳으로 추정되는 건물은 이런저런 상업시설이 너무 많이 들어서,
확장은 커녕 리모델링조차 어려워 건물 뒷편에 새롭게 대합실을 만든 듯 하다.
그 덕분에 통유리창으로 꾸며져 있어 조망도 좋고 무척 깔끔하다.
하지만 건물 뒤에 억지로 붙여놓았기 때문에 대합실 내에 상업시설은 들여놓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인지, 정확히 있을 것만 있어 굉장히 썰렁한 기운이 감돈다.
마치 임시 가건물을 차려놓고 영업하는 간이정류장 같은 느낌이 든다.
아직 공사가 미처 끝나지 않는 듯한 느낌의 매표소.
저 조그만 구멍 사이로 뭔가 나올 것 같이 으스스하다.
깔끔하게는 만들어 놨지만, 아직까지 공사를 하는걸로 착각할 정도로 썰렁한 느낌은 지울 수가 없다.
터미널 분위기가 조금이라도 나게 이 것 저것 꾸며놓으면 좋으련만...
그 흔한 광고판은 커녕 정식 시간표조차 걸려있지 않는게 무척 아쉬운 대목이다.
아직까지도 정식 시간표가 걸려있지 않아 종이 용지에 임시로 복사를 해놓았다.
왼쪽에는 3300번 요금이 붙어있고, 오른쪽에는 춘천, 가평, 현리, 포천방면 시외버스 요금표가 걸려있다.
명색이 시외버스터미널이긴 하지만 서울까지 가는 거리가 꽤 되기 때문에,
춘천, 가평 등 주변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나 공항버스 외에는 다른 노선을 찾기 힘들다.
3300번 시간표도 이렇게 복사를 하여 걸어놓았다.
연천에서 성남(야탑)까지 가는 장거리 시외버스로,
얼마 전에 선진운수에서 KD(경기/대원)로 이관하면서 노선 전체적인 분위기가 상당히 달라졌다.
배차간격도 예전보다는 약간 벌어져 대체적으로 20~30분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아직 초창기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전곡의 버스망은 굉장히 열약하다.
광주, 춘천행이 하루 2회 있으며 인천공항행이 4회 있는 것이 전부다.
성남행이라고 쓰여진 버스는 의정부, 노원, 잠실을 경유하는 3300번 버스이다.
광주가는 버스가 있다는 것이 약간 의외인데,
광주로 가기 위해 3번국도를 타고 의정부시내까지 거쳐야 한다고 생각하니 놀랍기만 하다.
그나마도 외곽순환고속도로가 뚫리지 않았더라면 서울시내까지 횡단해야 할 노릇이다.
그만큼 경기북부의 도로망이 열약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아까 두번째 사진과는 반대편 방향에서 진입하여 찍은 사진.
개축을 한 지 얼마 안되서 그런지 도로, 주차장 모두 반듯하게 아스팔트로 잘 닦여있다.
하지만 굉장히 조촐하고 아담한지라 제대로 승차장조차 갖춰지지 않은 모습이다.
시외, 고속버스라고 해봤자 광주, 춘천, 공항리무진이 전부이기 때문에 굳이 갖출 이유도 없지만...
오히려 이 곳에서 회차하는 39번 버스나 연천군내버스 일부에 더 신경을 써주고 있다.
10분도 안 되는 배차간격, 동두천-양주를 거쳐 의정부, 도봉산까지 내려가는 편리한 접근성.
그 때문에 전곡터미널은 사실상 39번 버스차고지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입지상 시외, 고속버스 운영이 매우 불리한데다 서울, 의정부에 생활권이 종속되기 때문에,
39번 버스가 크게 발전할래야 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다.
더군다나 통근열차의 동두천 단축, 수도권 통합환승제, 터미널 개축 등으로 인해 최근 들어 엄청난 상승세를 타고 있다.
평안운수의 밥줄이자 전곡터미널의 밥줄인 39번 버스들.
본선부터 -6번까지, 종류별로 고루고루 전곡터미널을 잠식하고 있다.
그 이외의 차량들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39번 시리즈의 비중은 굉장히 높은 편이다.
통일이 되어 북쪽과도 교류가 생긴다면 최적의 입지를 갖춘 최상의 터미널로 거듭나겠지만,
아직은 그런 상황이 못 되므로 조용히 읍내 구석에서 움츠리고 있는 것 같다.
새롭게 모습을 단장하기는 했어도 아직은 제 모습을 보여줄 때가 아니라는 듯,
정말 조용하게 구석에 숨어 환한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과연 새로운 모습은 언제쯤에나 제대로 보여줄지 약간은 기대가 된다.
첫댓글 39-2번은 제외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전곡은 경기도에서 지원받아서 리모델링 해준거 아니었나요???
어디에서 지원받아서 리모델링을 했다라는 얘기는 언급한 적이 없습니다. -_-;; / 더군다나 39번 시리즈라고 뭉뚱그려서 글을 작성하긴 했지만 39-2번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적은 없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도 수정하기가 조금 애매하군요.
아무래도 그런 것 같습니다... 경기도 홈페이지에 그런 류의 글을 본 것 같습니다...
대양운수 차고지는 그쪽 군인들은 용사의집 터미널이라고 부르고 있어요(차고지 옆에 용사의 집이라는 군장점이 있음)전곡,연천지역에 있는 군인들이 대부분 대양운수 터미널로 나오죠. 연천지역 군부대들 외박나올때 이수지역 범위가 전곡이에요(연천읍보다 더 발전) 그러나 간혹 의정부로 점프하는 군인들도 있죠
작년하고 이번달 두번가봤습니다. 여긴 시외버스보단..시내버스가 많은거 같아요~터미널이라고 하긴..쫌 여러모로..부족한듯 싶습니다..지리적인 위치가 그런지 모르지만요..
전곡터미널,, 인근에서 군생활했던 저도 많이 지나가보기는 했지만 터미널 구내는 처음봅니다. @_@;;// 광주노선은 처음에 금호/선진고속에서 2회씩 1일 4편도를 운행했었지만 지금은 모두 철수하고 현재는 한양고속이 운행중이죠. 원래 광주-포천으로 뚫렸던 노선이 연천까지 연장했다가 전곡과 포천시 가산읍을 추가해서 현재는 연천-전곡-포천-가산-광주 노선으로 운행하죠. 아무튼 2년동안의 추억이 묻어있는 곳이라 반가운 곳입니다. ^^;;
여담이지만 지금 사무실로 쓰이는 건물... 원래 그 자리에 핸드폰 매장이 있었지요...
3300번은 들리는바에 의하면 선진에서 KD로 넘어가면서 거북이가 되었다는군요 ;;
전곡은 장호원, 의정부, 가평 처럼 경기도에서 리모델링 1차 우선 대상터미널입니다. 경기도에서 지원금이 들어갔습니다.
대양운수 터미널은 몇 번 가봤습니다만(포천-전곡 차량이 대양운수터미널로 들어갑니다) 여기는 처음이네요;;; 사실 있는 줄도 몰랐습니다. '39번 시리즈는 어디서 출발하는걸까' 늘 궁금했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대양운수 터미널에서 더 올라가는 곳에 있는 건가요? -_-;;;
대양운수 터미널에 밑으로 내려 가야 합니다 ㅋ